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도 울지 않는 밤
김이설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3월
평점 :
여기가 바닥이라고 이제 일어서면 된다고 나를 안심시키며 살았다. 한 번에 온전하게 설 수 없어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조금씩 천천히 일어서다 넘어져도 괜찮다고. 툭툭 손을 털고 기지개를 켜면 될 거라고 나를 위로했다. 그런 날들이었다. 울지 않으려고 절망하지 않으려고 애썼다. 그런 시간이 나를 성장시켰고 단단하게 만들었다고 믿었다. 그런데 이제 도무지 모르겠다. 바닥이라 여겼던 시간은 바닥이 아니었고 곡선의 마음은 어디론가 튕겨나가기 일쑤다. 삶이 쉽지 않다는 건 오래전에 알았지만 사는 게 버거워 모든 걸 놓아버리고 망치고 싶다는 생각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둘러보면 나의 삶은 오히려 평온한다는 게 어디론가 숨고 싶게 만든다.
김이설의 단편집 『누구도 울지 않는 밤』를 읽으면서도 그랬다. 나는 아직은 괜찮다고 그러니 푸념이나 절망은 잠시 넣어두라고 말이다. 물론 고통과 절망은 개인적이어서 평균을 찾을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김이설의 소설 속 인물은 저마다 시련을 안고 살아아간다. 누구나 그런 것처럼이라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공감하고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 고통과 시련의 시작이 가족이라면 말이다. 내 의지로 선택할 수 없는 원가족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사느라 바빠 자녀를 돌보기 어려운 경우, 주변의 도움을 받는다. 가까운 형제나 돌봄이 필요한 자녀 중 첫째. 이모나, 언니 누나가 그 대상이 된다. 「모면」의 ‘소영’도 엄마보다는 이모와 친했다. 이모가 된 지금 형부의 사무실에서 일하면서 육아에 지친 언니를 도와준다. 그런데 어느 순간 돌봄의 주체가 돼버렸다. 부모인 언니와 형부 대신 퇴근 후 조카를 돌보며 이모와 엄마의 관계를 생각한다. 아버지에게 몹쓸 짓을 당한 이모, 그 모습은 고스란히 자신에게 투영된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비밀을 공유한 사이라는 이유를 대며 모면하는 건 아닌지.
가족은 쉽게 끊어낼 수 없기에 더욱 힘들다. 그런 이유로 가족이 되기를 바라는지도 모른다. 영원한 결속을 바라며 이별을 원하지 않기에 서로가 서로에게 가족이 되어주기를 바란다. 그러나 막상 가족의 형태를 갖추고 살아가지만 그것이 완전한 해답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된다. 「내일의 징후」 속 동성 연인 ‘소혜’와 ‘성은’은 마주한 현실과 「가족의 일생」에서 다른 남자의 아이를 가진 ‘은주’와 가족이 된 ‘정균’이 짊어진 가장의 무게는 너무 힘들었다. 이유 없이 가출을 하는 은주를 기다리는 정균 곁에는 딸 예령만이 남았다. 회피한 대화의 부족일까, 아니면 무엇이 가족을 해체하게 만들었을까.
처음엔 그랬다. 같이 살게 되면 같은 걸 꿈꿀 줄 알았다. 같이 있으면 같은 열망을 품을 줄 알았다. 같이 사는 것이 완결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내일의 징후」, 53쪽)

가족이라는 이유로 이해할 수 없는 상황까지 받아들여야 할까. 그게 가능한 사람인 얼마나 될까. 어린 시절 가정을 버리고 떠나 늙고 약해진 모습으로 돌아온 아버지를 받아들이는 「환기의 계절」 속 엄마를 자매는 납득할 수 없다. 당연하지 않은가. 그런 엄마를 보면서 큰 딸인 ‘나’는 자신의 상황을 돌아본다. 외도를 당당하게 밝히고 이혼을 요구하는 남편, 자신과 같은 처지로 딸을 키우고 싶지 않기에 부정하고 외면한다. 아버지의 정체성과 오랜 시간 친구로 지냈다는 엄마의 사정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가족은 무엇일까.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형태만이 가족일까.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있다는 걸 알면서도 그것을 인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자신의 성장의 결핍이 큰 잘못도 아닌데 말이다. ‘나’에게 닥친 시련은 쉽게 치유되지 않겠지만 ‘나’는 조금 더 유연해질 것이다. 계절은 순환하고 삶은 멈추지 않으므로.
이제는 예전의 일상을 되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래도 나는 다음 계절을 기다리기로 했다. 그것이 내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일이었다. (「환기의 계절」, 154쪽)
이처럼 가족은 다양한 이유로 해체될 수 있다. 해체가 잘못도 부족도 아니다. 그 자리를 채울 누군가가 있기 마련이다. 삶이란 참 신기하다. 앞서 언급한 「모면」에서 엄마의 자리를 채워준 이모나, 「가족의 일생」과 「환기의 계절」에서는 자녀가 있다. 온전하게 영원할 수 없지만 내 곁을 지키기 위해 살아가는 일이 삶이기도 하다. 자녀에게만 기대서는 안 되겠지만 말이다.
원가족과 분리를 원하는 자녀를 바라보는 안타까움은 살아온 시간이 가져다준 경험 때문이다. 「긴 하루」에서 ‘유순’은 딸 ‘혜서’가 연극을 하는 남자를 사귀는 일이 그러했다. 집을 나간 혜서가 맞닥뜨릴 고단한 삶이 훤히 보인다. 자꾸만 어긋나는 딸과의 관계는 독립했던 딸이 자신의 모든 걸 정리하고 부모가 있는 곳으로 돌아오는 「계절이 바뀌는 곳」에서도 마찬가지다.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죽음으로 버섯농장을 하는 엄마 곁으로 돌아온 ‘유경’은 적응이 어렵다. 경찰이 된 동창생 ‘민수’가 도와주고 있지만 버섯을 키우는 일도 헤어진 연인에 대한 마음도 힘들다. 농장을 넘기라는 민수의 부모와 그러면서도 민수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민수의 어머니. 뭐 하나 제대로 되는 게 없지만 ‘유경’은 포기하지 않는다.
여기는 끝이 아니었다. 나는 어떻게든 방법을 찾을 것이었다. 아직은 마음먹은 대로 할 수 있었다. 그 사실을 나는 누구보다도 잘 알았다. (「계절이 바뀌는 곳」, 219쪽)
『누구도 울지 않는 밤』 속 인물을 통해 김이설이 전하고 싶은 바람이 그렇다. 포기하지 않는 마음, 절망의 순간도 지나갈 거라는 믿음을 심어준다고 할까. 「「반 뗀 라 지?」속 자신을 버리고 떠난 엄마를 기다리며 고모의 학대와 친족에게 성폭력을 당하고 임신까지 한 열여덟 ‘두연’이 다른 삶을 찾아 오토바이를 타고 떠나는 마지막 장면이 그렇듯, 「치유정원에서」에서 ‘나’는 아무런 설명 없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동생과 그로 인해 정신을 놓아버린 엄마와 위로가 되었고 사랑했던 연인마저 떠나고 직장을 그만두어야 하지만 삶이 끝났지 않았다는 걸 안다.
나쁜 일을 잊을 수 있다면, 어둔 기억을 지워버릴 수 있다면, 차라리 그럴 수만 있다면, 하지만 살아 있다는 것은 언제든 나쁜 기억과 마주하는 일이었다. 살아 있다는 것은 어두운 상처를 피하지 않는 일이었다. 살아 있다는 것은 끝에 대해서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엄마가 온전치 않다고, 석우는 떠났다고, 나는 아직 연약하다는 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이었다. (「치유정원에서」, 177쪽)
모든 걸 삭제하고 리셋할 수 없는 게 삶이다. 빠른 속도로 회복되거나 치유되지 않더라도 천천히 시간이 지나고 계절이 바뀌는 동안 천천히 나아지려 노력하며 살아갈 뿐이다. 김이설은 가족 안에서의 여성의 위치, 돌봄, 희생, 폭력에 대해 말하지만 날카롭고 불편한 묘사를 통해 혹독하게 각인시키는 것이 아닌 고달픈 삶을 어루만지는 연대의 손길과 마음을 들려준다. 실패, 좌절, 시련, 고통은 여전하더라도 말이다. 아직은 괜찮다는 다짐과 그게 무엇이든 할 수 있이 있다는 걸 받아들여도 된다고. 그러면 조금 괜찮아지고 나아진다고. 누구도 울지 않는 밤이 찾아 올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