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피는 고래
김형경 지음 / 창비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피는 고래>라는 제목에서 파스텔빛 아름다움과 알 수 없는 슬픔이 전해진다.  그것은 아마도 작가 김형경이라는 이름이 함께라 그러하리라.  그녀의 소설에서는 항상 슬픔이 묻어났다. 선연한 빛깔의 슬픔보다는 보일듯 말듯 조금 혼란스러운 슬픔이었다. 가슴속 깊은 곳에 내재된 트라우마를 간직한 이들이 세상과 소통하고자 애쓰는 모습이 가득했고 끈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헤메는 이들이 존재했다. 오랜만에 선보인 소설, 책을 여니 부드러운 미소를 짓는 그녀가 보인다.

 열 일곱, 니은은 이제 막 주민등록증 사진을 찍은 소녀다. 환하게 웃는 모습은 이제 사진속에서만 존재한다. 갑작스레 닥쳐온 슬픔, 준비할 시간도 준비하고 싶지도 않았다. 교통사고로 한꺼번에 부모를 잃은 마음을 안다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그것도 열 일곱, 소리 내어 말해도 핑크빛이 물드는 나이다. 세상 어디에서도 니은은 아무런 의미를 찾지 못한다. 하루 하루 꿈속에서 엄마, 아빠가 들려준 이야기 속 바다를 본다. 

 아빠의 고향 처용포에서 니은은 오랜시간 고래를 잡으며 살았던 장포수 할아버지와 식당을 운영하며 한글을 배우는 왕고래 할머니의 도움을 받으며 지내게 된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거운 시간을 보낸다. 학교도 친구도 친척도 니은을 달래줄 수 없고 니은을 이해할 수 없다. 송곳처럼 날카로운 마음, 세상을 향한 분노를 장포수 할아버지와 왕고래 할머니는 너그러이 받아주고 니은의 마음을 위로하며 쓰다듬어 준다. 장포수 할아버지와 왕고래 할머니에게도 위로 받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고래를 향한 할아버지의 애정, 죽은 남편에 애절한 할머니의 사랑을 니은에게 꺼내놓는다. 

 17살 소녀가 겪기에는 너무도 큰 슬픔을 작가 김형경은 고래잡이가 유명했던 시골 어촌 처용포의 자연을 담아 치유하고자 한다. 곳곳에 자연이 남겨준 처용과 황혹에 관한 이야기, 존재가 확실히 않은 바다생물, 그 안에서 평생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통해 니은이 조금씩 조금씩 성장하도록 하고 있다. 니은의 너울 같던 마음이 잔잔하게 바뀔 때 니은은 어른이라는 문을 만날 것이다.

 할머니, 할아버지에게도 17살이 있었을까, 그 때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궁금해하는 니은의 마음은 내가 나의 주변 사람들에게 내 나이에 무얼했나고 묻는 것과 같다. "여든살이 돼도 맘속에는 모든 나이가 다 있다. 열살 때 생각을 하면 열살이 되고 마흔 살 때 생각을 하면 마흔살이 되지. 열살처럼 세상을 보다가, 마흔살처럼 세상을 보다가 한다." 257 장포수 할아버지의 말처럼  책 속의 니은은 17살 소녀이지만 니은을 통해 내 모습을 보기도 한다.  한 치 앞도 모르는 내일, 그 두려움을 이겨내고자 지금 이 나이에 남들은 무슨 생각으로 살았을까 궁금한 우리네 모습과 닮았다.

 "기억하는 일은 왜 중요해요?"
 "그것을 잘 떠나보내기 위해서지. 잘 떠나보낸 뒤 마음속에 살게 하기 위해서다." 236쪽

모든 것을 마음에 담고 살수는 없다. 그것은 이별일 수도 있고 사랑일 수도 있고 상처일 수도 있다. 니은이 부모님을 기억하고 떠나보내야 하는 것 처럼 우리의 삶은 떠남의 연속일지 모른다. 떠나보냄과 동시에 새롭게 살게 하는 것들.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삶이라는 것을 니은도 알게 될 것이다. 

 니은에게
매일 희망을 보낸 영호 언니의 문자는 누군가에게 문자를 보내라고 말하듯 내게 전화기를 만지작 거리게 한다. 누구도 치유할 수 없을 것 같은 크나큰 상실과 슬픔도 때로는 작은 메모, 지속적인 작은 관심이 치유의 약이 되어 슬픔을 무너뜨릴 것이다.  내가 보낸 문자도 누군가에게 즐거움과 격려가 되어 희망의 존재로 남을 수 있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