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다시 반복하는, 영원히 끝나지 않는 이 고행이 사람의 일생이며 인간의 역사가 아닐까. (234쪽)

인생을 사계절에 비유하곤 한다. 예전에는 유년기와 청소년을 봄으로 청년은 여름으로 중년을 가을로 분류했겠지만 100세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아무런 의미가 없는 일이다. 그래도 노년기에 접어든 이들에게 그들의 계절은 아마도 겨울일 것이다. 도시가 아닌 시골에 살다 보니 외지에서 이곳으로 들어오는 이들을 종종 마주한다. 퇴직을 했거나 새로운 삶을 위해 그곳을 떠나 이곳으로 온 것이다. 저마다의 사연이 있겠지만 그들이 선택한 곳은 이전보다 조용하고 한적한 곳이다. 강상중의 『만년의 집』을 읽으면서 정원을 가꾸는 일에 매진하는 한 분이 떠올랐다. 어느 해 6월에 마주한 그 집은 아름다운 꽃들로 가득했다. 꽃과 나무에 얼마나 많은 시간과 정성을 들렸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가 소개하는 글을 통해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을 더 많이 읽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이처럼 이름은 익숙하지만 정작 그에 대해 잘 몰랐기에 이 산문집을 통해 들려주는 생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 책은 마마보이라며 자신을 소개하는 글로 어머니에 대한 애정과 함께 아들을 잃은 슬픔과 고원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일상의 기록이다. 재일교포 1세대의 삶을 우리가 어떻게 가늠할 수 있을까. 일본에 사는 한국인이 느끼는 비애, 고통, 정체성의 혼란, 사회적 차별을 견디며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을까 생각하니 정말 대단하구나 싶었다.

도시를 떠나 고원에서의 일상은 하루를 여는 아침이 맞이하는 풍경으로 시작한다. 마주하는 하늘과 땅, 그리고 불어오는 바람이 주는 신선한 기쁨. 물론 나는 그저 상상할 뿐이다. 작은 텃밭에 가지, 오이, 토마토를 심는 일이 단순한 과정이 아니라 땅을 고르고 씨앗을 심고 지지대를 만들어주고 보살펴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저자와 아내가 직접 경험하고서야 알게 된 것처럼 말이다. 고원에서 홀로 골프를 치며 느꼈을 완전한 고독, 계절마다 피고 지는 꽃(복수초, 동백꽃, 개나리, 진달래, 작약, 인동초)의 의미와 그것들이 전하는 행복을 느끼는 순간마다 떠오르는 어머니와 아들에 대한 그리움. 담담하게 들려주는 아들과 백합의 사연과 먹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는 어머니를 추억하는 일, 아내와 마시는 커피 한 잔, 그리고 반려묘 이야기.

우리는 지금 죽음을 준비하기 위한 계절을 맞이하려 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산’에 살고 싶어진 것도 고독이 눈에 띄게 드러나는 도회지가 아니라, 고독을 즐기는 삶을 나누고 각자의 최후를 맞이하기 위한 절묘한 거리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238쪽)

물론 한적한 곳에서의 유유자적한 삶이 이 책의 전부는 아니다. 하루하루 고원에서 그만의 통찰력으로 시대를 읽고 해석한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 이념의 대립, 한반도의 분위기까지 놓치지 않는다. 부드럽고 유연한 시선을 유지하면서 완고한 태도를 잃지 않는다. 그리하여 내가 잊고 있던 역사적 순간과 우리 앞에 놓인 과제를 생각하게 만든다. 정해진 끝이 있지만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생에 생에 대해서도 말이다.

인간은 하나의 수수께끼이며 그 삶의 집적인 역사 또한 하나의 수수께끼다. 이 수수께끼에 정해진 해답은 없다. 그렇다고 ‘사람이란 결국 그런 것이다’, ‘역사란 결국 그런 것이다’라며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모든 것을 상대화하지 말 것. 그리고 그 수수께끼를 해명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말 것. 거기에 인간의 존엄이 깃들어 있다. (87쪽)

좋은 글을 읽을 때에도 기쁨을 안겨주고 그것을 생각할 때에도 미소를 짓게 만든다. 강상중의 『만년의 집』도 그런 책이 아닐까 싶다. 안개 자욱한 고원에서 먼 곳을 응시하는 노년의 신사를 떠올린다. 그가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잘 하고 있다고, 괜찮아질 거라고 다정하게 손을 흔드는 것만 같은 착각, 나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