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그녀를 세상에 강하게 드러낸 소설 '몽고반점'을 나는 읽지 않았었다. 그 몽고반점이라는 제목이 묘한 거리감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었다. 단편집 '내 여자의 열매'와 '검은 사슴'을 만나고 다시 그녀의 책을 서성이고 있었지만 아직 다른 책을 읽지 못했다. 그러던 중에 신간의 소개에 한강의 새로운 소설 집을 냈다는 글을 만났을 때도 그저 기웃거리고 있었던 내 마음을 자극한 것은 단편 '그 여자의 열매'연상 선에 있다는 소개 글 때문이었다. 사실,한강의 글은 유쾌한 재미가 있거나 가슴 찡한 감동이 밀물처럼 달려오는 것이라 말할 수는 없다. 어쩌면 그러한 점이 내가 그녀의 글을 읽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그녀는 이 소설을 연작이라는 이름으로 구성하거나 염두에 두고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 여자의 열매를 만나고 더구나 몽고반점을 읽지 않는 내게 이 책은 그녀가 치밀하면서도 계획적인 구도로 차례로 글을 썼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채식주의자,몽고반점,나무 불꽃으로 이어지는 이 책은 크게는 인간이라는 테두리를 두고 볼 수 있으며 작게는 아니 근본적으로는 가족간의 욕망과 상처를 다루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내 안에 속하지 않기에 더 강한 욕망을 불러오는 것들이 있다. 지극히 평범하기에 아내와의 결혼을 선택시 주저하지 않았다는 채식주의자의 화자인 나는 지극히 평범하여 결국은 나와 다른 아내(영혜)를 이해하지도 이해하려하지도 하지 않고 자신의 삶에서 아내를 배제시킴으로써 나를 지키게 된다. 어느날 꿈 때문에 고기를 먹지 않게 된 납득하기 어려운 아내의 변화는 가족간의 마찰로 이어지고 결국 자살을 시도하고 정신병원의 신세를 지게 된다. 알 수 없지만 왠지 영혜는 숨을 쉴 수 있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그것은 잠시 잠깐,아니 나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그녀의 삶의 시작이었다. 영혜는 홀로 지내게 되고 그녀를 지켜내야만 한다고 믿는 언니의 가족의 이야기로 이어지는 몽고반점은 이 연작소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정부분이라 하겠다. 처제(영혜)에게 남아있다는 몽고반점의 이야기를 들은 그는 처제를 욕망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아내와 또 다른 모습을 가진 아내의 동생 처제. 그녀를 자신의 작품에 등장시키게 되고 결국은 욕망의 경계를 무너뜨리게 된다. 남편과 동생의 괴이한 상황을 목격한 아내는 자신의 욕망을 절제시킨다. 그 욕망이라는 것은 남편을 그리고 동생을 죽이고 싶었을지 모를 분노 가득한 욕망이리라. 결국 동생(영혜)는 정신병원으로 다시 향하게 되고 그리고 남겨진 그녀의 이야기는 나무 불꽃에서 그녀만의 절망과 슬픔 그리고 남아있는 삶을 쓰고 있다

어느 누구도 영혜를 이해하지도 이해하려도 하지 않는다. 나무 불꽃의 화자인 그녀는 말한다. (시간은 흐른다.182쪽 시간은 여전히 흐른다. 190쪽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 197쪽) 어떠한 경우에라도 어떠한 상황이라도 삶이라는 것은 지속되어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 그녀도 영혜도 자신의 욕망대로 삶을 살아오지 못한 상처를 가슴에 간직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결혼과 동시에 자매는 그 상처에서 조금 멀리 떨어져왔다고 생각했지만 그녀들의 남편은 그녀들을 통해 자신의 욕망만을 채우려 하고 정작 그녀들은 삶을 거부하는 모습으로,삶을 견뎌내는 모습으로 그렇게 살아간다.

어떤 일이 지나간 뒤에라도, 그토록 끔찍한 일들을 겪은 뒤에도 사람은 먹고 마시고,용변을 보고, 몸을 씻고 살아간다. 때로는 소리 내어 웃기까지 한다. 204쪽 나무가 되고 싶었던 그래서 거꾸로 서 있고 싶어했던 영혜, 나무가 부르기에 나무가 있는 숲으로 걸어갔다는 영혜를 만나면서 동생이 그토록 나무가 되고 싶어했는지 이제는 조금씩 이해할 수 있다. 

약간 멍이 든 듯도 한,연한 초록빛의,분명한 몽고반점이었다. 그것이 태고의 것,진화 전의 것,혹은 광합성의 흔적 같은 것을 연상시킨다는 것을, 뜻밖에도 성적인 느낌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식물적인 무엇으로 느껴진다는 것을 그는 깨달았다. 101쪽  소설 속 영혜도 그리고 그녀를 지켜주고자 마음을 쓸어내리던 그녀가  바란 것은 아마도 태고적의 그것이었는지 모른다. 햇빛을 받고 물을 먹고 사는 자연 그대로의 삶을 원했는지 모른다. 

엽기적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을 것이고 또한 한강을 떠올리면 도저히 연상시키지 못할 글이라 고개를 젓는 이도 있으리라. 그녀는 아무 것도 쓸 수 없는 고통의 시간을 지나왔다고 했다. 그녀가 쓰고 싶어도 쓰지 못했던 날들의 이야기들은 또 언제 내 손에 올까. 그 전에 나는 아직 만나지 못한 그녀의 책들을 품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