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와 자식은 천륜이라고 말한다. 하늘이 맺어준 관계. 그래서 절대로 끊을 수 없다고 말이다. 하지만 이제는 옛말이 돼버렸다. 존속살인이 벌어지는 세상, 형제와 부모와 단절하고 독립적인 삶을 지향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대가 되었다. 부모의 시각과 자식의 시각은 온전히 다를 수 있다. 자신의 피와 살로 만든 자식에 대한 부모의 입장에서 자식은 분신과 다름없다. 자식은 부모의 관심으로 가장한 간섭을 이해할 수 없다. 어린 시절 나 역시 그러했다. 다른 어른이 내 부모였다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엄마와 아빠가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여긴 적도 있었으니. 부모님의 생각을 잘 몰랐다. 아니,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고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점차 어려워진다.


부모를 선택할 수 있다면, 그건 정말 자식의 입장에서는 좋은 일일까. “부모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란 문장으로 시작하는 이희영의 소설 『페인트』는 묻는다. 부모와 가족이 무엇이냐고. 소설의 제목인 페인트는 부모 면접((parent’s interview)를 뜻한다. 부모를 선택할 수 있는 시대, 미래에는 정말 이런 시대가 올까. 인공지능이 부모를 대시하는 시대가 오는 건 아닐까. 순간적으로 나는 두렵고 무서워졌다.


소설은 미래의 가상 시대, 국가가 설립한 NC 센터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부모가 버린 아이들을 국가가 관리하는 것이다. 관리와 보호는 어떻게 다를까. 지금의 보육원이나 입양기관과 같은 역할이지만 그 내부를 들여다보면 완전히 다른 세상이다. NC의 아이들은 스무 살이 될 때까지 그곳에서 살 수 있으며 부모를 선택할 수 있다. 부모를 선택하지 못하면 센터를 떠나야 한다. NC 센터에서의 아이들을 입양하는 부모는 국가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 아이를 입양하는 일이 그들에게는 때로 생존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특별한 건 현재 부모가 아이들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반대로 아이가 부모를 선택하는 시스템이다. 부모를 선택하는 과정도 까다롭다. 누구나 아이들을 만날 수 있는 게 아니다. 부모 후보로 지정된 이들을 시뮬레이션으로 볼 수 있다. 그 후에 직접 만날지 결정한다. 아이들은 부모 후보를 거부할 수 있다. 잠깐의 만남으로 대화를 나누고 세 번째 만남으로 이어진다. 아이들의 선택과 NC 직원이 함께 결정한다.


주인공 ‘제누 301’은 아직 부모를 선택하지 않았다. 아이를 입양한 부모가 정부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는 걸 안다. 그래서 그걸 노리는 부모들이 많다. 제누 301도 페인트를 많이 했지만 자신과 맞는 부모를 찾지 못했다. 센터에는 이미 부모를 선택해서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온 아이도 있다. 페인트에는 너무 좋았는데 막상 살아보디 다른 모습이었거나 갑자기 생긴 부모와 사는 생활을 적응하지 못해 돌아온 아이들이다.


제누가 페인트를 하는 부모 후보는 관리자의 기준으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는 부부가 아니다. 그런데 제누는 그들에게 끌린다. 솔직하고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고 제누에게 잘 보이려고 애쓰고 노력하지도 않는다. 이제 성인에 가까운 제누를 입양하는 일은 그들에게도 모험일 것이다. 부모로서 연습을 하거나 공부한 적도 없으니까. 그런 모습이 제누는 마음에 들었다. 제누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불안정하다. 처음부터 완벽한 부모는 없으니까. 그런데 그걸 인정하고 깨닫는 이는 얼마 없다.


세상의 모든 부모는 불안정하고 불안한 존재들 아니에요? 그들도 부모 노릇이 처음이잖아요. 누군가에게 자신의 약점을 드러 내는 건 그만큼 상대를 신뢰한다는 뜻 같아요. 많은 부모가 아이들에게 자기 약점을 감추고 치부를 드러내지 않죠. 그런 관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신뢰가 무너져요. (112쪽)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누군가를 책임지는 삶이 두려운 일이 되었다. 생명의 소중함과 돌봄의 소중함을 잃어버린 건 아닐 것이다. 다만 아이를 낳고 키우는 동안 겪어야 하는 어려움을 감당할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라는 걸 소설을 말한다. 부모를 선택한다는 기발하고 특이한 설정으로 시작하지만 결국엔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위해 사회적 기반이 얼마나 중요하지 생각하게 만든다. 입양이라는 제도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아도 최근 이슈가 된 사건을 떠올릴 수 있다. 어른의 잘못으로 벌어진 일이다.


가족이란 무엇일까. 혈연관계를 떠나 다양한 관계로 맺어진 가족이 늘고 있다.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과정을 지나야 완전한 가족으로 서로에게 속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가족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모르는 게 대부분일 것이다. 우리는 잘 모른다는 사실을 알고 노력해야 한다. 제누가 기대하는 부모와의 관계처럼.


누군가를 알아 간다는 건 그만큼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일이었다. 어쩌면 그거야말로 부모와 자녀 사이에 가장 필요한 것인지도 몰랐다. (146쪽)


점점 말이 사라지는 사춘기, 갈등을 겪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읽으면 좋을 책이다. 서로에게 어떤 부모인지, 어떤 자녀인지 조금 돌아보며 서로에 대해 질문하는 시간으로 이어진다면 뜻깊은 시간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