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최은미 지음 / 창비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끼는 사람의 힘든 모습을 보는 일은 고통스럽다. 뭐라도 해주고 싶은데 아무리 찾아도 방법이 보이지 않을 때 좌절한다. 그럴 땐 상대에게 마음을 전하는 일도 조심스럽다. 혹여 오해할 수 있으니까. 마냥 시간을 기다린다. 그 힘들이 사라지기를 바라면서. 그저 비껴 서서 마주할 시간을 기다리는 것이다. 최은미의 장편소설 『마주』는 복잡한 소설이다. 무엇이 복잡한고 하니 마음이 그렇다. 그건 어떤 마을일까. 가장 가까운 이와의 관계가 어긋날 때 무너지는 마음, 잘 보이고 싶은 마음과 반항하고 싶은 마음이 소용돌이치는 것. 엄마와 딸의 관계, 막역한 친구 사이, 크게 나가 사회와 개인의 관계까지.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의 봄을 가만히 떠올린다. 모든 게 비대면을 향해 나가던 시절, 확진자의 동선과 겹치는 곳이 있는지 살피며 마음을 졸이며 하루하루 살아가던 시절. 소설 속 '나리'가 기정 시에서 운영하는 캔들 공방도 다르지 않았다. 단편 「여기 우리 마주」에서 확장된 이야기. 공방의 손님이자 친구였던 '수미'의 확진으로 공방은 문을 닫고 나리가 느끼는 공허와 단절.


수미는 확진되기 전 딸 '서하'와 크게 싸우고 나리는 수미가 아닌 서하를 품는다. 나리도 채은의 엄마였지만 서하를 향한 수미의 집착을 이해할 수 없다. 가족끼리 만나고 친분을 쌓았지만 엄마라는 역할에서 수미와 나리는 달랐다.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였다. 하지만 소설의 제목처럼 그건 수미와 나리가 마주해야 할 것, 수미와 서하가 마주해야 할 근본적인 것이었다. 그러니까 연대하고 나중에는 환대하는 삶에 대한 희망 같은 것.


사실, 나는 이 소설이 무척 좋았지만 그 좋음에 대해 말하는 게 참 어렵다. 코로나 검사를 하면서 결핵 균의 잠복 사실을 알고 나리가 떠올린 기억들. 최은미가 그려낸 나리의 섬세한 감정선을 따라가는 일은 어린 시절 나리와 잠깐 시간을 보낸 '만조' 아줌마로 이어진다. 사과 과수원을 했던 시절, 항상 피곤했던 나리의 엄마, 여자여자한 나리와 다르게 체격이 좋은 엄마, 엄마 몰래 군것질의 흔적을 사과 밭에 숨기는 나리. 엄마라면 절대 주지 않을 것들을 주는 만조 아줌마. 과수원을 떠나 다른 지역에서 성장해 결혼을 하는 나리 앞에 나타난 만조 아줌마. 결핵으로 연결된 만조 아줌마. 나리의 몸에 남아 있는 그것은 만조 아줌마에게서 시작된 것일까. 어떻게 하면 건강하고 맛난 사과를 열게 하는지 아는 사람, 나리에게 시장 곳곳을 구경시켜주며 특별한 경험을 안겨 준 사람. 엄마 보다 더 궁금하고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사람. 수미가 퇴원하고 함께 아줌마의 사과밭에서 일을 도우며 만조 아줌마가 살던 딴산에 대해 알게 된다. 세상으로부터 격리된 사람들이 모여든 곳, 혐오와 냉대가 시작된 곳. 그래서 그들은 뭉칠 수밖에 없었고 끈끈하게 연대할 수 있었다.


그들은 하나만을 알았다. 어떤 이유로 들어왔든 딴산에 들어왔다는 건 아무 데도 갈 곳이 없었다는 뜻이었다. 그들에겐 세상 어디에도 자신의 한 몸을 누일 장소가 없었다. 있을 자리가 없었다. 죽을 데가 없었다. 그래서 딴산으로 들어갔다. (224쪽)





그 시절 결핵은 코로나19 같은 것이었을까. 피하고 기피했지만 시간이 지나 일손이 부족할 때 딴산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 마음은 무엇일까. 그럼에도 일꾼일 뿐 공동체를 이루는 일원이 될 수 없다고 분명하게 선을 긋는 사람들. 그런 대우를 받으면서도 만조 아줌마는 나리 엄마의 고단함을 살폈고 어린 나리의 마음을 읽었다.


엄마가 방학 때마다 일주일에 한 번 나를 만조 아줌마한테 맡긴 건 엄마의 부탁이 아니라 만조 아줌마의 제안이었다. 숨 좀 쉬라고 그랬지. 나리도 나리 엄마도. 만조 아줌마는 말했다. 이나리와 이나리 엄마한테 동시에 가지고 있던 어떤 연민에 대해서, 보이는 게 다가 아닌 것을 담고 있던 이나리라는 여자아이의 눈빛에 대해서, 쓰이고 또 쓰이던 마음에 대해서. (282쪽)


만조 아줌마의 마음처럼 나리도 그러했다. 수미와 심각한 갈등으로 힘든 서하를 보았다. 그런 마음 때문에 나리와 수미 사이가 예전으로 돌아오려면 시간이 필요했다. 그래도 만조 아줌마를 만나고 온 후 수미와 나리는 조금 편안해졌다. 딴산 지역이 코호트 격리가 되고 그들을 걱정하는 마음은 같았다. 아픈 사람, 사회의 안전장치에서 배제된 이들을 위한 시스템의 부재. 그것은 뼈아픈 고통이었다. 불과 3년 전의 일을 우리는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 서로가 서로를 염려하고 돌봐야 하는 존재라는 걸 말이다. 비대면 교육과 업무에서 대부분의 돌봄은 여성이 감당해야 했다. 엄마라서, 이모라서, 고모라서, 여성은 더욱 끈끈해졌다. 하지만 더 이상 개인의 희생이 아닌 제도적 돌봄이 필요하다.


최은미는 개인의 불안과 관계의 단절을 개인과 사회로 연결하여 확장시킨다. 개인과 개인이 마주한 사회가 있다고 말한다. 너와 내가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마주해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재난과 고통은 한 사람만이 감당해야 할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것이라고. 그렇게 살아야 한다고. 앞으로 살아갈 날에 우리가 마주할 모든 것들이 그러하다고.


서하를 보고 있는 어른이 너뿐이 아니라고, 너만이 아니라고, 가족이어서 해줄 수 없는 게 있다는 걸 받아들이라고, 가족이 아니어서 할 수 있는 게 있다는 걸 믿어보라고, 가족 아닌 그이들이 저기 있다고, 수미가 체감할 때까지 나는 언제까지고 말해줄 수 있었다. (304쪽)


한 사람의 성장에 얼마나 많은 이들의 돌봄과 기도가 필요한가 생각한다. 성장뿐일까. 살아가는 내내 우리는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존재가 아니던가. 도움을 받은 만큼 도움을 주는 삶이야말로 아름다운 삶이다. 서로 똑바로 향하여 마주 보며 눈부신 삶을 만들어 갈 수 있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