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
모하메드 음부가르 사르 지음, 윤진 옮김 / 엘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이 삶을 구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실의에 빠진 이에게 어떤 희망이나 길을 제시할 수는 있다. 반대의 경우가 될 수도 있다. 문학이 삶의 전체가 되거나 일부가 되는 건 지극히 사적인 일이 되었다. 그럼에도 문학을 특히 글쓰기를 갈망하는 이들은 많다. 무엇을 쓰는가가 중요할까. 아니면 쓰려는 자가 되려는 게 중요할까. 2021 공쿠르상 수상작 모하메드 음부가르 사르의 『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은 복잡한 마음을 불러오는 소설이었다. 복잡하다는 건 소설이 어렵기도 했고 소설을 통해 작가 음부가르 사르가 말하고자 하는 게 많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다.


여타 소설을 읽다 보면 어느 순간 작품을 통해 문학의 시원이나 자신의 존재를 찾으려 노력하는 글을 쓰고자 하는 게 아닌가 싶은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러니까 민족의 정체성을 다루거나 역사의 한 장면을 다루는 소설 말이다. 『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의 경우도 다르지 않게 다가왔다. 1990년 세네갈에서 태어나 프랑스어로 정규교육을 받은 작가 음부가르는 소설 속 화자인 ‘디에간 라티르 파이’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이자 세네갈의 문화와 역사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의 그가 있기까지 지난 성장과정이나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것이 문학의 질료가 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러니까 작품과 작가를 일정 부분 동일시할 수밖에 없다. 


‘디에간’은 음부가르가 그랬듯 세네갈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글을 쓰는 작가다. 아프리카 출신의 유망주 정도 되겠다. 타국에서 타국의 언어로 글을 쓴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문학적 재능으로만 판단하고 평가한다고 하지만 여전히 흑인과 아프리카란 꼬리표를 달고 있다. 그런 그가 세네갈 출신의 문학 선배라 할 수 있는 ‘T.C. 엘리만’의 소설 <비인간적인 것의 미로>을 알게 된다. 1938년에 발표된 소설, 단 한 권의 책을 끝으로 문학계는 물로 프랑스에서 사라진 사람, 엘리만을 추적하게 된다. 여러 방면으로 수소문을 했지만 책도 출판사도 찾을 수 없다. 실재의 인물이 아닐 수도 있다는 말이 돌 정도다. 


그럴수록 디에간은 그에게 빠져든다. 그러다 운명처럼 세네갈 출신의 여성작가 ‘마렘 시가 D.’를 만나고 그에게서 <비인간적인 것의 미로>과 엘리만에 대해 듣게 된다. 출판 당시 책에 쏟아졌던 찬사와 엘리만을 ‘흑인 랭보’라 칭했던 이야기, 그 뒤를 이은 비판과 비평. 소설이 아프리카 세네갈의 기원 신화와 같고 심지어 엘리만이 여러 작품을 차용한 콜라주였다며 출판사를 상대로 소송을 했다고. 그러나 엘리만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고 침묵만 고수하다 결국 자취를 감췄다고. 이쯤 되면 <비인간적인 것의 미로>의 내용과 묵묵부답 엘리만의 진실이 궁금해진다.


『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은 디에간이 엘리만의 흔적을 찾는 과정을 들려주는 동시에 그와 관련된 인물들이 들려주는 엘리만에 대한 기억을 다룬다. 파리에서 시작해 마렘 시가 D.를 만나는 암스테르담, 마렘 시가 D.에게 엘리만을 들려주는 아이티 시인의 부에노스아이레스, 세네갈의 다카르까지 그 여정은 엘리만 한 사람만의 인생이 아닌 다양한 세대의 인생 이야기라 할 수 있다. 그들이 어떤 시대를 살았고 어떤 문화를 경험하고 어떤 차별과 어떤 고통을 견디며 살았는지 말이다. 


엘리만이 책을 쓴 1938년 아프리카 세네갈과 프랑스의 관계.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던 세네갈 사람들의 생각과 태도. 엘리만에게 프랑스는 어떤 나라였으며 어떤 의미였을까. 그것은 곧 디에고의 정체성과 문학에 대한 질문과 맞닿는다. 디에고뿐만 아니라 파리에 살고 있던 아프리카 출신의 작가들과 ‘마렘 시가 D.’에게도 마찬가지였다. 1930년대가 아닌 21세기에도 과거의 역사는 사라질 수 없으니까. 현재 프랑스 최고 권위의 문학상을 수상한 음부가르까지도.


참기 어려운, 추잡스러운, 부르주아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 하지만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어. 그게 바로 우리 삶이야. 문학을 하려고 애쓰는 것, 그리고 그와 동시에 문학에 대해 말하는 것. 말하는 것 역시 살아 있게 만드는 한 가지 방식이니까. 문학이 살아 있는 한 우리의 삶은, 아무리 무용하고 아무리 비극적인 희극이고 무의미할지언정 그래도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건 아닐 수 있지. 우리는 문학이 이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인 듯 굴 수밖에 없어. 이따금, 아주 드물겠지만 그래도 어쨌든 가끔 정말로 그럴 수 있으니까. 그리고 누군가는 그것을 증명해야 하니까. 우리가 바로 그 증인이야, 파이. (76쪽)


음부가르는 문학이 결코 무용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싶었던 것일까. 아니면 프랑스의 식민지가 아닌 세네갈의 역사나 그들의 전통과 영혼을 세계에 알리고자 했던 것이까. 아니면 제국주의와 전쟁의 잔혹함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는 엘리만의 목소리를 빌려 대신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엘리만을 만나 그의 재능을 발견하고 <비인간적인 것의 미로>를 편집하고 만든 샤를과 엘리만의 다툼에서 엘리만은 ‘문학은 원래 약탈의 유희라고, 자기 책은 바로 그걸 보여준다고 대답했고요. 독창적이지 않으면서 독창적이기, 엘리만은 그게 바로 자기의 목표 중 하나라고, 문학은, 심지어 예술은 그렇게 정의될 수 있다고 했어요. 그러면서 자기의 또 다른 목표는 창작의 이상을 위해 모든 게 희생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거라고’(271쪽)


프랑스가 세네갈을 지배하지 않았다면 엘리만 같은 인물은 존재할 수 있었을까. 미지의 땅을 발견하고 문명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옳은 방법은 무엇일까. 서로 다른 문명이 만나 새로운 문화로 태어나는 건 불가능한 일인가. 반드시 식민지화가 진행되어야만 할까. 그 과정에서 발생한 상처와 고통은 제목 그대로 ‘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으로 남았다. 소설 속 프랑스와 세네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 곳곳과 우리의 역사도 그러하다. 역사가 문학으로 재탄생되는 일이 의미를 지니면서도 아픈 이유다.


어쩌면 문학 속에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을지 모른다. 문학은 시커멓게 반짝이는, 안에 뭐가 들어 있는지 알 수 없는 관과 같다. (526쪽)


그러니 문학은 삶의 일부이면서 전체가 될 수도 있다. 안타깝고도 아름다운 『인간들의 가장 은밀한 기억』 속 인물들에게 문학이 그러했듯. 문학은 스스로를 증명하는 도구이자 역사를 재조명하는 통로가 된다. 삶을 구원할 수는 없겠지만 정체성으로 혼란스러운 모두에게 글을 쓴다는 건 내면을 오래 들여다볼 수 있는 일이며 시시각각 변하는 나를 직시할 수 있는 길은 아닐까 싶다.


글을 쓴다는 것은 언제나 다른 것을, 또 다른 것을, 다시 또 다른 것을 요구한다고. 마침내 그 목소리가 조용해지면 당신은 다른 것, 굴러다니고 달아나는 다른 것, 당신 앞에 놓인 다른 것의 반향과 함께 길 위에, 고독 속에 남는다. 글을 쓴다는 것은 새벽을 기약할 수 없는 밤 속에서 언제나 다른 것을 요구한다. (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