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갈증 트리플 13
최미래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만나는 작가의 소설에 대해 말하는 일은 조심스럽다. 내가 느낀 것들이 작가의 전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전부는 아니더라도 작가의 일부이기에 처음 받아들인 느낌이 변화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의 단편과 에세이를 만나는 ‘자음과모음의 트리플 시리즈’ 『녹색 갈증』으로 처음 만난 최미래의 소설은 복잡한 꿈속을 헤매는 기분이었다. 모호하기도 했고 그 모호함이 신선하기도 했다. 


『녹색 갈증』은 연작소설로도 읽을 수 있고 장편으로도 읽을 수 있다. 과거의 회상으로 시작하는 「프롤로그」에서 화자인 ‘나’는 ‘윤조’에게서 많은 위로를 받는다. 윤조 때문에 ‘나’는 가족과 친구, 다른 관계는 단절되었고 결국엔 윤조와 연을 끊었다. 시간이 흘러 「설탕으로 만든 사람」에서 ‘나’는 모텔 종업원으로 일하며 가족과 떨어져 지낸다. 그곳에서 배달 일을 하는 옛 연인 ‘명’과 재회한다. 그러나 과거의 감정이 남아 있는 건 아니고 아는 체를 할 뿐이다. 함께 산에 오르며 다시 시작할 계기를 바라지만 서로의 간극만 확인하며 다시 이별을 한다. 


소설은 현실과 마찬가지로 어떤 질병으로 인해 모두가 힘든 시간을 지낸다. 특히 1월 26일은 모두 슬픔에 잠식된 날로 등장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모텔에 거주하는 이들은 저마다의 슬픔을 지니고 ‘나’는 그들을 관찰하듯 지켜본다. 그러나 ‘나’는 누구와도 깊은 관계를 맺지 않는다. ‘나’가 느끼는 고독과 결핍은 타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윤조’로 인한 것이다. ‘윤조’는 ‘나’가 쓴 소설의 인물로 ‘나’는 여전히 윤조를 원하고 그리워한다. 어쩌면 나에게 가장 필요한 건 글쓰기, 소설 쓰기였는지도 모른다. 


어느 날은 내가 소설을 쓰기 때문에 말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어느 밤에는 내가 소설을 쓰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어느 계절에는 내가 소설을 쓰려고 하기 때문에 일부러 우울해지려고 한다는 말을 들었다. 어느 꿈에서는 내가 소설을 쓰려고 하기 때문에 다른 모든 걸 놓아버리지 않았냐는 말을 들었다. 모든 걸 무얼 말하는 걸까. 이 말 중에는 다른 사람들이 한 말보다 내가 나에게 한 말이 더 많았다. (「설탕으로 만든 사람」, 72쪽)


나와의 관계를 회복하려면 다시 쓰면 되는 건 아닐까. 처음 윤조를 만났을 때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럼 다시 윤조에게만 집중하니 현실에서의 관계는 단절을 뜻하는 것이다. 언니와 엄마가 있는 집으로 온 「빈뇨 감각」에서 내가 그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으로 확연히 드러난다. 정확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채 직장을 관두고 방에서 생활하는 언니와 매번 사랑에 실패하는 엄마 사이에 오가는 대화가 없다. 글을 쓰겠다고 집을 나간 나보다는 둘 사이는 조금 가까워 보인다. 


다시 모텔로 돌아가려 예전에 사용했던 방에서 물건을 챙기던 나는 보석함을 발견한다. 그건 윤조가 등장하던 소설 속 할머니의 물건이었다. 보석함을 열자 윤조가 기어 나왔다. 윤조가 등장한 후 일상은 활기를 찾는다. 「뒷장으로부터」는 예전부터 함께 지냈던 것처럼 윤조가 언니와 엄마에게 스며드는 일상을 그린다. 잘 웃고 언니와도 잘 지내고 엄마를 돕는다. 엄마가 원하는 대로 도시락을 싸서 산에 가자는 말에도 흔쾌히 동의한다. 엄마와 언니와 윤조를 따라 나도 산에 오른다. 하지만 나는 그들에 속하지 못하고 혼자다. 


내가 원하는 건 윤조였을지도 모른다. 언니와 맥주를 마시며 소소한 수다를 떨고 다정하게 엄마를 위로하며 살고 싶은 나의 욕망이 윤조를 만들어낸 것이다. 하지만 윤조는 내가 아니고 윤조는 곧 사라질 것이다. 소설 속 보석함으로 돌아갈 수도 있지만 언제든 그곳에서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어디 보석함뿐일까. 윤조는 어디서든 불러 나올 수 있다. 


그렇다면 오히려 다행 아닌가. 나는 혼자가 아니고 윤조와 함께 생활할 수 있고 이곳이 아닌 어디든 갈 수 있으니까. 내가 원하는 모습의, 내가 꿈꾸는 모습의 윤조를 만나는 일을 꿈꾸면서 말이다. 그건 ‘나’가 쓰기를 놓지 않았다는 말이니까. 그에 대한 이야기는 에세이 「내 어깨 위의 도깨비」에서 느낄 수 있다.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오가는 형태는 황정은을 잠깐 떠올릴 수 있지만 황정은과는 결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문득 소설을 읽는 일도 윤조를 불러내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무언가와 닿고자 하는 욕망, 누군가를 만나고자 하는 바람이 있지 않은가. 불가능했던 일상이 아닌 무한 가능한 세계. 눈을 감으면 펼쳐지는 놀라운 세계, 그 안에서 어떤 결핍도 없이 살아가는 상상이 필요하다. 그것이 꿈이라는 걸 알더라도 말이다. 


연필을 굴리지 않아야 그려지는 그림이 있다는 건 아직도 믿어지지 않는 사실이다. 어떻게 그 감각을 설명할 수 있을까. 나로서는 불가능하지만 어쩌면 윤조는 여전히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보았던 장면은 내가 상상해왔던 그 어떤 것보다도 살아 있었다. 일부러 애쓰지 않아도 그곳의 날씨는 자유자재로 바뀌었으며 처음 디뎌본 곳인데도 이미 예전에 와본 적 있는 것처럼 익숙했다. 긴 시간 뒤에 찾아올 거라고 예상한 미래가 바로 눈앞에 당도한 것처럼. (…) 나는 다시 연필 없이 그림을 그리고, 산과 같은 곳으로 가고 싶었다. 윤조와 함께 라면 언젠가 눈을 감지 않고도 그 안에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프롤로그」, 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