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내 인생의 책>이라는 주제에 답을 부탁한다는 메일을 받은 적이 있다. 선뜻 '이 책이다' 하고 떠오르는 책이 없었다. 책을 좋아한다고 책을 사랑한다고 말했지만 나의 책읽기는 수많은 활자를 읽음에 지나지 않음을 알게 되어 무척 부끄러웠던 마음을 기억하고 있다. 내게 책이란 일상이 되었지만 정작 나를 흔든 책은 무엇이었을까?  

 정헤윤, 그녀가 다시 나를 유혹하는 책을 들고 나왔다.  작년에 <침대와 책>을 통해 책에 둘러싸인 침대를 부러워하게 하더니 이번에는 표지 속 그녀는 멋진 서고를 꿈꾸게 한다. 이제 정혜윤은 내게 책, 그 자체이다. 나아가 내가 쉽게 책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도서관이 되고 말았다. 이 책이 더 나를 설레게 하는 것은 부제, <정혜윤이 만나 매혹적인 독서가들>가 소개하고 있듯 책속에서 나를 기다릴 그들이다. 그들은 진중권, 정이현, 공지영, 김탁환, 임순례, 은희경, 이진경, 변영주, 신경숙, 문소리, 박노자11명의 독서가들이다. 

 익숙한 이름들, 보여지는 그들의 내면을 채워준 보석들은 무엇이었을까.  내가 꿈꾸던 그들은 어떤 어린 시절 어떤 책을 품었을까, 어떤 글에서 새로운 세상을 만났을까.  방송이나 글을 통해 만났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로의 만남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으며 그 것이 책이라서 더 즐겁다. 그들 각자가 풀어놓는  책읽기의 추억은 달콤한 솜사탕처럼 다가오고 자꾸만 녹아 들어 아쉬움을 남긴다. 비슷한 세대라고 꼬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같은 테두리의 세대라서 그들이 소개하는 책들 중에 내가 기억하고 있는 책을 만날 때면 이상하게도 '휴' 하는 안도의 숨소리가 새어나온다.

  지금은 모두 유명 인사가 되어 각자의 활동 분야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지칭되지만 그들 역시 힘든 시간을 지나왔고 심한 방황의 끝도 보았을 순간 그 곁에 책이 있었음에 마음이 편안해진다.  나는 또 그 책들을 사랑할 준비가 되어있다. 어린 시절, 사춘기 시절, 아름다운 소설 속 주인공을 꿈꾸었듯이 이제 삶의 나침반을 제시하는 그 책들을 꿈꾼다.

 오직 책만을 사랑한 진중권. 독일로 일본으로 더 큰 세상을 만나고 돌아올 때 온 몸 가득 책을 데리고 온 그의 책에 대한 사랑은 그가 책을 쓰는 근본적인 힘이 되었다. 평범하지 않는 삶이 잘못된 삶이 아님에도 불고하고 항상 내가 무슨 잘못을 했을까, 자책하고 고민하던 공지영에게 새로운 삶에 대한 길을 열어준 책 중 <오스카 와일드의 옥중기 중 " 나에게 일어나는 일은 타인에게도 일어나리라." 74쪽 > 아, 가슴에 바람이 분다.
 
 ' 책은 견디기 힘든 시간을 지나게 해줘요' 235쪽  라고 말하는 문소리, 순간 나는 가슴 한 편이 찡해옴을 느낀다. 내게 있어 책은 그랬다. 견디기 위한 방법, 나를 견디기 위한, 타인을 견디기 위한, 그런 시간의 강을 거슬러 가게 했다.  한국이 좋아 한국인 된 박노자가 좋아하는 장자(268쪽)를 소개하며 말하는 '쓸모있음'과 '쓸모없음' 은 많은 생각의 문을 두드린다. 주변을 둘러본다. '쓸모있음' 과 '쓸모없음' 나는 혹 후자에 속하면 어쩌지. 

 책에서 책을 만났다. 책이라는 아름드리 나무는 다시 책이라는 잔 가지를 뻗어 나게 하고 책이라는 열매를 맺게 한다.  몇 몇 작가의 작품과 문학에 편중되어 있는 나의 책읽기에 이처럼 강력한 자극이 또 있을까. 사실, 이 책 속에서 만난 11명의 인물들에 집중하기도 했지만
정작 나를 가장 달뜨게 한 것은 정혜윤의 글이다.  

 그녀는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를 소개하면서 ' 살아 있다는 사실이 우리를 꿈꾸게 하고 우리를 살게 한다는 말이 얼마나우리를 강하게 하는 지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292쪽 아, 나는 이 책을 읽지 못했기에 이 말이 간직한 또 다른 의미를 찾을 수 없음이 안타깝다. 또한 그녀가 소개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쓸쓸함보다 더 큰 힘이 어디 있으랴> 에 대해서는 이렇게 쓰고 있다.
' 어떤 사람들이다른 삶이나 죽음에 끌린다 해도 그건 절망이 아니라 애착 때문인 경우가 많은데 그들에게 사랑과 반항은 일치한다. 결국 사는 동안 중요한 것은 자신이 속한 세계와 자신을 이어주는 어떤 단서와 끈을 찾느냐 마느냐의 문제같이 느껴진다. ' 293족

 내가 속한 세계에 닿는 끈을 나는 찾았을까. 수없이 많은 물음표가 머리속을 헤엄치기 시작하며 하나의 답으로 내게 있어 정혜윤은 세상과 나를 이어주는 소중한 책이라는 끈임에 고마움을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