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꽃 - 2019년 5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최수철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남자가 응급실에 실려 왔다. 의사는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간주하는 표정이다. 그러나 화자인 는 그저 상한 음식을 먹었을 뿐이다. 여행을 다녀온 후 오랫동안 방치된 냉장고 속 음식을 살기 위해 먹었을 뿐이다. 그런데 그 안의 독이 나를 이렇게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게 만들었다. 그리고 회복되는 과정에 같은 병실의 기묘하면서도 몽환적인 분위기의 한 남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만나게 된다. 바로 조몽구란 남자의 인생을 지배하고 함께 살아온 독에 대한 이야기다.

 

‘독’이란 단어를 떠올리면 마비, 살인, 공포, 죽음이란 말이 따라온다. 우리는 위협하는 존재(독거미, 독버섯, 독사)만 봐도 그렇다. 그런데 태생적으로 독을 몸에 지닌 남자가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조몽구는 자신을 그렇게 설명한다. 작가인 아버지 조영로에게서 이어진 독과 그걸 해독하는 유일한 약인 어머니 고운선 사이에서 어쩔 수 없는 운명을 이어받은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을 가진 어머니는 아이를 원하지 않았기에 더욱 자신에게 죄의식을 갖고 최선을 다한다. 어려서부터 두통으로 힘겨워했던 조몽구를 유일하게 이해하고 달래주는 존재도 어머니였으니까.

 

조몽구는 두통 때문에 항상 이마에 대고 있어야 했다. 여러 병원을 다녔지만 딱히 방법을 없었고 이로 인해 어린 시절 학교에서 친구와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얼핏 주인공 조몽구는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처럼 보일 뿐 독과는 거리가 먼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삼촌 수호의 등장으로 소설은 독에 대한 다양한 설명과 반대의 개념인 약이 대한 이야기도 자연스레 이어진다. 사실 이 소설은 무척 어렵고 복잡하다. 독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떠나서 그것을 몸으로 직접 연구하고 실험을 하는 수호와 그런 수호를 통해 자신 안의 독에 대해 확신하는 몽구의 욕망과 심리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수호가 몽구에게 인생을 설명하는 문장에 밑줄을 긋고 공감하면서도 말이다.

 

인생이 뭔지 한마디로 말할 수 없겠지만, 이런 말을 할 수 있지. 인생의 매 순간은 독과 약 사이의 망설임이야. 망설일 수밖에 없지. 하지만 오래 주저하고 머뭇거려서는 안 돼. 어느 순간 약은 독이 되어버리니까.” (100)

 

소설엔 독을 연구하고 그것에 빠져들거나 스스로 독과 함께 거주하면서 그것에서 약을 발견하는 삶을 사는 인물로 수호뿐 아니라 몽구와 운명적으로 연결된 부모와 유약하게 태어나 갖은 질병으로 삶 자체가 힘든 자경과 그의 오빠 정우, 술이라는 독을 품고 살아온 아버지를 독주로 인해 죽음으로 몰고 간 군대 동기 광수,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은 저마다 보편적인 삶이 아닌 특수한 환경에서 자랐다. 자신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독을 품거나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약을 찾으려 애쓰며 살아왔다고 할 수 있다.

 

살아남으려면 자기만의 독을 가지고 세상과 싸워야 해. 하지만 에 대항해서 우리를 지키게 하는 도 얼마든지 있어. 독이 약이 되고 약이 독이 되는 거야. 너는 늘 두통에 시달리느라 거기에 신경이 집중되어 있지. 하지만 오히려 그 덕분에 한순간도 멍하니 보내는 일이 없이 항상 깨어 있는 거야. 네 두통은 너를 마비시키지 않고 각성 상태에 머물러 있게 하는 독이자 약이야. 그러니까 이렇게 말할 수 있겠지. 이 세상 모든 것은 사랑을 만나면 약이 되고 원한을 만나면 독이 돼. 삶과 죽음 사이에 놓인 우리의 하루하루는 독과 약 사이에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하는 것이지.” (198~199)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소설은 더욱 복잡하게 독을 보여준다. 독으로 인한 삶의 파면과 그럼에도 독에 매몰되는 인간의 본능적 욕망이라고 할까. 소설을 읽을수록 화자인 독자는 가 조몽구가 아닐까 생각한다. ‘의 몸에 가득한 독이 빠져나가는 동안 경험한 환각이 만들어낸 인물 혹은 괴물이라고 말이다. 그리고 이런 궁금증으로 두렵다.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될 수많은 독과 약을 우리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자기만의 독을 가지고 세상과 싸워야 한다는 수호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그것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닐까? 다만 독을 발견하고 사용하는 타이밍이 다를 뿐일지도 모른다.

 

삶이라는 책 한 장 한 장에는 독이 묻어 있어. 네가 손가락에 침을 발라 책장을 모두 넘기고 나면, 그로 인해 중독되고 탈진하여 죽음에 이르게 돼. 그러나 너는 그때 비로소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되지.” (520)

   

보편적이지 않은 독이라는 주제를 독특하고도 폭넓게 파헤친 소설이다. 아주 가까운 곳에 산재한 독을 생각한다. 모르기에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독, 누군가를 죽일 수도 있는 치명적인 독. 때문에 어떤 이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이고 어떤 이에게는 까다로운 소설로 남을 듯하다. 그것과는 별개로 미묘한 여운이 남는 건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