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와 파도 - 제1회 창비교육 성장소설상 우수상 수상작 창비교육 성장소설 8
강석희 지음 / 창비교육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가장 힘든 순간 중 하나는 아무도 내 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때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의논할 대상이 없다는 건 얼마나 막막한 일인가. 주변에 많은 사람들 가운데 내 말을 들어줄 이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 그 삶은 스스로 무너진다. 그건 어른의 삶에 한정된 게 아니다. 어떤 삶을 살든, 어느 나이를 살든 마찬가지다. 우리 사회가 간과하는 것도 그것이다. 그런 마음은 모두에게 해당된다는 사실 말이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다는 막연한 말은 무책임하다.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말이다.


제1회 창비교육 성장소설상 수상작 『꼬리와 파도』은 그런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비겁한 어른, 상처를 지닌 아이를 이용하는 몹쓸 어른, 지위를 이용해 폭력을 일삼는 어른, 그들을 상대로 연대하며 단단하게 성장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대견하면서도 아프다. 주변에 의논하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어른이 없다는 게 안타깝고 부끄럽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폭력의 현장과 실태를 교육 현장인 학교에서 마주한다. 그들만의 위계라 여기며 여전히 자행되는 운동부의 모습, 성적을 내기 위한 방법으로 무자비한 훈련을 강행하는 코치, 고교 진학을 위해 약자가 되어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하는 아이들. 그 아이들 가운데 여자 중학교 축구 선수 무경이 있었다. 무경은 축구가 좋았고 친구 지선과 함께 운동하며 우승을 꿈꾸고 국가대표가 목표였다. 그런데 지선이 어려움을 당했다. 합숙 훈련소에서 남학생에게 추행을 당하는 순간 도와준 코치가 그것을 빌미로 지선을 괴롭혔다. 무경은 참을 수 없었고 도움을 청했지만 돌아오는 건 지선을 향한 공격과 상처뿐이었다.


지선은 학교를 그만두고 무경은 전학을 왔다. 고등학생이 된 무경은 축구 선수 대신 체육 교사가 되기 위해 태권도 도장을 다닌다. 그곳에서 중학생 예찬을 보게 된다. 예찬은 도장에서 약한 아이였다. 태권도를 잘한다는 이유로 띠가 다르다는 이유로 대련을 핑계로 폭행이 이어졌다. 그 중심엔 고등학생 황동수가 있었다. 예찬은 학교에서도 따돌림을 당했다. 그런 예찬에게 무경은 뭔가 달랐다. 태권도를 잘 하면서도 상대를 무시하지 않았고 자신을 도와줬다. 좋아하는 마음이 생겼고 뭔가 이야기를 하고 싶어졌다. 그러데 하계 훈련을 다녀온 후 무경과 동수 사이가 심각해 보였다.


동수는 무경의 선배 서연과 사귀면서 무경에게 호감을 느꼈다. 무경은 아니었다. 무경의 자취 집에 동수가 찾아오고 그 광경을 예찬과 서연이 목격했다. 동수는 자신을 좋아하는 서연의 감정을 이용해 폭력을 가하는 횟수가 늘어났다. 서연은 상담을 신청하고 상담교사에게 의지하지만 상담교사는 이성적인 호감을 표한다. 서연의 경우도 무경의 친구 지선과 다르지 않았다. 어디에도 교사로 존재하는 선생님은 없었다. 학교의 위신이 중요했고 서연의 책임으로 돌렸다.


서연은 현정을 통해 무경을 찾아왔다. 현정은 서연과 같은 학년으로 무경과 친하게 지냈다. 현경에게도 지선과 같은 친구 미란이 있었다. 어디서든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게 현실이었다. 서연은 무경의 축구 선수였던 시절의 이야기를 퍼트린 일을 사과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이들은 서로가 서로를 지키기로 한다. 작은 연대가 시작된 것이다. 꼬리에 꼬리를 이어 만든 리본은 파도가 되었다. 그 리본에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적혀있었다. 어른들은 감추려고 급급했지만 아이들은 있는 그대로 세상에 내보였다.


선생이라는 위치로 행한 폭력, 농담을 빙자한 성추행과 언어폭력, 휴직으로 모면한 사과, 피해자를 더욱 힘들게 만드는 현실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 가득하다. 작가는 현직 교사의 시선으로 학교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해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문제를 축소시키고 자신의 안위만 염려하는 학교, 그 안에서 아이들을 대변하는 선생님을 향한 질책과 부당한 대우까지. 학교라는 공간은 사회로 확장되어 독자에게 전달된다. 사회 곳곳에 약자를 향한 폭력, 데이트 폭력, 스토킹의 대상은 대부분 여성이다.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게 더욱 가혹한 사회. 폭력에 대처하는 올바른 자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만든다. 도움을 구하는 이가 가장 원하는 게 무엇인지도 말이다. 더 이상 피해자만의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혼자가 아니라는 걸, 곁에 우리가 있다는 걸, 연대를 통해 치유하고 성장하는 아름다운 소설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한다.


우리가 지켜 줄게. 혼자서는 못하지만 우리가 되어, 너를 지켜 줄게. (2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