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덤
요 네스뵈 지음, 김승욱 옮김 / 비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킹덤. 오프가르 농장은 우리 왕국이다, 아빠는 항상 이렇게 말했어요. 칼과 내가 이 땅의 주인이 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봐 걱정하는 사람처럼.(674~5쪽)


『킹덤』을 읽는 동안 무엇 하나도 제대로 예측할 수가 없었다. 사건의 진상을 어느 정도 파고들었다 싶으면 작가 '요 네스뵈'는 다음 장에 이르러서 손쉽게 독자의 예상을 뒤엎었다. 독자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다지 많지 않다. 우리는 그저 초조하게 책장을 넘기며 결말에 하루빨리 도달할 수 있기를 바랄 수밖에 없다. 『킹덤』의 예비 독자에게 내가 해줄 수 있는 말은 모든 문장이 복선이 되므로 어떤 문장도 허투루 보지 말라는 말뿐이다. 작가가 '요 네스뵈'인 이상 700여 페이지는 결코 많지 않다.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하는 순간 앞 장에 있었던 복선들에 관한 명확한 깨달음이 찾아온다.


죽어가는 한 마리의 개와 자신의 일에 죄책감을 느끼는 동생 '칼', 그리고 마음이 여린 동생을 대신해 행동을 실행에 옮기는 형 '로위'. 그날 '오프가르 왕국'의 서막이 열렸다. 이후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마다 형제는 아버지의 격언을 떠올린다 :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을 하라. 모든 것은 여러분의 손에 달렸다. 미루지 말고 지금.(685쪽)" 그리고 일은 지겹도록 똑같이 반복된다. 숲에서 개를 죽이던 때로부터 '오프가르' 형제는 한 발짝도 멀어지지 않았다. 그들이 일을 벌이는 데 있어서 '가족'은 가장 강력한 동기가 된다. 아버지는 세상과 맞설 때 '가족'이라는 집단만이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유일한 무기임을 강조했다. '로위'와 '칼' 사이의 단단한 결속은 아버지의 말이 사실이었음을 입증한다. 하지만 아버지는 중요한 한 가지를 언급하지 않았다. '가족'이라는 무기는 '오프가르' 형제를 방해하는 세상을 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을 갉아먹기도 한다는 점이다.



부엌에서 당신이 바베이도스 이야기를 할 때, 사람들이 원칙보다는 가족과 감정에 더 충실하다고 믿는다는 말을 한 것 같은데요. 정치적 견해나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도 나중이라고. 내가 제대로 알아들은 겁니까?(208쪽)

겉으로는 작고 한심한 농장에 불과하지만, 아버지는 '오프가르' 가의 농장을 '킹덤'으로 명명했다. 왕국의 발아래에 묻혀 있는 비밀의 깊이를 떠올린다면, '킹덤'은 농장에 꽤 걸맞은 이름이다. '킹덤'의 하부에 비밀을 하나씩 파묻을 때마다 '오프가르' 형제는 누가, 언제, 어떻게 일을 저질렀든 간에 '우리'로서 문제를 해결한다. '가족'과 '우리'라는 위험한 울타리는 『킹덤』을 이루는 강력한 울타리다. 후반부에 이르면 울타리의 범위는 마을 사람들 전체로까지 확대된다. 그들은 같은 부모, 같은 고향이라는 뿌리 위에 집단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리에 기꺼이 충성하며, 필요하다면 그 집단만을 위한 도덕을 재형성한다. 사람들이 지금 여기에서 얼마나 많은 분열을 조장하고,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는지 생각한다면 그들의 방식은 선뜻 받아들이기 어렵다. 한편으로는 조직과 동료를 향한 맹목적인 충성이 무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안정과 애정을 얻기를 원하는 또 다른 우리와 닮아있다고 느끼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알던 상식이 '킹덤' 안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설은 적당한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그렇기 때문에 '오프가르 왕국'이 마침내 완벽하게 무너지기를 바라기도 했다.





배반과 분열의 조짐에도 불구하고 '킹덤'의 수명은 끈질기게 연장된다. 이제 이야기가 끝났나 싶어 한숨을 돌리면 또 다른 이야기가 밝혀지고 같은 일이 반복된다. 영원히 지치지 않는 원 안에 '킹덤'은 갇혀있는 것만 같다. '킹덤'의 구성원 또한 불가변적이다. 거기엔 '로위 오프가르'와 '칼 오프가르' 단둘만이 존재한다. 가족 간의 유대와 의리가 이토록 몇 번씩이나 고비를 넘길 수 있다는 데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보편적인 도덕적 기준을 벗어난 '오프가르' 가의 왕국에 언젠가는 정의가 실현될 수 있을까. 소설의 결말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도덕이 지금처럼 굳건하게 제자리를 지킬 수 있으리란 확신을 얻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