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은 읽으면 읽을수록 중압감이 느껴지는 소설이었다. '아프가니스탄'과 끝없는 전쟁, 그리고 이런 운명을 견디고 있는 여성들의 생애는 쉽게 마음을 파고들고, 이전까지는 흐릿하게 알고 있던 국가에 대한 호기심과 열의를 불러일으켰다. 소설이 과거의 일로 끝났다면 좋았겠지만,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을 환기시키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집중해서 읽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라일라'와 '마리암'이라는 두 여성에게 주어지는 전쟁과 가부장제의 이중적인 억압이 고통스러워서, '라일라'와 '타리크'의 말도 안 되는 로맨스가 감격스러워서 울음을 참아가며 뒤로 갈수록 페이지를 빠르게 넘기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이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건 극악의 상황에서도 서로를 버티게 해 준 '라일라'와 '마리암' 사이의 사랑이다. 전쟁통에 갑작스레 부모를 잃은 '라일라'에게 '마리암'은 어머니였으며, '라일라'는 '마리암'에게 '가족'이라는 꿈을 실현시켜 준 존재였다. 명분을 잃어버린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고향이 폐허처럼 변하고, 여성을 비인간화시키는 상황 속에서도 둘은 서로에 대한 사랑과 신뢰로 죄 없는 아이들을 지켜냈다. 어떠한 인정도 없었고, 괴팍하고 견디기 어려운 시련이었지만, 그들은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자꾸 솟아오르는 고난의 시기를 온몸으로 내리치며 나아갔다. 참는 것만이 여자의 미덕처럼 여겨지던 시기에 그들의 안에 꿈틀대던 분노와 더 나은 삶에 대한 욕망은 서로를 위해 생겨나는 것이었다. 

"그들이 인간의 반을 집에 머물게 하고 아무것도 못하게 할 수는 없죠."

라시드가 말했다.

"왜 안 된다는 거야?"

386쪽

'마리암'과 '라일라'의 남편인 '라시드'는 얼굴에 화장을 하고 부르카를 입지 않고 낯선 남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걸어 다니는 여성들에 대해 '현대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아프가니스탄'은 과거로의 회귀를 시도하고 있다. 여성은 가정이라는 울타리에 갇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배고픔을 면하기 위해 어린 여자아이를 팔아넘기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마리암'의 어머니인 '나나'는 이런 말을 했다. "눈은 우리 같은 여자들이 어떻게 고통당하는지를 생각나게 해주는 거다. 우리에게 닥치는 모든 걸 우리는 소리 없이 견디잖니.(129쪽)" 그리고 이 글을 쓰던 오늘 잠깐씩 눈이 내렸다. 고향인 '카불'로 돌아가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 지역 사회에 기여하려던 '라일라'의 낙관과 희망은 또 한 번의 억압으로 처참하게 짓밟히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라일라'와 '마리암'에게서 "라시드나 탈레반이 깰 수 없는 깊은 마음속을 본다. 석회암처럼 단단하고 굳은 어떤 것.(559쪽)" 너무 많은 희생, 특히 여성에게 수백 년간 주어진 감금이 아프간에서 그만 반복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탈레반이나 전쟁, 테러리즘으로만 아프간을 기억하지 않고, 그곳의 놀라운 자연경관을 직접 목격하고 그 안에서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을 음미할 수 있는 날이 곧 우리에게 와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