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은 언제나 고통스럽다. 짧은 이별이든 긴 이별이든, 영원한 이별이든 말이다. 그러니 이별에 대한 이야기는 아픔을 동반한다. 사랑하는 이를 다시는 볼 수 없다는 건, 만질 수 없다는 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다. 경험했다 하더라도 이별은 그 자체만으로도 슬픔이다. 그것이 나의 것이든 타인의 그것이든 섣불리 위로해서는 안 된다. 각자의 슬픔은 각자의 방식대로 끌어안아야 하기에. 맥스 포터의 『슬픔은 날개 달린 것』도 그만의 방식으로 슬픔을 말한다. 아니, 부재를 인정한다. 이 소설은 독특하다. 아내를 잃은 남자와 엄마를 잃은 두 아이, 그리고 까마귀가 등장한다. 까마귀의 등장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물론 까마귀는 그 무엇으로든 대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소설의 저자는 까마귀를 테드 휴스의 시에서 가져왔다. 실비아 플라스의 전 남편 말이다. 아, 우리는 그 시인과 시를 몰라도 괜찮다. 물론 알면 이 소설의 중심으로 더 가까이 들어갈 수 있겠지만.

 

갑자기 세상을 떠난 아내를 애도할 시간은 나중으로 미뤄진다. 장례식을 치러야 하고 손님을 맞아야 하고 아이들을 챙겨야 한다. 친구와 지인의 진심을 이해하지만 그들의 방문이 귀찮다. 그냥 슬픔에 허우적거리고 싶은 마음이다. 그리고 찾아드는 상실의 아픔. 그것은 삶을 지배하고 때로 부수고 망가트린다. 아버지는 아버지대로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아내와 엄마를 그리워하고 어찌할 바를 모른다. 그때 한 마리의 까마귀가 나타난다.

 

고개를 아래로, 병뚜껑, 휘적취적.

고개를 아래로, 대걸레, 깡충깡충.

그는 내게서 많은 걸 배울 수 있어.

그게 내가 여기 온 이유지. (39쪽)

소설은 남자, 아이들, 까마귀, 세 화자가 돌아가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치 우화나 동화처럼 들린다. 아직 엄마를 잃었다는 게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천방지축의 아이들과 아내가 그리워서 일상을 유지하는 게 너무 버거운 남자, 그리고 그 둘을 지켜보며 제멋대로, 그러나 그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꾸짖고 어루만진다. 이런 형태의 소설은 없었기에 이건 대체 뭐지 하는 마음으로 읽다가도 남겨진 가족의 슬픔에 빠져든다. 그러다가 까마귀가 등장할 때마다 그렇지 이제는 일상을 살아내야지 하는 다짐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한 편으로는 왜 우리는 슬픔과 함께 살아가면 안 되는가, 왜 우리는 지속적인 애도를 표현하면 안 되는가, 누군가에게 따지고 싶게 만든다. 애타는 마음을, 고통스러운 순간을 그냥 내버려 둬도 괜찮은 게 아닐까.

​나의 이 그리움이란 어쩌면 이리도 물리적인 것인지. 아내가 너무 그리워서, 그 그리움은 금으로 만든 거대한 왕자, 콘서트홀, 천 그루의 나무, 호수, 구천 대의 버스, 백만 대의 차, 이천만 마리의 새들 그 이상이다. 도시 전체가 아내에 대한 나의 그리움이다. (77쪽)

하나의 관념으로서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는 건 멍청한 사람들이나 하는 생각이다. 지각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슬픔이 장기 프로젝트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나는 서두르길 거부한다. 우리가 떠안은 이 고통은 그 속도를 올리거나 바로잡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144쪽)

슬픔은 단단하고 견고한 성처럼 우리의 일상을 가로막는다. 하지만 삶은 멈췄다가도 다시 이어지는 것, 남자와 두 아이들도 아내와 엄마의 유골과 이별해야 할 때가 왔음을 직시한다. 그것과 이별해야 할 시간을 정해놓은 이는 없지만. 소설의 제목처럼 슬픔은 날개 달린 것이라 언제든 날아갈 수 있을 테니까. 한 편의 산문처럼, 한 편의 시처럼, 한 편의 희곡처럼 읽힌다. 사랑하는 아내를 향한 남자의 독백, 엄마를 그리워하는 아이들의 울부짖음, 그 모든 것은 텅 빈 무대에 홀로 앉은 까마귀에게 흡수된다. 까마귀는 은유적인 존재다. 알고 있다. 허상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안다. 부재로 존재하는 사랑이 있다는걸. 슬픔의 일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까마귀의 말처럼 절망하지 않게 된 것뿐.

누군가 이 책을 읽는다면, 혹시 그가 슬픔을 간직하고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나는 이 책과 함께 『쥘과의 하루』를 읽었으면 좋겠다. 하루하루 같은 일상을 살아온 남편의 죽음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하루 동안 혼자만 느끼는 이야기. 죽음을 느낀다는 게 조금 이상할 수도 있겠지만 죽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다. 한 공간에 머무르는 마지막 하루, 그 하루가 남겨진 아내에게 특별한 의미가 된다. 언젠가 마주할 이별을 미리 연습하는 일은 유쾌하지 않고 연습할 수도 없는 일이다. 하지만 상실과 애도에 대해 소설 속 문장처럼 나만의 배경을 떠올리듯 노란빛의 책들이 전하는 부드러운 포근함이 위안으로 다가올 수도 있으니까.

천천히 떨어지는 눈송이들이 바깥세상을 두껍고 하얗게 덮고 있었다. 풍경이 그녀의 눈앞에서 회오리치고 있었다. 인적 없는 거리에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불빛 하나 보이지 않았다. 그 누구도, 어떤 움직임도 세상을 그 겨울잠에서 깨우지 못했다. 이것이 이별을 위한 완벽한 배경임을 그녀는 깨달았다. (『쥘과의 하루』중에서)

“이상한 온기와 아름다움을 지닌 책”이라는 한강의 추천사는 책을 읽기 전에는 닿을 수 없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슬픔이 반드시 아름답고 따듯해야만 하는 건 아니다. 각자의 슬픔을 충분히 영위할 수 있는 어떤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걸 말해주는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하나 더, 읽고 난 후 더 깊은 여운이 전해지는 소설이다. 조금은 퉁명스럽고 조금은 얄미운 까마귀 한 마리가 언제나 내 곁에도 찾아와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