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이동진.김중혁 지음 / 예담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나는 팟캐스트를 잘 듣지 않았는데, 우연히 이동진의 빨간 책방을 들었고, 그 후에도 종종 듣는다.
이동진의 빨간 책방 말고도 낭만서점을 듣고 있지만, 진행스타일이나 여러모로 이동진의 빨간책방이 더욱 내 취향이었다.
이동진평론가의 목소리가 일단 좋았고 ㅋㅋㅋㅋ 내용도 흥미롭게 이야기 해주어서 솔직히 꺼려했던 책도 많이 읽게 되었다.
유명하다면 유명한, 이동진의 빨간책방이 책으로 나왔다.
청취자에게 가장 큰 호응을 얻었던 외국 소설 7편을 골라 책으로 묶었다는데, 내가 읽은 소설도 있었고, 읽으려고 매번 고민중인 소설도 있었다.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7편>
이언 매큐언 - 속죄
밀란 쿤데라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줄리언 반스 -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 호밀밭의 파수꾼
얀마텔 - 파이이야기
니코스 카잔차키스 - 그리스인 조르바
무라카미 하루키 -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소개된 책들이 워낙 유명하고, 알만한 책들이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아무래도 속죄였다.
팟캐스트로 들었을 때도 이언 매큐언의 속죄를 소개할때, 봐야지 해놓고선.. 선뜻 보지 못한 채 흐지부지 넘어갔었다... 헌데, 이 책을 통해서 다시 한번 소개를 해주니... 그 때 읽지 못한 게 조금 아쉽긴 했었다. 그 외에도 그리스인 조르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도 읽지 못한 책이었는데... 재미가 없었다고 해야하나...읽다가 만 소설들이었는데 또 소개되는 걸 보면 읽어보고 싶기도 하고....
그리고 뭔가 요상한 기분이 들었던게, 줄리언 반스의 '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라는 책이었는데... 사실 그 책을 읽고 난 뒤에... 뭐지? 뭐야 너무 쌩뚱맞은건 아닌가?;; 라며 어이털린 기분을 가졌었는데, 이동진 평론가의 말 한마디에 반성을 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이동진
└ 저도 독자 리뷰들을 좀 읽어봤는데 의외로 평가들이 안 좋더라구요. 제 생각에 그 이유는 독자들이 이 작품을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 같은 장르소설처럼 읽어서 그런 것 같아요. 결말에 아주 강력한 반전이 있는 일종의 추리소설로 이 작품을 접하다보니 그 반전의 질 또는 반전의 재미에 따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거죠. 하지만 제가 느끼기에 이 소설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반전 그 자체나 반전의 내용이 아니라 그 반전이 일어나기까지 주인공이 아무것도 몰랐다는 점인 것 같아요. 결국 이 소설이 이야기하는 핵심은 그 반전의 구체적인 양상이 아니라, 그 지경이 되도록 아무것도 몰랐던 인간의 무지 자체인 거죠. (중략)
나의 상태를 콕- 집어서 이야기를 해준거 같아서 순간.. 당황했다.
히가시노 게이코나 기타 장르소설을 많이 접하다 보니 너무 내가 스토리스토리스토리만을 외쳤던 것은 아닌지
독서에 관한 얕은 생각이 여기서 드러나는 구나!! 라며 좌절하고 또 좌절하고... 앞으론 그러지 말아야지 라는 반성도 했습니다 ㅎㅎ
라디오를 들을 때에도 작품에 대해 하나 하나 대사를 짚어가며 꼼꼼하게 이야기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렇게 글로서 접하니 마음에 더 쏙-쏙-들이 남았다. 마치 나 자신이 작품을 읽은 것처럼 재미있기도 했고, 덕분에 이해하는 폭이 넓어서 좋을거라는 생각도 들고 너무 자세하게 이야기를 해줘서 오히려 흥미가 반감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하지만, 이동진 평론가의 목소리가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 그려져서 금새 뚝딱 읽게 되었다. ㅋㅋ
팟캐스트로 들을 때는 쉽게 술술 그냥 흘려듣던 것도 글로 읽으니 두고두고 생각나고, 더욱 흥미를 끌게 되어서...
앞으로 이렇게 팟캐스트로 소개된 책들을 글로서 남기는 걸 강추하는 바입니다. ㅋㅋ
좋은 작품을 읽으면 이야기를 하고 싶고
대화를 나누다보면 문학을 더욱 사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