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마지막 의식
이언 매큐언 지음, 박경희 엮음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언 매큐언의 소설 [속죄]가 영화로 만들어져 상영중이다.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서 영화의 몇 장면을 원작의 구절과 비교하며 소개하는 것을 보게 되었는데 암스테르담에서 만난 글과는 무척 생경한 느낌이었다. 섬세하고 부드러운 묘사는 암스테르담에서는 내게 느껴지지 않는 것이었다. 도대체 작가 이언 매큐언은 어떤 사람일까, 그의 글에 숨쉬는 냉소적인 미소, 살기 돋는 글들은 뭐라고 표현해야 좋을까.

서머싯 몸 상을 수상한 '첫사랑, 마지막 의식'을 제목으로 하는 이 단편 소설집은 제목에서 느껴지는 사랑에 대한 몽환적인 그리움을 나는 만나지 못했다. 차례로 수록된 단편 8편 모두 기이하고 놀랍고 끔찍하기까지 했다. 표지와 제목은 마치 가면처럼 느껴졌다. 인간의 욕망이 숨김 없이 드러나는 듯한 글, 작가에게 그저 놀랄 뿐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8개의 소설 중 '여름 마지막 날' 이라는 글은 노을지는 여름날의 저녁을 담아놓은 듯 슬픈 사랑, 외로움을 작가 특유의 부드러움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이언 매큐언은 드러나지 않는 인간의 추악함, 단순한 궁금증을 넘은 지나친 호기심, 냉소적인 감성을 끄집어내어 문학이라는 장르에 걸맞는 작품으로 재 탄생시켯다. 단편에서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자신과 성에 대해 정체성 확립이 안된 미성숙적 감성을 지녔거나 어른이 되기 전의 과도기를 거치고 있는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이다. 그들이 겪는 혼란스러운 감정, 온통 검정인 듯한 배경들, 그 안에 두려움에 떨고 있는 주인공들의 심리적 묘사는 소름 돋는 전율이 느껴진다.

소재 자체가 놀랍고 엽기적이며 한 편으로 인간의 마음 어느 한 구석에 잠재되고 있는 욕망의 표출이 아닐까 궁금하게 만든 입체기하학가정처방, 읽고 있었지만 내용파악이 잘 되지 않아 다시 읽어온 내용을 다시 읽어야 했던 극장의 코커씨, 영원한 아이로 살고 싶었던 한 남자의 사회로의 부조화를 담은 벽장 속 남자와의 대화는 혼란스럽기만 했다. 이웃에 사는 한 소녀를 살인까지 감행하게 된 한 남자의 글의 담담한 심경을 담은 나비는 의외의 전개 방식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자신이 아닌 다른 이가 되어 조카를 추행하는 가장무도회, 표제작인 첫사랑, 마지막 의식은 지루함의 반복에서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나는 짐작할 수 없었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처음 느끼게 되는 인간의 그 미묘한 욕망과 사랑의 몸짓과 서로 간에 교감, 그리고 그 순간의 기억이 담은 것, 이 모든 것을 만날 수 있는 여름의 마지막 날. 이 느낌은 영화 프로에서 소개하던 바로 그 구절을 만날을 때 느낌이었다. 그러기에 이 단편은 내게 더 깊게 가깝게 다가왔다. 다른 단편이 보여준 혐오스러움과 차가움의 검붉은 빛이 아닌 슬픈 미소의 연두빛 같다고 할까? 멋진 표현으로 말하고 싶었으나 나의 한계인가 싶다.

암스테르담에서의 이언 매큐언이, 첫사랑, 마지막 의식 쓴 같은 사람, 그렇다면 다른 작품에서는 또 얼마나 무시무시한 괴력을 가진 자신만의 문학세계를 펼치고 있을까. 이제 서서히 그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