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고풍 요리사의 서정
박상 지음 / 작가정신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상의 장편소설 『복고풍 요리사의 서정』은 좀 이상한 소설이다. 이상하다는 게 나쁘다는 게 아니고 묘하다고 할까. 그 이상함이 기억 속 시집을 펼치게 만들고 그 이상함이 엄마가 해주셨던 음식을 떠올리게 한다. 그건 그리움이며 사랑이다. 재밌고 기발하고 정신을 쏙 빼놓는 유머가 닿는 곳에 그것들이 있었다. 박상의 소설은 유쾌한 기억으로 남았는데 더욱 강력한 유머로 돌아왔다. 이런 아이디어는 어디서 나오는 걸까. 대단한 작가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소설에서 이 부분이 제일 좋았다. 뭐든 될 수 있다고 믿는 그런 자신감과 순수함이 좋아서 나는 고양이가 될 거야.라고 따라 말해버렸다. 고양이는 될 수 없을 것이다. 아, 요즘 나는 고양이에 꽂혀있구나.


“나는 시인이나 고구마가 될 거야.”

“그게 뭐야! 이원식, 네가 뭐가 되든 상관없는데 시인이나 고구마는 아니야.”

“왜? 뭐?”

“못 웃길 거야.”

“웃겨야 돼? 그리고 고구마가 안 웃겨?”

“시시해. 넌 이 좁아터진 지구의 뻔한 말장난만 이해하는데 만족할 수 있니? 나는 풍성한 우주의 언어를 이해할래. 그곳엔 스케일이 큰 유머 감각이 있을 거야.”

“흥, 시는 말장난이 아니야. 시아 우주를 더 많이 이해하면 어쩔래?”

“시끄러. 요리나 제대로 배워.” (89~90쪽)


소설은 좀 특이하다. 이상한 건 특이함과 같을 수 있다. 소설을 다 읽고 나서도 내가 이 소설을 잘 읽은 건가 싶은 마음이 떠나지 않는다. 이해하지 못해도 읽으면서 즐거웠고 나만의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었으니 충분하다. 어쩌면 박상 작가의 바람이 그럴지도 모르니까. 시인이 되고 싶었던 요리사 이원식은 이탈리아 옆 삼탈리아에 도착했다. 한국의 떠나 낯선 섬에 그가 온 이유는 단 하나 조반니의 레시피 때문이다. 아니 그건 핑계일지도 모른다. 번아웃의 현실이 아닌 낯선 곳으로의 도피를 원했는지도 모른다. 헌책방에서 유연히 발견했던 요리책, 주인이 시집이라고 말했던 책. 그 책이 과연 존재하는 책은 맞을까, 나의 의심은 시작되었다. 그러거나 말거나 책을 찾는 여정에 동참하고 동행하는 과정은 즐거웠다.


이원식은 한국에서 유명한 요리 경연 대회까지 참가한 요리사였다. 마지막 결승까지 올라간 실력이었다. 요리사와 레시피는 잘 어울리는 조합이지만 시라면 달라진다. 김밥 집을 하는 엄마의 영향이었을까. 화자인 나는 요리를 배우고 여러 스승을 만나고 요리사가 된 것이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듯 소설은 두 공간을 이어간다. 조반니의 레시피를 찾아 떠나는 삼탈리아의 공간과 요리사로 보낸 한국의 공간이다. 전혀 다를 것 같지만 사람 사는 건 거기서 거긴가 보다. 사람들에게 치여 한국을 떠난 화자에게 결국 위로가 되는 존재 역시 사람이며 그가 사랑한 시라는 걸 보면 말이다.


소설에서 가장 독특한 건 삼탈리아 사람들, 그러니까 이원식이 조반니에 대해 알기 위해 만난 사람들이 모두 시를 좋아한다는 거다. 그것도 죄다 한국시. 아, 우리의 문학이 세계를 지배하는 상상으로 이어진다. 심보선, 최승자, 진은영, 신영배의 시를 좋아하는 외국인들이라니. 그러다 풀이 죽는다. 내가 모르는 시인의 시를 소설 속 그들이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최규승 시인의 『끝』이라는 시집이 나는 너무 궁금해졌다. 그 끝이 알고 싶어졌다.


이것은 끝 이곳은 끝 태어날 때 이미 끝 세상은 그날 이후 끝 끝이

계속되는 끝 나는 끝 시작도 끝 끝없이 끝나지 않는 끝 (최규승「#297」, 『끝』, 244쪽)


화자가 찾아낸 조반니의 레시피를 마주하는 순간에도 그랬다. 그것이 끝일까, 아니면 다시 시작일까. 혼자 생각했다. 누군가 이 소설에 대해 묻는다면 나는 소설이 아닌 시에 대한 이야기를 더 많이 할 것 같다. 우리의 곁에 있는 시에 대해서. 알려진 시, 유명한 시가 아니라 우리가 몰라서 그 참된 진가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시들에 대해서 말하고 싶은 것이다.


“인생은 찰나 같은 점들의 연속선이에요. 시공간의 흐름 속에서 인간이라는 미약한 존재는 그 소스 코드에 가끔 인식되고 가끔 연결될 뿐이잖아요. 만약 그 가끔 오는 순간들은 우리가 놓친다면 인생은 정말 찰나가 되어버리죠. 훅 가는 게 아니라 사라지고 마는 거예요. 나머지 모든 것에 드문드문하더라도 그 가끔 오는 연결에는 항상 간절해야만 해요.” (287쪽)


사람들이 칭송해마지않는 고수의 삶도 마찬가지다. 원식의 스승이 전하는 말처럼 인생은 찰나 같은 점들의 연속선이다. 아, 이런 통찰은 언제쯤 가능할까. 살면서 수많은 위기와 고비를 유연하게 대처하는 사람들. 숨은 고수는 우리 곁에 있다. 이원식의 스승이나 엄마가 그런 것처럼. 자신의 삶을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 많다. 그들을 향한 애정과 시를 흠모하는 작가 박상의 마음이 전해진다. 어딘가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통로가 있다면 박상이 그려낸 삼탈리아는 아닐까. 모든 걸 잊고 싶은 그대여 유머와 시심(詩心) 충만한 삼탈리아가 궁금한가. 그렇다면 지금 당장 『복고풍 요리사의 서정』를 펼치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