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모든 아기들은 자폐로 태어난다. 우리 모임 사람이 예전에 말한 적이 있다. 우리는 신경질적으로 웃음을 터뜨렸다. 동의했지만, 동의한다고 말하는 것은 위험했다.(64쪽)
『어둠의 속도』는 근미래에 태어난 자폐인의 일인칭 시점에서 쓰였다. 실제로 자폐인인 아이를 둔 작가 '엘리자베스 문'은 큰 이질감 없이 '루'의 시선을 표현해 냈다. 처음엔 '루'가 이해하지 못하는 '정상인'들 특유의 행동을 설명하고 싶은 충동에 휩싸인다. 이전의 작품들과 다를 바 없이 밖에서 안으로 자폐인을 관찰하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한다. 하지만 소설을 읽을수록 우리 안에서 '루'를 점점 더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내재되어 있던 자폐적인 특성은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경계를 쉽게 지워버린다. 특히 패턴을 분석하는 등의 문제에서 보통의 사람보다 천재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루'를 보면서 그가 '정상인'보다 모자라다는 사실을 납득하기 어려웠다. 특수한 능력이나 '정상인'처럼 보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루'를 비롯한 자폐인들은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다. 소설 속에서 '루'와 동료들이 제안받은 '정상화 수술'이 그 증거이다. 그들은 언제나 변화하기를, '정상인'과 같아지기를 강요받았다.
'정상인'처럼 말하고 행동하고 섞여 들어야 한다는 가르침에 따르면서도, '루'는 끊임없이 정상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정상인'의 범주에 속해 있으면서도, '루'의 질문에 답하기란 꽤 어렵다. '루'를 지켜보고 있으면 혼란은 점차 가중된다. 소설 속에서 '루'는 자폐인이고, '비정상인'이지만, 내가 본 '루'는 가끔은 이해할 수 없는 독특한 '정상인' 친구 정도다. '루'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해 잘못된 점이 없다고 믿는다. 가끔 어떤 특별한 상황에 있어서 '정상인'들의 체계를 이해할 수 없을 때의 불편함만 제외한다면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가 제안한 '정상화 수술'을 '루'는 선뜻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는 자폐증이 자신의 일부에 불과하며, 자신 또한 남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루'처럼 자신이 이제까지 만들어 온 패턴이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제거될 필요는 없다고 느끼느냐, 혹은 자신의 패턴이 다른 사람과 동일해지고, 무리 안에 잘 섞일 수 있기를 바라느냐가 '정상화 수술' 논란의 핵심이다.
'루'는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나아가기를, 위험을 감수하기를, 새로운 친구를 찾기를, 지금의 내가 되기를 선택했다.(501쪽)" 결과의 성패와 관계없이 '루'가 어떤 상황에서든 자기 자신이기를 바라고, 이를 지켜내려 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루'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목숨처럼 중요하게 생각하던 고정된 패턴을 버리고, 불확실한 자유낙하를 시작하는 용기를 보여 주었다. 그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적극적으로 빛을 쫓았고, 세상으로부터 자신의 본질을 지키면서도 자신이 원하던 위치에 도달했다. 『어둠의 속도』는 '정상인'이 우월하기 때문에 '비정상인'이 '정상인'으로서의 삶을 획득하려는 이야기가 아니다.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기를, 타인이 아닌 자신의 기준에서 더 나은 자기 자신이 되기를 바라던 한 사람의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