잿빛극장
온다 리쿠 지음, 김은하 옮김 / 망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하지 못했던 일상을 살고 있다. 3년 전에는 이런 세상이 올 줄 몰랐다. 어쩌면 하루하루가 그런 삶인지도 모른다. 똑같이 반복되는 하루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내가 알지 못했던 무언가가 가득하니까. 그래서 놀랄 만한 사건이나 사고로 누군가의 죽음을 마주할 때 주어진 일상을 돌아본다.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산다는 게 무언지.


온다 리쿠의 『잿빛극장』 를 읽으면서도 그랬다. 실화를 소재로 한 소설이라 더욱 그런 마음이 따라왔는지도 모른다. 소설은 20여 년 전 두 명의 여자가 다리에서 함께 투신자살을 한 신문 기사를 전업작가인 ‘나’는 소설 <잿빛 극장>으로 완성한다. 그리고 다시 그 소설은 연극으로 만들어져 무대에 상영된다. 소설은 단순하게 연극으로 다시 탄생하는 그 과정을 다루는 건 아니다.


소설은 특이하게 0, (1), 1로 구분하여 구성되었는데 0은 <잿빛 극장>을 쓰는 ‘나’의 일상, (1)은 <잿빛 극장>을 연극으로 만드는 과정, 1은 신문 기사 속 익명의 두 여인 T와 M의 일상을 다른다. 0, (1), 1이 교차하며 이어지기에 조금 혼란스러운 면도 없지 않지만 몰입에 방해될 정도는 아니다.


신문 기사 속 두 여인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고 연극까지 상영하게 된 과정에서 ‘나’와 독자가 가장 궁금한 이유는 그들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결정적인 이유일 것이다. T와 M은 대학에서 처음 만나 친해졌지만 T의 결혼으로 연락이 끊겼다가 T가 이혼 후 다시 재회한다. 결혼이 자신이 원한 선택이 아니었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된 T는 친정으로 돌아가는 대시 번역을 하면서 혼자 살기로 결정한다. 그러다 M에게 같이 살자고 제안한다. 생활비를 줄이고 집에서 일하는 T가 자연스럽게 살림을 한다. 함께 지내면서 서로에 대해 알지 못했던 점을 알아간다. 가령 T의 갑작스러운 결혼과 이혼 같은 것.


소설을 이끄는 건 당연 0, (1)이다. 익명의 두 여인에 대한 정보는 너무 적기에 ‘나’는 막상 연극에 출연 배우를 결정하는 오디션에 참여하면서도 막상 그들의 존재를 연극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알게 된다. 20여 년 전 마흔 중반의 두 여성이 아주 젊은 나이라는 걸 말이다. ‘나’가 당시 많게 느꼈던 그들의 나이가 현재의 자신과 다르지 않다는 사실에 놀란다. 그리고 복잡한 생각에 빠져든다.


‘파란만장‘ 하지도 않고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 있는 것도 아니며 ‘온 힘을 다해’ 살지도 않지만,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의 인생이다. 태어나서 죽는 날까지 한정된 시간을 사는 인생이다. 그 일회성만큼은 어떤 인생이든 마찬가지고 예외가 없다. 그중 하나가 바로 내 인생이다. (1 - 154쪽)


M이 느꼈던 것처럼 우리는 그저 살아간다. 돌이켜보면 저마다 파란만장한 순간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평범하게 살아간다는 게 무엇일까. 주어진 삶에 대해 하루하루 살아가면서도 뭔가 허무하고 허전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그런 회의감 때문에 죽음을 선택할 것일까. 독자인 나는 점점 궁금해진다. ‘나’처럼 20여 전 그들의 일상을 상상하게 된다. 이제는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그들의 삶을 말이다.


그 두 사람이 죽어서 이룩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사랑? 우정? 신뢰? 체념?

그것도 아니면 또 다른 무엇이었을까?

그 두 사람의 이야기를 쓰고 난 지금도 여전히 모르겠다. (0 - 192쪽)


어쩌면 우리도 어느 시기에는 그녀들과 같은 삶은 살아갈지도 모른다. 누군가는 이미 그 시절을 지나왔을지도 모르고 누군가는 그 시절을 통과하는지도 모른다. 익명의 존재를 세상에 드러낸 ‘나’가 그들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것처럼.


나는 아무것도 남기지 않기로 했다. 내가 느낀 허무, 메마른 절망, 그 모든 것을 나는 누구에게도 전하지 않고 냄새도 풍기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느끼지 못하도록 한 그 자체가 내가 남긴 유서일지도 모른다. (1- 334쪽)


묘한 소설이다. 먹먹하게 아프다. 소설 속 T와 M이 실존 인물이라는 사실 때문만은 아니다. 삶이라는 게 살아갈수록 힘들고 알 수 없는 일 투성이라는 걸 알기에 그렇다. 그럼에도 삶이라는 게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기에 그들의 선택이 안타깝다. 우리가 알 수 없는 인간의 심연, 그 깊은 곳에 내려앉은 절망과 슬픔의 일부를 만난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