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 창비시선 284
신경림 지음 / 창비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이라는 미지의 여행에 시를 동반하며 걸어가는 시인의 삶은 그가 풀어낸 시를 읽는 독자의 삶보다 몇 배 이상으로 고단하지 않을까. '신경림'이라는 이름만으로도 시인이 여직 껏 걸어왔을 그 여행의 녹녹함이 그려지는 듯 하다. 낙타라는 시집을 열고 처음 만나는 첫 시 낙타를 소리내어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모든 시를 쭉 소리 내어 읽기 시작한다. 아무도 듣는 이 없지만 이 시집을 목이 아플 정도로 소리 내어 읽고 말았다. 시가 주는 평안함을 참으로 오랜만에 곱씹고 있는 나를 보며 시를 좋아하던 그 옛날의 내가 지금의 나와 같은 사람일까 쓴 웃음을 짓고 만다.

낙타

낙타를 타고 가리라, 저승길은
별과 달과 해와
모래밖에 본 일이 없는 낙타를 타고,
세상사 물으면 짐짓, 아무것도 못 본 체
손 저어 대답하면서,
슬픔도 아픔도 까맣게 잊었다는 듯,
누군가 있어 다시 세상에 나가란다면
낙타가 되어 가겠다 대답하리라.
별과 달과 해와
모래만 보고 살다가,
돌아올 때는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 하나 등에 업고 오겠노라고.
무슨 재미로 세상을 살았는지도 모르는
가장 가엾은 사람 하나 골라
길동무 되어서.

시인은 노래하고 있었다. 시인은 추억하고 있었다. 지금까지의 삶을 되돌아보는 마치 생의 마침표라도 찍을 듯 그 옛날 고향과 가족을 노래하고 그 시절 함께 마음을 나누던 벗들을 그리워하고 있었다. 시인이 누군가 있어 다시 세상에 나가란다면 낙타가 되어 가겠다 대답하리라 했던 낙타를 떠올린다. 누군가의 동반자로 누군가의 짐을 대신 짊어지고 그저 넓은 사막으로 사막으로 걸어가는 낙타. 절대로 빠르지 않은 걸음 걸음으로 천천히 걸어가는 그 모양이 복잡한 도시의 한 가운데로 오버랩된다.

추억과 그리움으로 잉태된 시들을 지나 시인이 떠나온 진짜 여행의 풍경이, 그 일상이 그대로 시가 되어 우리들이 고단함을 달래려 마시는 술잔, 찻잔에 잠긴다. 형제의 나라 터어키, 네팔의 숨막히는 고산의 눈 덮힌 세상 , 모든 이가 꿈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인을 길을 걸으며 세상을 담았다.

[어쩌면 시는 언젠가는 버려질 방언 같은 것일는지 모른다. 그러나 빠른 흐름 속에서, 또 세계의 말이 온통 하나로 통일되어가는 세계화 속에서 느린 걸음, 방언은 비단 무의미한 것은 아닐 터이다. 그 느림과 방언에서 오늘의 우리 삶이 안고 있는 갈등과 고통을 덜어줄 빛을 찾을 수도 있고, 병과 죽음을 몰아낼 생명수를 찾을 수도 있는 것이다. 127쪽 나는 왜 시를 쓰는가 중에서] 

긴 산문 속에서 시인은 시가 가지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쓸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타지에서 내 고향의 말투를 듣고 반색하는 우리네 모습을 기억하고 있다. 내 안에 숨겨진 그리움을 알고 있다. 시라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 시는 우리에게 잠자고 있는 감동을 흔들어 깨우는 때로는 소란스럽도록 시끄러운 노래인지 모른다.

숨어 있는 것들은 아름답다

숨어 있는 것들은 아름답다.
들리지 않아 아름답고 보이지 않아 아름답다.
소란스러운 장바닥에서도 아름답고,
한적한 산골 번잡한 도시에서도 아름답다.

보이지 않는 데서 힘을 더하고,
들리지 않는 데서 꿈을 보태면서, 그러나
드러나는 순간.

숨어 있는 것들은 아름다움을 잃는다.
처음 드러나 흉터는 더 흉해 보이고
비로소 보여 얼룩은 더 추해 보인다.
힘도 잃고 꿈도 잃는다.

숨어 있는 것들은 아름답다.
보이지 않는 데서 힘을 더하고
들리지 않는 데서 꿈을 보태면서,

숨어 있을 때만, 숨어 있는 것들은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