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자들
고은지 지음, 장한라 옮김 / 엘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안에 살고 있다면 그들은 밖에 살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안에서 밖으로 갔을 뿐 안을 잊지 않았으니 안과 밖에 살고 있다는 것일까. 밖에서 안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밖에서 사는 게 아닐까. 한국계 미국인 작가 고은지의 장편소설 『해방자들』 을 읽으면서 든 생각이다. 장강명의 소설 『한국이 싫어서』 속 주인공처럼 말 그대로 한국이 싫어서 떠난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쩔 수 없이 찾은 선택지가 그곳이었을지도 모른다.


소설은 1980년 대전의 요한으로 시작한다. 군계엄령과 시위의 시대 요한은 죽음을 당한다. 그가 공산주의자라고 했다. 요한의 딸 인숙은 성호와 결혼한다. 이제 인숙에게는 성호뿐이었다. 그러나 성호는 이민을 결심하고 인숙을 어머니 후란과 함께 남겨두고 혼자 떠난다. 성호가 떠나고 아이를 갖은 걸 알게 된 인숙은 시어머니와 함께 생활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인숙과 성호의 이민 정착기나 성공기를 바랐던 것 같다. 그러니까 이민자의 고단한 삶을 이어주는 가족애나 동포애 같은 걸 말이다.


그러나 소설은 다른 방향으로 나를 이끌었다. 인숙의 아들 헨리가 태어나고 가족이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면서 이야기는 분명해졌다. 미국 캘리포니아로 공간만 바꿔엇을 뿐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 성호를 향한 시어머니 후란의 애정, 아내와 시어머니 사이에서 우유부단한 성호, 그들을 피해 일터로 나간 인숙. 그리고 혼자 자라는 아이 헨리. 인숙은 일터에 헨리를 데리고 다녔다. 그런 헨리가 의지하는 건 인숙이 일터에서 만난 로버트, 그도 한국인이다.


인숙에게 이념의 희생자인 아버지가 있다면 로버트에겐 일제 식민지 시대와 제주 4·3을 겪을 어머니가 있다. 인숙이 기댈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 로버트인 건 당연한지도 모른다. 로버트는 사람들을 모으고 글을 쓰고 통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북에서 온 제니는 로버트를 돕는다. 성호는 그가 못마땅하다. 배경은 미국이지만 한국 현대사를 짚어가며 국가는 무엇인가 묻는 듯하다.


88올림픽과 삼풍 백화점의 붕괴, 북한을 지원하는 남한의 정책, 그리고 세월호 참사까지. 안이 아닌 밖에서 바라보는 시선은 객관적이고 명확하다. 제니와 헨리 사이에 태어난 아들 하루가 어째서 아무도 사람들을 구해주지 않느냐는 질문, 그것이 진실이다. 안에 있기에 날카롭게 파고들지 못하는 부분을 작가가 밖에서 분명하게 묻는다고 할까. 허국의 이야기라고 하지만 우리가 듣지 못한 답을 향한 질문이라는 걸 안다.


그래서 한국에 와서 강연을 하다 스스로 생을 마감한 로버트는 끝내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가 잊어버리고 싶었던, 아니 기억하고 싶었던 건 무엇이었을까.

“잊어버리려고 애쓴다는 건 기억하기 위해 애쓴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161쪽)


“우리의 이 작은 나라에서도, 또 넓은 세계 속 우리의 입지에도 진전은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한국을 떠났을 때야 비로소 자유롭게 한국인이 될 수 있었습니다.” (233쪽)


아름다운 문장으로 쓰인 소설이지만 한 편으로는 역사 다큐멘터리의 내레이션 같았다.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았다. 가족소설의 형태를 지녔지만 공동체 의식이나 그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단단하게 묶어줄 대상은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시간이 지나 인숙과 성호가 화해하고 제니와 헨리, 그리고 하루가 한 방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건 애틋하고 따뜻했다. 아픔과 상처, 뒤늦게 찾아온 작고 소소한 행복이 그들 가족을 떠나지 않기를 바랐다.


제니가 처음 찾아왔을 떄처럼 편안하게 머물렀다. 아이들이 도착하고 얼마 안 되어 나는 성호더러 새 엔진을 단 제니의 승합자를 차고에다 세워두라고 했다. 아이들과 함께 살면서 처음 10년 동안, 매일 아침 나는 하루를 바닷가로 데리고 가서 제니가 쉴 수 있게 해주었다. 제니가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면 부엌 조리대에서 커피를 타주었다. (2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