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들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생은 이동으로 채워진다. 존재하는 순간 움직이기 시작하여 끊임없이 이동한다. 공간을 이동하고 새로운 시간과 마주하며 이곳이 아닌 다른 곳으로 나아간다. 삶은 그렇게 확장된다. 지나온 삶을 궤적을 우리는 ‘여행’이라 부르기도 한다. 떠나는 것은 무엇일까. 어쩌면 이곳이 아닌 그곳, 그리고 경계에서 두 곳을 바라보는 일은 아닐까. 곳곳에서 경험하고 마주하는 삶의 조각들이 바로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 『방랑자들』에 담겨있다.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라는 목적이 여행의 시작이지만 그 과정에서 마주하는 일들은 누군가의 보통의 일상이다. 공항의 대기실에 앉아서 기다리는 일, 호텔에서 퇴실하면서 키를 반납하지 않는 일, 동행했던 이와 잠시 이별하는 일, 처음 본 이를 만나 한 공간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는 일, 안내사의 설명을 들으며 이곳저곳의 공간을 둘러보는 일. 그동안 알지 못했던 세상의 단면을 하나하나 만나는 일이었다. 소설 속 화자인 ‘나’의 여정을 함께 하는 일은 그들을 만나는 일이다. 짧은 순간이지만 타인과 대화를 나누며 그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삶을 공유한다. 단순히 ‘나’의 여행기라 여기면 안 된다. 소설을 통해 만나는 방대한 세상은 수많은 에피소드로 가득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이야기뿐 아니라 공항, 유적지, 호텔, 유람선, 섬, 도시, 저마다 공간이 간직한 시간의 힘이 전해진다. 떠나지 않았다면 발견할 수 없는 생생한 삶의 현장. 그러니 방랑의 순환은 계속되어야 한다.

 

‘​한 귀퉁이에서 바라보는 것. 그건 세상을 그저 파편으로 본다는 뜻이다. 거기에 다른 세상은 없다. 순간들, 부스러기들, 존재를 드러내자마자 바로 조각나 버리는 일시적인 배열들뿐. 인생? 그런 건 없다. 내 눈이 보이는 것은 선, 면, 구체, 그리고 시간 속에 그것들이 변화하는 모습뿐이다.’ (280쪽)

 

일시적이고 소모적인 조각이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세상이라는 유기체를 볼 수 있다는 기쁨, 방랑의 특권일 것이다. 이곳이 아닌 그곳으로 이동했을 때 볼 수 있는 세상을 우리는 꿈꾼다. 그곳에 도착해야 분명하게 드러나는 경계.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글쓰기가 바로 이 소설이다. 자동차, 비행기, 배, 이동하는 수단에 따라 풍경은 다르게 보인다. 그러나 시선의 주체가 멈춰있다면 그저 풍경은 단면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니 진짜 풍경을 원한다면 떠나야 한다. ‘멈추는 자는 화석이 될 거야.’ (391쪽) ‘움직여, 계속 가, 떠나는 자에게 축복이 있으리니.’ (392쪽) 이동을 위한 멈춤만이 의미가 있을 뿐. 삶이 이동하지 않고 멈춘다는 건 인간의 심장이 멈춘다는 것과 같다.

 

올가 토카르추크가 추구하는 ‘방랑’(여행)이란 움직임을 통해서 체득할 수 있는 타인의 삶인지도 모른다. 이동해야만 볼 수 있는 풍경과 이야기들 말이다. 그건 물리적인 이동에 한정된 게 아니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저 깊은 곳의 욕망을 꺼내 마주하고 움직임의 마지막인 죽음에 대해 사유한다. 소설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인간의 몸과 장기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또 하나 방랑의 세계를 구축한다. 심장이 원활하게 움직이는 것, 가장 확실한 움직임이며 여행이라는 놀라운 사실. 그러므로 방랑자에겐 자유로운 사고의 전환이 근본적으로 필요하다. 때문에 이 책 자체가 소설이라는 경계를 넘어 활발하게 이동하는 ‘방랑자’인 셈이다.

 

움직이는 건 사유하는 일이다.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을 읽는 일도 그러하다. 『방랑자들』을 읽기 전 내가 몰랐던 세상(지식, 정보, 기록)과 마주하게 되었으니까. 한 곳에 고여있어 멈췄던 마음이 이동하는 순간이다. 능동적으로 나를 이끄는 힘, 그게 바로 이 책의 가치다. 아무 곳이나 펼쳐 읽어도 상관없다. 유연한 사고로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떠날 채비를 하지 않아도 괜찮다. 한 권의 책으로 모든 경계를 뛰어넘을 수 있으니 얼마나 굉장한가. 이제 진짜 방랑자가 될 시간이 임박해왔음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