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집
전경린 지음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이상하게도 내가 전경린의 책을 선택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제목 때문이다. 오래 전에 만난 책의 제목도 '내 생에 꼭 하루뿐인 특별한 날' 이라는 책이었다. 그 향이 너무 짙어서 전경린의 책은 알게 모르게 거리를 두었었다. '엄마의 집' 이라는 책도 '엄마' 라는 단어가 없었다면 아마도 그 거리가 좁혀지지 않았을 것이다. '엄마의 집' 이라는 제목은 그 자체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나도 엄마인데 내 집은 어디에 있을까, 우리집이 아닌 엄마의 집이라는 것은 엄마의 공간이라는 뜻일까. 그런데 참 이상하다. 문학에도 유행이나 흐름이 있는 것일까? 전경린황진이를 쓸 당시도 또 다른 황진이가 시선을 받고 있었고 이 책 역시 얼마 전에 만난 공지영의 '즐거운 나의 집'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나 혼자만의 생각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독자층을 가지고 있는 두 작가의 작품을 내맘 대로 꼬집어 볼 수 있어 내심 쾌재를 부른다.

우리의 시대는 이만큼 변화하고 있다는 것일까. 이혼녀, 재혼, 별거, 한 부모 가정, 이제는 쉽게 만나지는 단어들이지만 여전하게 그 단어를 만날때 마음이 편치 않음은 나의 보수적 성향 때문일까. 이혼을 한 엄마가 자신의 집을 갖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걸었다. 그리고 이제 그 집에서 자신의 전부인 딸과 뜨거운 해후를 한다. 그리고 어느 날 아빠의 딸이 등장한다. 과연 핏줄이 섞이지 않은 승지와 호은과 엄마는 한 집에서 살 수 있을까? 책에서 만난 유쾌한 호은과 냉소적인 승지는 보색의 관계처럼 그렇게 두드러진다. 그러면서도 그 조화가 아름답다. 세상을 모두 껴안고 싶은 아빠와 나만의 세상이 곧 세상의 전부라 믿고 있는 엄마의 모습도 호은과 승지와 비슷하다. 여기서 나는 작가 전경린머리 속을 궁금해했다. 도대체 이런 글을 어떻게 쓸 수 있었을까, 아니 그녀는 왜 이리 따뜻해지고 평범해졌을까? 내용은 물론 평범하다고 말할 수 없지만, '내 생에 꼭 하루뿐인 특별한 날'의 미흔도 엄마였건만 미흔과 미스 엔 사이에는 몇 번의 변화가 있음을 느낀다.

엄마라는 것은 세상을 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엄마의 집이라는 것은 가족이 아닌 타인도 미움이 가득했던 상대도 모두 함께 할 수 있는 아주 큰 공간이다. 그리고 그 문은 언제나 열려있다는 것이다. 아, 전경린. 나는 그녀에 대한 색안경을 벗을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녀 역시 세상에 대한 문을 열어둔게 아닐까. 가족이라는 것은 이제 점점 그 의미를 정의하기 어려워진다. [일상언어로 표현 할 수 없는 존재적 고뇌를 가족과 나누는 것은 무리이다. 일상과 존재의 경계에서 가족간의 절망이 생겨나는 것이다.95쪽] [가족 공동체의 내부는 다정과 간섭이 넘치지만 사실, 한 치만 건너서 들으면 또 얼마나 이기적이고 흉한 공모인가. 96쪽] 가족이니까라는 이유로 쉽게 행한 말들과 행동으로 우리는 더 큰 상처를 만나기도 한다. 가족이라는 것, 보듬어어야 함은 물론이지만 존중해주어야 하는 기본적인 사회인 것이다.

혈연만을 중시하던 우리네 사회에서 다양한 가족의 구성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인데 나는 개인적으로 식구라는 말을 가족대신 쓰고 싶다. 공지영이 그려낸 집이라는 것이 화해의 공간이었다면 전경린이 그려낸 집은 공유의 공간이라고 말하고 싶다. 공지여의 글이 지극히 감정적이었다면 전경린은 이성적에 더 가깝게 느껴진다. 

'엄마의 집'이라는 것은 아빠의 부재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우리 사회를 꼬집는 것도 같았다. 곁에 있어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아빠의 부재, 그 부재가 가족을 위한것이고 더 나은 삶을 위한 것이라 하지만 그 부재가 얼마나 큰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야 할 것이다. 집을 갖는다는 것은 또 다른 자신을 갖는다는 생각이 든다. 

미스 엔은 책에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엄마라는 것이라고 말한다. 나 역시 내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내 아이의 엄마라는 것이다. 그녀가 딸 호은에게 하는 말은 모든 엄마가 그들의 아이들에게 하는 말이다. [사랑이든 삶이든, 난 그게 내 몫의 강물을 헤엄쳐 건너는 일 같아. 그 물은 내 존재로부터 솟아나와 큰 강을 이루어. 누구에게나 혼자 건너야 하는 강이 있는 거야. 263쪽]  [사람이란 관계 속에서 가장 사람답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누구나 일 년에 한 달쯤은 완전히 혼자 지내보는 것도 좋을 거야. 여행을 가라는 게 아니야. 자신의 일상을 그대로 하면서 가능한 지인을 만나지 않고 묵묵히 홀로 생활을 해보는 거야. 자신의 원형을 생생하게 느끼면서, 이곳과 자신을 만끽하면서. 270쪽]
함께 하면서 자신의 공간을 나누며 살고 있는 우리의 집, 나도 집을 꿈꾼다. 진정한 화해와 소통을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꿈꾼다. 엄마라서 참 좋다. 세상의 모든 엄마가 꿈꾸는 집, 그곳에 행복이 가득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