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 다운
B. A. 패리스 지음, 이수영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폭우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제대로 운전을 할 수 없는 깊은 밤, 교사인 캐시는 여름방학을 앞두고 동료들과 모임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다.
인적이 드문 숲길에 정차한 차 한 대. 운전석에 앉은 여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일까. 운전하던 차를 후진하고 자동차 근처로 다가가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다. 쏟아지는 비 때문에 차에서 내릴 엄두도 나지 않아 그냥 집으로 향한다. 다음날 아침, 뉴스에 등장한 살인사건. 어젯밤 바로 그
여자다. 캐시는 두렵다. 내가 그 여자를 그냥 그대로 방치해서 죽은 것만 같다. 남편 매튜는 그 숲길로 다니는 걸 싫어했고 아내 캐시는 모든 걸
말할 자신이 없다. 설상가상으로 그 여자는 캐시가 아는 사이다. 절친 레이철의 회사 파티에 참석했다가 새롭게 사귄 친구, 제인이다. 레이첼에게도
숲길에서 제인을 봤다고 말할 수 없다. 빨리 범인이 잡히기를 바랄 뿐이다.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캐시의 주변에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건망증이 심해지고 집으로 이상한 전화가 걸려온다. 공중전화로 경찰에 사건이 있던 밤 여자를 목격했다고 말했지만 제인에 대한
뉴스를 보면 죄책감에 힘들다. 레이철과 매튜가 별일 아니라고 위로하지만 캐시는 자꾸만 치매를 앓다가 돌아가신 엄마를 생각한다. 자신의 집을
감시하는 듯한 남자와 제인을 죽인 범행도구로 짐작되는 칼이 주방에 떨어져 있고 기억할 수 없는 상황이 반복된다. 남편의 출장 날짜, 친구를
초대한 약속도 잊어버린다. 주문한 적 없는 물건들이 배달된다. 그럴 때마다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캐시의 거짓말은 점점 늘어난다. 너무도 다정한
매튜도 지쳐가고 캐시는 병원을 찾는다. 캐시의 증상은 진짜 엄마처럼 치매의 전조증상일까? 의사는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말하면서도 약을 먹는 게
좋겠다고 한다.
캐시에게 집은 더 이상 안전한 곳이 아니었다.
경비시스템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비밀번호를 잃어버려 곤란한 상황만 만들었다. 심지어 약을 과다 복용해 응급실에 실려가기도 했다.
운전을 할 수도 없다. 캐시에게는 하루하루가 공포 그 자체였다. 곧 시작될 학교 수업도 자신이 없어 쉬어야 할 정도다. 캐시의 입장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의 행동가 기억을 온전히 믿을 수 없을 테니까.
처음엔 제인을 죽인 범인을 빨리 찾기를
바랐다. 범인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고 하니 내가 짐작한 인물이 범인이 아닐까 생각했다. 그러다 점점 캐시가 걱정됐다. 이 소설의 끝이 캐시의
정신병원행이 아닐까 싶어서다. 다정한 매튜도 힘들어할 것이고 레이철도 캐시의 치매 증상을 낫게 해줄 수는 없으니 말이다. 다행인 건 학교 동료인
존과 제인의 남편인 알렉스가 캐시를 믿어주고 응원해준다는 것이다. 캐시는 알렉스에게 사건이 일어났던 밤 제인을 봤다고 미안하다고 말하며 현재
자신이 어떤 상태인지 고백했다.
불안한 캐시의 복잡한 내면과 범인에 대한
궁금증, 정말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이다. 더욱 놀라운 건 기막힌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것이다. 나름 열심히 추리했지만 내 추리는 모두 빗나갔다.
예상하지 못한 사건의 전말, 그 흥미진진한 진짜를 말하고 싶어 조바심이 난다. 어쨌거나 더위를 잊게 만들기에 충분한 재미를 안겨주는
소설이라는 건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