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봄-여름 2018 소설 보다
김봉곤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어떤 감정은 시간이 지나서야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아쉬워하기도 한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오히려 그 감정을 제대로 몰라서 다행은 아니었을까. 서툰 사랑이나 분노였더라면 말이다. 한 작가의 소설을 모은 단편집을 읽을 때 일정한 주제가 보인다. 작가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작가가 쓰고 싶은 소설의 방향이 비슷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런 점에서 여러 작가의 소설을 모아 엮은 소설집은 매 소설마다 색다른 즐거움을 안겨준다. 테마 소설집을 제외하고 말이다.

 

 문학과지성사의 새로운 시도이자 기획이라 할 수 있는 『소설 보다: 봄-여름 2018』은 나쁘지 않았다. 네 편의 소설마다 각기 다른 평론가와 작가와의 인터뷰가 담겼다. 봄의 소설(김봉곤, 조남주)과 여름의 소설(김혜진, 정지돈)은 저마다의 개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김봉곤의 소설은 처음인 것 같다. 소설은 처음이지만 그가 쓰는 글에 대해 어느 정도 들었기에 큰 거부감은 없었다. 자신의 성 정체성을 정확히 알기 전에 만났던 여자친구와 다시 만나면서 게이 이전의 일상을 들려주는 「시절과 기분」은 잔잔하면서도 감성의 결이 느껴졌다. 소설에서 소설가로 등단한 ‘나’와 결혼해서 아이 엄마가 된 혜인과의 만남은 지극히 현실적인 모습처럼 보였지만 자신에 대해 고백 아닌 고백을 해야 하는 ‘나’에게는 조금 두렵고 떨리는 일이었다. 그러나 보통의 사람들이 그렇듯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 추억을 꺼내다 보면 그저 별일 아닌 것처럼 돼버리기도 한다. 소설에서 혜인에게 자신의 책을 건네주는 ‘나’​는 작가의 분신이라 할 수 있다.

 

 조남주의 「가출」은 어떤 면에서 가장 보편적인 소설이다. 메모를 남기고 가출한 아버지 덕분에 가족들은 자주 모였고 아버지를 걱정하다 점점 편안한 시간을 보낸다. 아버지 때문에 먹지 못했던 청국장을 먹고 아버지를 이야기하면서 지난 시절을 돌아보고 꺼내볼 수 있으니까. 가출한 아버지에게 놀랄만한 사건은 벌어지지 않았고 가족들은 그들의 일상을 이어간다. 가장의 자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 아버지에 대해서도 떠올리게 되었다. 김혜진의 「다른 기억」은 학교 신문사의 주간 교수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보는 이야기다. 주간 교수가 파면당하면서 편집장이었던 이와 그의 친구인 화자인 ‘나’는 그 사태에 대해 다른 시선을 갖는다. 주간 교수가 남달리 아꼈던 편집장은 뭔가 잘못되었다고 믿었고 다른 이들은 그 말에 동의하지 않았다. 편집장은 신문사를 떠났고 모두가 졸업한 후에 주간 교수를 만나 자리 역시 그러했다. 편집장이었던 ‘너’는 여전히 극진하게 선생님이라 대하지만 ‘나’는 그 자리를 빨리 떠나고만 싶다. 김혜진의 소설 속 ‘너’와 ‘나’는 가장 가깝고 내밀한 사이였지만 그래서 더 쉽게 멀어질 수 있었다. 그들의 모습은 현실의 너와 내가 될 수 있기에 불현듯 어느 시절의 너와 내가 겹쳐졌다.

 

 정지돈의 「빛은 어디에서나 온다」가장 난해하고 어려웠던 소설이다. 흔히 말하기를 지식 조합형 소설이라고 하는 종류의 소설이 아닌가 싶다. 1968년을 배경으로 한국에 온 앙코 씨와 이화여대 영문과에 다니는 정태순이 등장한다. 그 시대의 풍경과 오사카 만국 관람회를 통해 상상하던 미래를 현재의 시선으로 들려주는 형식의 소설이다. 어떤 부분은 기사처럼 읽히기도 한다. 소설과 다르게 김신식과 나눈 인터뷰에서 ‘일상에 관심이 없다’는 정지돈의 답은 무척 인상적이었다. 일상과 관심을 다르게 해석해야 하나 혼자 생각하기도 했다.

 

 네 편의 소설을 읽으면서 어느 시절의 기억을 떠올렸다. 아버지가 살아계셨을 때 아버지와 내가 나눈 말들에 대해, 연락할 수 있지만 연락을 하지 않는 동기와 친구들에 대해, 아련하게 그리운 어떤 사람에 대해, 돌이킬 수 없는 관계에 대해 말이다. 그리고 과거의 나는 지금의 나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서도. 김봉곤의 이런 문장은 이 소설집을 관통하는 게 아닐까 싶다.

 

 슬픈 것과 사랑하는 것을 착각하지 말라고, 슬픈 것과 사랑하지 않는 것을 착각하지 말라고 생각했고, 아무래도 아무여도 좋은 일이라고도 잠시 생각했다. 상상만으로도 이미 나는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았지만, 가능 세계를 그려보는 일이 예전만큼 즐겁지 않았다. 내가 된 나를 통과한 사람들, 슬픔과 불안에서만 찾아왔던 재미와 미(美) 역시 내키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시절과 기분」,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