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한 얼굴
제임스 설터 지음, 서창렬 옮김 / 마음산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만의 분명한 목표가 있는 사람을 행복하다. 삶 전반에 자신만이 아는 기쁨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타인의 시선에는 고통으로 점철된 삶으로 비칠지라도 상관없다. 나만의 기쁨을 누리고 그것을 채우는 일에 만족하고 집중할 수 있으니까. 누구도 그 삶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다가 지칠 게 뻔하다. 우리는 그가 아니고 그도 자신의 삶에 대해 설명하거나 이해받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임스 설터의 장편소설 『고독한 얼굴』의 주인공 ‘랜드’도 다르지 않았다. 그저 자신이 원하는 삶을 향해 나갈 뿐이다. 그에게 삶은 그런 것이다. 랜드에게 산을 오르는 일, 고산 등반은 그 자체가 삶이었다. 어떻게 등반을 시작했고 무엇 때문에 산에 매료되었는지 소설은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그저 오르는 일에 기쁨을 두는 것일까. 아니다. 랜드의 욕망은 산 정상을 오르는 정복에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프랑스의 알프스 ‘샤모니’의 드뤼까지 죽음의 여정을 시도할 필요가 없다. 그곳에서 친구 캐벗과 드뤼 서벽을 오르는 과정에서 등반에 대해 전혀 모르는 나는 너무 두려웠고 조바심이 났다. 부상을 당한 캐벗이 죽을까 봐, 그런 친구를 홀로 남겨두고 랜드가 혼자 암벽을 끝낼까 무서웠다. 동시에 도대체 산악 등반에 성공했을 때 느끼는 감정이 무엇이길래 그것을 놓지 못하는 것일까, 궁금했다. 물론 소설을 다 읽고서 나는 끝내 알지 못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알고 싶지 않았다. 랜드만의 기쁨은 그에게 속하는 것이니까.


물론 설터가 구사한 등반의 과정은 섬세하고 아름답다. 그가 그려낸 문장을 통해 나는 눈앞에 설경의 알프스를 오르는 두 남자를 상상할 수 있었다. 그런 면에서 등반 소설이라는 건,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느끼는 전율을 만끽하는 스포츠 정신을 알려주는 것은 아닌가 싶다. 어쩌면 삶이라는 건 알 수 없는 길을 찾아 등반하는 과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동화될 수도 있다. 수없이 마주하는 돌방상황, 그때마다 달라지는 선택지와 그에 따른 책임들. 소설 속 ‘산’처럼 우리도 저마다의 ‘산’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산악인은 산을 알아야 한다. 속도와 판단은 필수적이다. 계속 오르든 하산하든 고전적인 결정은 언제나 같다. 계속 오르는 것이 더 쉬운 때가, 사실상 정상에 이르는 것이 유일한 출구인 때가 온다. 그 순간에도 여전히 힘이 있어야 한다. (93쪽)


등반 과정 중에는 산이 무엇도 허락하지 않는 가장 어렵고 힘든 피치가 있다. 그 지점에서 산은 조그만 움직임도, 아주 작은 희망도 허락하지 않는다. 머리카락 한 올보다도 가는 선 하나만 있을 뿐인 그곳을 어떻게든 넘어가야 하는 것이다. (109쪽)


랜드가 드뤼에서 고립된 조난자를 구조한 후에는 그 기쁨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언론이 주목은 물론이고 산악계에서 새로운 영웅이 탄생한 것이다. 그러나 랜드는 자신이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것인지 세상이 알기를 원하지 않았다. 그는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혼자만의 길을 원했다. 스스로 고독을 자처한 젊은 청년은 삶을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도무지 잘 모르겠다. 그러기엔 뭔가 부족하다. 랜드에게 산이 왜 유일한지 와닿지 않는다. 거기 산이 있어 오른다는 진부한 설명보다는 절실한 무언가가 느껴지지 않는다. 랜드가 어떤 사람인지, 그의 지난 삶이 어떠했는지 소설을 통해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대학에 실패하고 군대에서도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 쓸쓸한 낙오자 정도로 짐작할 뿐이다.


정착하는 대신 떠돌이처럼 유랑의 삶을 즐기는 방랑자란 표현을 쓸 수도 있다. 그것은 무책임의 다른 말이다. 그가 만나고 관계를 맺은 후 떠나버린 여자들은 마치 하나의 소모품처럼 여겨진다. 왜 떠나야 하는지 그가 산으로 향하는 맹목적인 이유에 대해 단 한 번도 상대에게 진심을 다해 설명하거나 설득하지 않는다. 랜드와 마찬가지로 소설 속 랜드가 만나는 등반가들도 비슷하다. 때문에 산은 거대한 남성성을 상징하고 하나의 안전한 도피처로 여겨진다. 물론 도피처에는 위안, 위로, 안식, 휴식의 뜻이 있다. 삶에 지친 현대인들이 산을 찾는 이유처럼 소설 속 랜드도 그 안에서 편안하고 자유로웠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등반을 통해 나는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감정과 마주했을지도 모른다.


랜드를 변화시킨 것은 고독뿐만이 아니었다. 또 다른 깨달음도 그를 변화시켰다. 중요한 것은 존재의 일부가 되는 것이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이었다. 그는 여전히 위험한 등반의 고통을 잘 알고 있었는데, 다른 식으로도 그걸 알게 되었다. 그것은 경의였다. 그는 기꺼이 등반에 경의를 표했다. 은밀한 기쁨이 그를 채웠다. 누구도 질투하지 않았다. 거만하지도 수줍어하지도 않았다. (174쪽)


『고독한 얼굴』 은 제임스 설터가 실존 인물인 한 산악인에 대해 조사하고 자료를 찾아 읽은 후 완성한 소설이다. 때문에 등반의 고통과 기쁨을 아는 이들에게는 하나의 고전이나 교과서처럼 생각할지도 모른다. 생생하게 전달되는 등반 과정과 산을 오르는 동안 랜드의 심적 변화에 공감하며 함께 산을 타는 기분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을 대하는 숙엄한 분위기나 경건한 태도는 찾을 수 없어 아쉽다. 인간이 지닌 절대적 고독을 랜드를 통해 보여주려는 설터의 의도는 충분히 알겠지만 아름다운 울림으로 기억하기엔 그 파동이 너무 짧고 약하다. 


그럼에도 랜드의 고독과 산을 올랐을 때 그가 맛본 기쁨은 인정한다. 우리가 저마다 삶을 사랑하는 것처럼 랜드는 산을 사랑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삶을 사랑했다. 삶이라는 게 항상 산의 정상인 꼭대기에 있는 게 아니라는 걸 그도 느꼈을 것이다. 삶과 고독은 어디에나 있다. 산의 초입에도 산의 중반에도 산의 꼭대기에서 내려오는 길에도 그 산을 바라보는 지점에도. 누구나 자신만이 아는 고독과 기쁨이 있으니까. 랜드는 그것을 혼자만 간직하려 했고 설터는 함께 나누려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