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생강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면 병원에 간다. 병원에서는 모두가 같은 입장, 환자다. 아니, 같은 환자가 아니다. 어디든 VIP를 위한 공간이 있다. 돈을 저축하고 돈을 빌리는 은행에도 있다. 매우 중요한 사람이라 대우를 받는 이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경제적으로 부유하다는 것이다. 뭐, 내가 모르는 다른 기준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여하튼 그렇다. 그래서 그런 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해 특별한 회원을 모집하고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곳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곳에 다닌다는 것만으로도 다른 사회의 구성원이 된 것처럼 말이다. 박생강의 『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를 읽고 말이 길어졌다. 박생강은 사우나의 풍경을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그건 태권처럼 사우나 매니저로 일했기 때문이다.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기에 인물의 표정, 대화, 그 안의 공기까지 정확하게 전달한다.

 

 사우나란 공간을 상상해보자. 알몸으로 혹은 수건을 두르고 앉아 땀을 빼고 몸을 씻는 공간이다. 누군가는 말 그대로 몸을 씻기 위해, 누군가는 잠시 휴식을 위해, 누군가는 혼자만의 시간을 갖기 위해 사우나를 찾는다. 사우나에서 벌어지는 진기한 이야기는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 그렇다고 진한 감동이나 그런 것도 없다. 그러나 이 소설 재미있다. 재미있게 읽었다. 단 숨에 읽었고, 소설 속 현실 연인인 태권과 공의 연애가 좋았다.

 

 태권은 ‘신춘문예’로 등단한 소설가지만 현재는 소설을 쓰지 않는다. 논술강사 자리도 구하기 힘들다. 그러다 가까운 신도시 피트니스 센터의 사우나 매니저로 일하게 된다. 부모님은 태권의 직업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그냥 소설 쓰라고, 나중에는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받아 논술학원을 차리라고 권하지만 말이다. 사우나 매니저는 무슨 일을 하는 걸까. 언뜻 떠오르지 않는다. 상위 1% 재력을 지닌 회원이 다니는 사우나라니. 회원들은 상위 1%의 재력을 지녔지만 늙고 병들고 아픈 노인에 불과했다. 그러니까 사우나 매니저는 갑중의 갑인 회원(노인)을 모시는 병이었다. 회원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며 부족함이 없도록 최상의 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말이 그렇다는 것이고 태권의 업무는 단순하다. 빠르게 수건 수거하고 마른 수건 접기, 머리카락 줍기, 바닥 물 닦기, 로션 채워 넣기, 회원님들의 수다에 응대하는 정도다.

 

 ‘피트니스의 세계에서 중요한 건 재력이 아니라 젊음과 미모 그리고 건강이었다. 우리 헬라홀의 노인들은 재력은 갖췄지만 나머지는 모두 잃었다. 그들이 이 헬라홀 멤버십에 집착하는 건 여기서는 그나마 완벽한 남자로 느껴지기 때문일지 몰랐다. 그리고 그나마 그게 그들이 가진 유일한 권력이어서일지도 몰랐다. 아무리 재력이 좋아도 권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는 또 어마어마할 테니.’ (185쪽)

 

 태권에게 사우나 매니저라는 직업은 정거장이었다. 아니, 그곳에서 일하는 다른 매니저들도 다른 곳으로 떠나기를 소망한다. 떠나기 위해 머무는 곳. 그러나 누군가에게는 떠나기 힘든 곳이 되기도 한다. 세상 일이 맘처럼 되지 않으니까. 태권도 그곳을 떠났다. 공의 말대로 태권에게 부모님의 아파트가 있었기 때문은 아니다. 그저 그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보고 있자면 다른 삶을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다른 삶은 무엇일까. 자신이 원하는 연극을 위해서 대학로로 떠나는 공의 삶, 소설가로 돌아가는 삶, 그것일까. 재미있게 읽었는데, 그게 전부였다.

 

 ‘우리는 그냥 살아간다. 그건 용기나 낙천, 열정 같은 단어로 포장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었다. 보험 없는 삶이지만 내가 사는 삶이니 타인의 눈치를 볼 필요는 없었다.’ (2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