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멸망은 더 이상 낯선 말이 아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나 등장할 것 같은 일이 아니다. 우리가 멸망하지 않으리라 여겼던 굳센 믿음은 조금씩 무너지고 있다. 지구는 아픈 신호를 낸 지 오래다. 지구 어딘가에서 스스로 사라질 준비를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구 스스로의 자생 능력은 가능할까. 어쩌면 인류가 없다는 가정이라면 가능성이 충분할지도 모른다.


현재의 우리는 살아가는데 그저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먼 미래의 인류는 김초엽의 장편소설 『지구 끝의 온실』 속 나오미와 아마라처럼 목숨을 걸고 어딘지도 모르는 도피처를 찾아 나설지도 모른다. 2050년의 지구는 치명적인 ‘더스트’로 모든 생물이 죽어갔다. 더스트를 막을 수 있는 돔을 만들지만 모두가 그곳에서 지낼 수는 없다. 자원의 한계는 인간을 괴물로 만든다. 돔시티를 밖으로 밀려난 사람들은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성한다. 나오미와 아마라가 그토록 찾던 ‘프롬 빌리지’도 그 중 하나다.


『지구 끝의 온실』 이란 제목이 말해주듯 프롬 빌리지가 그곳이다. 프롬 빌리지에서 사람들은 더스트를 피해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멸망 후 재건한 지구는 그들을 기억하고 있을까. 2129년 더스트생테연구센터에 근무하는 아영은 폐허 도시 해월에서 덩굴식물 ‘모스바나’에 대한 피해 소식을 듣고 조사를 시작한다. 어린 시절 잠시 해월에 살았던 아영은 모스바나를 보고 기억 속 이희수 할머니의 정원을 생각한다. 그곳에서 푸른빛을 내던 식물은 분명 모스바나였다.


아영은 모스바나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고 그 과정에서 모스바나를 약초로 사용하는 나오미와 만난다. 그리고 나오미를 통해 2050년 프롬 빌리지의 이야기를 듣는다. 사이보그이자 식물학자인 레이철과 정비사 지수가 프롬 빌리지의 지도자였다. 레이첼은 유리온실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지수와 협력하며 공동체를 돕는다. 더스트로부터 사람들을 구한 모스바나도 레이첼이 개량한 식물이다. 프롬 빌리지는 더스트를 피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었지만 완벽하지 않았다. 끊임없는 외부의 공격과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갈등도 존재했다. 누군가는 프롬 빌리지를 지키기를 바랐고 누군가는 모스바나로 다른 프롬 빌리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모스바나는 더스크의 종식과 지구 재건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물론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건 아니다. 그러나 프롬 빌리지를 떠나 세계 곳곳에서 모스바나를 퍼트린 사람들을 부정할 수는 없다. 2129년 다시 모스바나가 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 프롬 빌리지에서 시작된 연대와 희망을 알리기 위함일까.


어린 나오미와 아마라 자매로 시작해 레이첼과 지수 그리고 아영에 이르기까지 그들은 모스바나를 통해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었다. 더스트라는 잔혹한 재해를 온몸으로 겪으며 살아온 증인인 프롬 빌리지의 그들은 마치 과거 전쟁을 경험한 할머니 세대를 생각나게 한다. 지금 내가 발 딛고 살고 있는 이 세상이 누군가의 고통과 희생의 대가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깨달음이라고 할까.


푸른빛의 먼지를 만들어내는 모스바나를 상상한다. 팬데믹의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모스바나는 무엇일까. 마스크, 백신, 치료제, 의료진, 그 모두가 모스바나일 것이다. 무엇보다도 힘든 상황에서도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며 돌보면서 곁을 지키는 어떤 마음은 아닐는지. 김초엽 작가가 말하는 그 마음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 소설을 쓰며 우리가 이미 깊이 개입해버린, 되돌릴 수 없는, 그러나 우리가 앞으로 계속 살아가야 하는 이곳 지구를 생각했다. 도저히 사랑할 수 없는 세계를 마주하면서도 마침내 그것을 재건하기로 결심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아마도 나는, 그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던 것 같다. (「작가의 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