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 - 1928, 부산
무경 지음 / 나비클럽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상한 소문을 흘려듣는 이가 있고 진위를 가리려는 이가 있다. 후자의 경우 호기심을 뛰어넘은 그 무언가가 있다. 이야기의 앞뒤를 살피고 그로 인해 피해를 보는 이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 같은 것이라고 할까. 무경의 『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 : 1928, 부산』 속 ‘천연주’도 그런 마음이었을 것이다. 궁금증을 불러오는 제목의 탐정소설이자 추리소설이다.


1928, 부산에서 알 수 있듯 일제강점기의 부산을 배경으로 들려주는 세 개의 이야기다. 그러니 세 개의 사건과 세 명의 범인이 있다. 현재가 아닌 100여 년 전에 일을 법한 사건을 추리하는 재미가 있다. 물론 이번에도 예외 없이 나의 추리는 완벽하게 실패했다. 그러나 그 시대의 삶을 즐겁게 상상할 수 있다. 소설의 중심인물인 ‘천연주’는 일제강점기 조선 최고 갑부의 무남독녀다. 일본 이름은 센다 아카네로 죽을 고비를 넘긴 후 작은 다방 ‘흑조’를 운영한다. 비서 야나 씨와 경호를 맡는 강 선생이 항상 그녀 곁을 지킨다.


천연주의 취미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었다. 세상의 흔하디흔한 이야기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녀가 좋아하는 것은 이상하고 진상을 쉽게 알 수 없는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였다. 그래서 자신이 본정本町에서 경영하는 작은 다방 ‘흑조’에 앉아, 종종 찾아오는 손님들이 가져오는 온갖 기이한 이야기를 즐겨 들었다. (4쪽)


이 소설이 흥미로운 건 다른 추리소설이나 탐정 소설과 다르게 사건을 파헤치는 과정이 아니라 천연주란 인물에 대한 궁금증이다. 천연주가 화자로 등장하지 않는다. 첫 번째 이야기는 부산으로 요양을 떠나는 천연주 일행과 같은 기차를 탄 손 선생, 두 번째는 같은 여관에 묵게 된 일본에서 조선으로 여행을 온 부부 중 남편, 세 번째는 연주의 고보 선배인 상미의 시선으로 진행된다. 천연주의 이동에 따라 구포 야시고개, 동래온천, 장수통으로 장소가 변경된다. 아마도 부산이 고향이거나 부산에 거주하는 이에게는 더욱 남다른 이야기가 될 것이다. 시대 소설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과수원과 양계장을 소유한 일본인 개를 여우가 죽였다는 첫 번째 사건은 구전설화를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동래 온천 여행을 온 일본인 아내가 귤을 먹고 죽은 두 번째 사건이야말로 범인을 추리하는 재미가 남다르다.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있던 이들이 모두 용의선상에 오른다. 천연주도 예외는 아니다. 살해 동기가 없는 인물을 하나씩 지우고 마침내 밝혀지는 범인. 쓰러질 듯 가냘픈 외모와 창백한 얼굴의 천연주는 사건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슬그머니 실마리를 던질 뿐이다.


정말로 탐정이란 마음을 들여다보는 요괴 같은 존재인지도 모른다. 속마음을 꼭꼭 숨기고 살아야만 하는 이런 세상에서는 정말 달갑지 않은 존재였다. (179쪽)


마지막 세 번째는 연주의 고보 선배인 상미와 그의 남자친구 경석을 쫓는 회색 모자의 정체를 알아내는 이야기다. 상미와 경석이 일본으로 가려는 이유에 대한 구제적인 설명도 없기에 가장 미스터리하다. 그러나 눈치가 빠른 독자라면 1928년과 일제강점기를 생각한다면 그 둘의 계획을 예상할 수 있다. 회색 모자를 잡기 위해 함정을 파고 추리하는 과정은 드라마의 한 장면 같다. 그와는 별개로 상미와 연주의 대화로 그들의 학창 시절과 연주가 어떤 학생이었는지 궁금증은 커진다.


『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 : 1928, 부산』 은 재미있는 소설이다. 천연주를 비롯한 야나 씨와 강 선생이란 캐릭터가 앞으로 어떤 사건을 해결할지 기대하게 만든다. 이 소설에서 내가 찍은 방점은 천연주가 중요하게 언급한 이런 문장이다. ‘이상한 것은 이상해야 할 이유가 있기에 이상해 보이는 것이다.’ 이상한 것을 이상하게 보는 시선, 현재의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태도는 아닐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