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르만 헤세의 사랑 - 순수함을 열망한 문학적 천재의 이면
베르벨 레츠 지음, 김이섭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8월
평점 :
헤르만 헤세의 사랑이란 참으로 다사다난 하고 우열곡절이 많았구나 싶었습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헤세작가님의 사랑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던 것처럼 로맨탁하다는
것들을 상상했었는데,
로맨틱과는 순전 거리가 멀다한 정말 현실적인이고 자유분방한 사랑이야기더군요.
하지만, 사랑에 빠지는 그 순간은 어느 사람들처럼 로맨틱한 기분이 들더라구요. 현실에서도 그 로맨틱한 기분이 지속될 수 없듯, 헤세 역시 다르지
않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결혼에는 '책임감'이 따르죠. 그 책임감을 질 수 있느냐 엄느냐에 따라 결혼생활의
유무를 따질 수 있다고 보는데, 헤세에게는 책임감도 책임감이지만 예술성이 너무나도 뛰어났던것 같아요. 한 사람의, 한 가족의 아버지로 살기에는
너무 큰 사람이었나 싶습니다.
가족을 유지하며 글을 쓰는 작가도 있겠지만, 헤세의 경우는 책에서 처럼 자유로운
영혼이었기에 수많은 시와 소설들이 탄생하지 않았나 싶어요.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참을 인자를 몇번이고 새기지 않으면 안되었다는 진실~
아무래도 제가 여자기 때문에 헤세의 아내들의 편에 서서 헤세를 꾸짖어 주고
싶더라구요. 그리고 그런 헤세라는 사람의 매력이 무엇인지... 인내심이 대단하더군요. 특히 첫번재 부인 마리아.... 이름처럼 정말
마리아였네요...
지금같은 시대에 살고 있는 저로서는 아이낳을 때 남편이 옆에 었었다거나, 아픈
아이를 다른 곳에 맡긴다는 일, 자유롭게 여행을 다니는 일 등등 용서되지 못하는 일들이 많았는데 그걸 견뎌낸 마리아가 눈물나게 가슴 아팠어요.
ㅜㅜ
헤세가 작품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부인들의 희생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새로웠어요. 거기다가 저는 책을 읽을때 실제로 겪었던 일들으 각색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상상력인가? 하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헤세의 경우,
결혼생활을 겪고 '게르트루트' '로스할데'의 소설을 집필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로스할데라는 소설 속에서 그는 예술가의 숙명과 결혼에
대해 이렇게 표현했다고 하네요.
'도대체 예술가나 사상가에서 결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나
한겁니까?
p. 91
'사랑'이라고 말하기엔 부족한 듯 부족하지 않은 헤르만 헤세의 사랑을
엿보았습니다. 헤세의 전기라고 부를만큼 헤세에 대해 깊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예술에 관한 그의 열정도 엿 볼 수 있었어요.
과연 예술가구나. 예술가를 미치광이라고 표현하는 데 있어서 책을 읽으면서 격한
공감을 하게 된 책이었습니다.
헤세의 책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읽어도 흥미로울 책이었습니다. 읽는 내내 忍忍忍忍 을
새기면서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