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끔찍한 남자 마르틴 베크 시리즈 7
마이 셰발.페르 발뢰 지음, 김명남 옮김 / 엘릭시르 / 2019년 9월
평점 :
일시품절



"모든 게 나아질 거라고 믿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늙어서 찬밥 신세가 되었고 세상도 다 틀렸지만. 만약에 사회가 이렇게 될 줄을 미리 알았다면 아예 자식을 안 낳았을 겁니다.(279쪽)"


전쟁 이후의 사회는 폭력에 도취되었다. 강하게 밀어붙이지 않으면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보는 사람이 많았다. 이러한 약육강식의 태도가 팽배해 있던 시절의 한 경찰이 이번 사건의 피해자가 되었다. 피해자는 살아생전에 저질렀던 일들로 보나 살해된 방식으로 보나 말 그대로 끔찍했다.


마이 셰발과 페르 발뢰는 시리즈 내내 스웨덴 사회를 종종 비판하곤 했고, 이번 권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더 분명하게 경찰이라는 집단이 가진 약점을 드러내고자 했다. 군대에서 경찰로 넘어온 그 시절의 경찰들은 무자비하게 폭력적으로 시민들을 다뤘다. 그렇게 해야만 자신들이 가진 공권력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또한 폐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서로의 잘잘못을 감춰주며 결속력을 강화했다. 그렇기 때문에 시민들이 '옴부즈맨'이라는 좋은 제도를 통해 공권력에 대항해 봐도 소용이 없었다. 돌아오는 답은 늘 똑같았다. "진정인을 기억하지 못함." 혹은 "필요한 것 이상의 무력은 쓰지 않았다고 함."(147쪽)


"세상에, 대체 왜 안 쐈습니까? 이해가 안 되는......"

"이해 안 해도 됩니다." (343쪽)


주요 가치가 무너진 채로 어찌어찌 집단을 지탱해 온 경찰에게 이번 사건은 불가피했다. 경찰이 피해자가 되었지만, 가해자나 다름없는 상황이었다. 이런 점을 '마르틴 베크'와 그의 동료들은 뼈저리게 느끼고 있었다. 죄책감에 시달리기도 하고, 강경하고 고압적인 경찰이 돼기를 바라는 일부 동료를 비판하기도 했다. '군발드 라르손'이 가해자와 마침내 마주했을 때 저격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점에서도 그들이 이번 사건에서 어떤 바를 느끼고 있는지를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스웨덴 경찰에게든 누구에게든 나아질 여지가 있기 때문에 희망적이라고 생각했다.

(도서=출판사 제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