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 대하여 오늘의 젊은 작가 17
김혜진 지음 / 민음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는 동성애자인 딸과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엄마의 갈등을 다룬 이야기처럼 보였다. 처음엔 그랬다. 대학강사인 딸과 딸의 동성 연인이 화자인 의 집에 들어오면서 어쩔 수 없는 동거로 인한 불편함으로 다툰다. 그러나 같은 공간에 살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하나의 가족이 되어가는 성장소설이면서 착한 소설이 아닐까 기대했다. 나는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엄마니까 딸을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여겼던 걸까. 아니면, 딸이 엄마의 바람대로 연인과 헤어지고 남자를 만나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삶을 선택할 거라 생각한 걸까.

 

 젊은 시절 선생님이었던 ’는 요양보호사다. 육십이 넘은 나이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려는 게 아니다. 딸에게는 자신을 부양할 능력이 없고 삶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요양보호사라는 직업은 우리의 삶이 얼마나 신랄하고 집요하지 보여준다. ’가 돌보는 ‘젠’이라는 여성을 통해서 잔혹한 현실을 확인한다. 그러니 딸이 제대로 된 삶을 살기를 바란다. 남들처럼, 평범하게. ’에게 ‘젠’은 딸의 미래처럼 보였을 것이다. 많에 배우고 약자를 위해 일하고 봉사하며 사회의 존경을 받았지만 결국엔 자식 하나도 없는 치매의 노인.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수치스러운 생을 이어가다 결국엔 무연고자로 사라질 게 뻔했다.

 

 ’에게 중요한 건 단 하나 딸의 인생이다. 부당한 일에 항의하고 목소리를 내는 건 딸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하면 좋겠다. 동성애자란 이유로 부당 해고를 당하는 게 딸이 될까 무섭고 두렵다. 딸의 연인인 ‘그 애’가 밉다. 모든 걸 ‘그 애’ 탓으로 돌리고 싶다. 딸이 시위 현장에서 다쳤다는 말을 듣지 않았더라면, 딸과 뜻을 같이 하는 이 가운데 심하게 다친 이가 있다는 걸 몰랐다면 ’는 어땠을까. 덜 괴롭고 덜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모든 걸 목도하고 분노하고 말았다. 왜 내 딸이 다쳐야 하는지, 왜 딸의 친구가 중환자실에 누워있어야 하는지.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라고 말한다. 학교에서는 다문화 체험을 하고 장애아와 통합교육을 한다고 한다. 정부는 수많은 정책을 쏟아낸다. 정책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은 좁혀지지 않는다. 커밍아웃을 하는 연예인을 이해할 수 있다. 심지어 응원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 아이가 그런 성향이라면 그건 나만의 비밀이 될지도 모른다. 모든 일은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데, 나에게만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이기적인 마음을 질책할 수 없다. 어쩌면 ’는 그 두 마음 사이를 오가는 중인지도 모른다. ‘나’가 ‘젠’을 외면하지 않고 집으로 데리고 왔을 때 딸은 엄마가 당황스럽다. 딸과 ‘그 애’, 그리고 ‘나’가 ‘젠’이 서로에게 보호자가 되어 살아가는 집, 누군가에게는 이상한 삶으로 보일 것이다. 거창하고 우아한 말로 연대하는 게 아니라 그저 살아가는 것뿐인데 말이다.

 

 이 책의 제목은 『딸에 대하여』다. 제목만 생각하면 딸에 대한 이야기로 엄마는 딸에 대해 모르는 게 없다고 자신하는 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엄마가 아닌 객관적인 시선으로 누군가 딸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주기를 바라는 간절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딸과 연인을 통해 동성애에 대한 사회의 불편한 시선과 마주하고 요양보호사란 직업을 통해 늙음과 죽음을 본다.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권리, 인간답게 죽을 수 있는 보통의 권리를 생각한다. 그 권리를 부여하는 이는 누구일까. 『딸에 대하여』에는 그저 살아가는 이야기였다. 나와 다른 삶을 살아가는 누군가의 이야기.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주변의 이야기 말이다. 자식을 가진 엄마라면 누구나 ’와 다르지 않은 입장에 놓여 있고 우리 모두에게 ‘젠’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지도 모를 나의 모습이 될 수 있다.

 

 여성이 여성을 사랑하는 일, 남성이 남성을 사랑하는 일, 그것은 지탄받아야 할 일이 아니다. 그들의 선택과 삶은 그냥 그들의 것이다.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일, 우리에겐 왜 이토록 어려운 것일까. 소설을 읽을 때마다 확인한다. 소설 속 삶은 누군가의 삶일 수 있으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그들은 혐오의 대상이 아니니 무조건 그들의 삶을 두 팔 벌려 환영할 수는 없지만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정확하고 명징한 사실. 누구나 자신의 삶을 살고 있다. 그저 보통의 삶 말이다. 지긋지긋한 어제와 오늘을 살고 저 너머 어디에 좀 더 나은 내일이 있을 거라 소망하며 살고 있다. 그것이 동성애의 삶이든, 노년의 삶이든, 더운 여름 끼니 걱정을 하는 엄마의 삶이든, 중2의 삶이든 각자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살아간다. 그들 중 하나인 내게 ’의 말은 뜨거운 위로로 다가온다.

 

 ‘이 애들은 삶 한가운데에 있다. 환상도 꿈도 아닌 단단한 땅에 발을 딛고 서 있다. 내가 그런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그런 것처럼. 이 애들은 무시무시하고 혹독한 삶 한가운데에 살아 있다.’ (149쪽)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딸이 아닌 엄마만 보였다.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세상의 모든 엄마를 떠올린다. 엄마이기 전에 여성인 사람. 엄마라는 이유로 자신의 생을 희생하며 살아온 엄마들,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동동거리는 젊은 엄마들, 엄마가 된다는 부푼 기대를 품은 예비 엄마들. 그들이 살아갈 생이 제발 지금보다 평등하고 아름답기를.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날들이기를. 징그럽고도 길고 긴 삶이 그래도 살만하다고 말할 수 있기를 바란다. 내 딸에 대하여, 내 아들에 대하여, 내 삶에 대하여 모두에게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날들이 오기를. 신랄하고 집요한 생이여, 이젠 안녕. 산뜻하고 개운한 인사를 건넬 날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