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저드 베이커리 (양장) - 제2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소설Y
구병모 지음 / 창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빵은 지긋지긋하다.'라고 외치는 우리의 작중 인물은 신변의 위협에 처하자 아이러니하게도 한 빵집에 숨어든다. 이 빵집은 '위저드 베이커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각종 희귀한 빵과 디저트를 만들어 낸다. 누군가를 사랑에 빠지게 만들고, 시간을 되돌리기도 하며, 장사를 최소한 말아먹지는 않도록 부적의 효과를 내기도 한다. 오갈 데 없이 경찰에게 뒤쫓기게 된 청소년을 '위저드 베이커리'의 사장은 별다른 질문도 하지 않은 채로 숨겨준다. 누구에게도 개방된 적 없던 오븐의 통로를 열어 자신의 내밀한 부분을 드러내면서 이들의 관계는 시작된다.


"그렇지만 그게 내 탓은 아니잖아. 나는 단지 거기 존재했을 뿐인데.(36쪽)"


잘못된 때와 장소에 존재한 죄로 아이는 쫓기듯이 빵집으로 도망쳐 나왔다. 새 가족에게 갑작스레 범죄자로 몰리던 순간과 친엄마에게 청량리역에서 버려지던 장면이 오버랩되면서 아이는 자기 존재의 타당성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죄가 될 수 있다는 생각과 모든 일이 자신의 탓일 리는 없다는 좌절이 머릿속에서 뒤엉킨다. 그런 아이를 위로하는 건 '빵'이다. '빵'은 제대로 끼니를 챙기지 못하는 아이의 지긋지긋한 생존수단이자, 단 한 입만으로 과거를 현재로 끌어당기는 유일한 유품이다. 아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빵'을 매개체로 하나로 연결된다. '빵'이라는 수단을 통해 아이는 상처받은 과거를 견디고 나면 그 길의 끝에서 마법 같은 미래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아픈 과거는 미래의 특별한 만남을 위한 하나의 복선으로 작용한다. '위저드 베이커리'의 빵에는 과거와 현재 대신 미래가 들어 있다.


'위저드 베이커리'는 어린 시절의 마법 따위나 환상이 아니다. 사장은 빵을 만들어 사람들이 원하는 바를 이뤄주면서 그들에게 행복을 떠먹여 주려고 하지 않았다. 도리어 무거운 책임감을 가르치고자 했다. 그렇기 때문에 빵에 포함된 모든 마법의 힘은 결국 자신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간다. 그 과정 속에서 손님들에게 모든 일은 불가피하며, "흘러가는 대로, 일어나도록 둘 수밖에 없는 일이 있(141쪽)"다는 사실을 가르쳐주고자 했다. 오늘도 우리 인생은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아무런 대가도 없이 손쉽게 과거로 돌아가서 인생을 두 번 살 기회는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니까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는 뻔한 말을 또 주워섬겨야겠다. 입속은 단데 현실도 그만큼 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