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질문 - 죽음이 알려주는 품위 있는 삶을 위한 46가지 선물
김종원 지음 / 포르체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은 매 순간 물음표투성이다. 안다고 자신했던 것들도 어느 순간 이게 아닌 것 같고 지금껏 살아온 삶이 모두 소용없는 듯 느껴질 때가 있다. 한두 번 그런 자책이나 흔들림이라면 괜찮을 텐데 사는 동안 우리는 확신보다는 수많은 불확실에 좌절한다. 도대체 생을 살다간 이들은 어떻게 이 삶을 견뎠을까. 어쩌면 김종원의 『마지막 질문』은 이러한 괴로움에서 시작됐을지도 모른다. 저자는 20년 동안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만난 문학과 철학을 한 권의 책으로 총정리하는 시간을 통해 우리에게 삶의 지혜를 들려준다.


흥미로운 점은 릴케, 칸트, 니체, 톨스토이, 쇼펜하우어, 괴테가 추구하는 것들을 상상의 대화로 풀어가는 방식이다. 마치 그들과 함께 나란히 걷거나 서로 마주하며 질문을 하고 답을 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삶의 고통과 목적에 대해 대화는 확장되고 어이진다. 그러니까 결국 이 책은 ‘마지막 질문’이라기보다는 매 순간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 인생의 목적을 주제로 릴케와 나눈 대화를 보면 이런 질문이 눈에 들어온다. ‘자신을 그대로 보여줄 한 줄이 있는가?’와 ‘왜 우리는 죽음을 생각하며 살아야 하는가?’. 전자의 질문은 바로 유언을 뜻한다. 한 번도 유언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기에 지금의 나와는 상관없는 질문으로 다가오는 이가 많을 것이다. 릴케는 삶의 마지막에 들려주는 말은 삶의 분명한 목적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죽음을 생각하면 현재의 삶이 절실해지고 죽음을 각오할 정도로 사랑한 게 무엇인가 뚜렷하게 보일 것이다. 릴케에게 글쓰기가 그러했듯이.


매일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한 이로 잘 알려진 철학자 칸트는 삶의 방향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 ‘인생에서 과연 저절로 되는 게 있을까?’란 질문은 칸트의 인생을 대표하는 질문이 아닐까. 자신이 가고자 하는 길의 찾고 나가는 일은 쉬운 것처럼 보이지만 절제와 노력이 필요하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의 시대를 살고 있지만 기계 역시 저절로 되는 건 역시 그 바탕에는 인간의 필요하다며 결국 나를 채우고 키운 건 바로 자신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의미로 보면 모든 일의 시작과 끝을 이루는 과정 하나하나가 방향이라는 것이다. 칸트는 무엇을 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해 속상할 때 지나온 삶의 조각들이 지닌 가능성을 믿으라고 조언한다. 외부가 아닌 내부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말이다.


그런 목소리는 존재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나는 왜 존재하는가. 철학자 니체와는 존재에 대한 끝없는 질문, 곧 사색의 대화로 이어진다. ‘나는 왜 존재하는가?’ 수없이 많은 이들이 외치는 질문일 것이다. 니체는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나를 알리고자 하는 인간 심리를 SNS로 꼬집으며 고독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설명한다. 병에 걸렸거나 통증으로 괴로울 때 아무도 대신해 줄 수 없다. 죽음 앞에서는 누구나 혼자이며 인간은 설명할 수 없는 아픔을 지닌 고독한 섬이라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러니 “무리를 지은 곳에 내가 없다.” (112쪽)란 문장이 통렬한 뜨거움으로 가슴에 박힌다.


문학의 거장 톨스토이와는 균형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너무도 많은 것들이 쏟아지고 변화하는 시대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인생의 균형을 잡는 일은 어렵다. 거기다 세상의 유혹은 얼마나 많은가. 현대인에게 균형은 언제나 갈망하는 삶이다. 일과 삶의 균형인‘ 워라밸’이 한동안 유행할 정도니까. 그럼에도 균형을 잡지 못하는 건 버리지 못해서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당신은 어제 무엇을 버렸는가?’란 질문에 선뜻 대답할 수 있는 이가 있을까. 버리기는커녕 채우지 못해 안달인 인생을 돌아보게 된다. 무엇을 가졌는가 하는 소유뿐 아니라 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하나를 버려야만 하나를 취할 수 있다는 삶의 균형을 기억해야 한다.


기억에 멈추지 말고 실천해야만 내 것이 된다. 우리 모두 아는 사실이다. 쇼펜하우어와 다룬 실천이야말로 인생에 있어 누구나 원하는 일은 아닐까. 염세주의자로 잘 알려진 철학자와 실천이라는 키워드가 맞지 않는 듯했다. 하지만 ‘버킷리스트가 있는 삶은 왜 죽은 삶인가?’란 질문에서 쇼펜하우어는 버킷리스트가 없다고 답한다. 하고 싶은 일을 당장 실천하여 남겨 두지 않으니 리스트에 적을 게 없다고. 버킷리스트라는 핑계를 빌미로 우리는 실천이 아닌 미루는 삶을 살고 있는 건 아닐까.


마지막으로 괴테가 들려주는 경탄은 말 그대로 삶의 매 순간에 느껴야 한다. 죽음 앞에서 돌아보면 지나온 모든 순간이 경탄이 아닐는지. 하루하루 새로운 아침을 맞이하는 일, 계절마다 꽃을 피우고 지는 자연의 모습의 경이로운 모습을 통해 우리는 치유를 얻고 회복한다. 어디 그뿐인가. 인간은 또 얼마나 아름다운가. 슬픔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 견디는 인간의 마음, 필요한 것들을 발견하고 발명하고 더 좋은 세상으로 나가려는 의지가 현재의 삶을 만들었다.


6명의 멘토와 나눈 46가지 질문을 통해 인생의 진리와 아름다움을 배우고 생각한다. 20년 동안 저자가 읽고 느끼고 공부한 것들은 죽음을 대하는 태도이자 곧 삶에 대한 희망과 열정이다. ‘모든 죽음은 최고의 선물이다.’ (282쪽) 그의 말대로 남겨진 우리는 죽음을 두려워하는 대신 친구로 받아들이며 살아야 한다. 마지막인 것처럼 지금 이 순간을 사랑하며 사는 일이 남았다.


그대 내면에 식지 않은 열정을 가진다면,

일생의 빛을 얻게 될 것이다.

언제나 고통이 남기고 간 뒤를 보라.

고난이 지나면 반드시 기쁨이 스며드니까.


그래, 결국에 인생은 좋은 것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지식은

조금만 노력하면 누구나 습득할 수 있지만,

나의 마음만은 오직 내 자신의 것이니까 ( 에필로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