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72
마쓰이에 마사시 지음, 김춘미 옮김 / 비채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건축에 대한 애정과 존경으로 빚어낸

'마쓰이에 마사시'의 놀라운 데뷔작!


졸업 후 첫 선택의 기로에 놓인 건축학도 '사카니시 도오루'는 보통의 동기들과 조금 다른 행보를 보인다. 건축이 한낱 공산품으로 제작되고 소비되는 시대 속에서 그는 대학원에 가거나 박봉을 감수하면서 수련을 하는 등의 현실적인 선택지를 마다한다. 그 대신 '무라이 슌스케'의 설계사무소에 들어가려는 궁리를 하고 있다. 고도경제성장의 흐름에서 벗어나 건축가로서 장인 정신을 발휘하면서도, 자기 자신을 과시하지 않고 이용자의 편리 또한 세심하게 배려할 줄 아는 '무라이 슌스케'의 모습은 '사카니시 도오루'의 마음을 단박에 사로잡는다. 고즈넉한 전통과 현대의 모던함을 조화롭게 이용할 줄 아는 '무라이 슌스케'는 커리어적인 면이나 정신적인 면 모두에서 스승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그러니까 '무라이 설계사무소'는 선망의 대상이 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지만, 단 한 가지 문제는 그런 곳에는 늘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의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잃을 게 아무것도 없었던 '사카니시 도오루'의 도전은 '무라이 설계사무소' 입사라는 기적을 만들어 낸다.


'사카니시 도오루'까지 합류한 '무라이 설계사무소'는 사실 큰 경합을 앞두고 있었다. 공공건축 경합에는 좀처럼 참여하지 않던 '무라이 슌스케'가 국립현대도서관 경합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다들 의외라고 여겼지만, 그건 '무라이 슌스케'가 건축가로서 제일 잘 할 수 있는 일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 도서관은 권위의 압박은 배제한 채로 철저하게 이용자들과 건축 사이의 공명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모처럼의 경합 참가로 분주해진 '무라이 설계사무소' 식구들이 함께 가루이자와의 여름 별장으로 떠나면서 이야기는 점점 고조된다. 작가 '마쓰이에 마사시'의 시선을 따라 마주한 여름 별장의 풍경은 작은 소리 하나까지 더없이 생생하고, 독자들은 1980년대 아오쿠리 마을로 자연스럽게 소환된다. '마쓰이에 마사시'의 막힘없는 필체에 사로잡혀 있는 동안 우리는 '무라이 설계사무소'의 일원으로서 실재한다. 또한, 끝까지 자신의 건축에 책임을 지고, 거기에 거주하게 될 고객들의 마음에 오래 남을 건축을 설계하는 '무라이 슌스케'의 디테일들을 '마쓰이에 마사시'의 문장을 거쳐 직접 손끝으로 감각하고 있는 기분이 된다. 사소하고 넉넉한 '마쓰이에 마사시'와 '무라이 슌스케'의 마법을 어떻게 외면하고 살아갈 수 있을까.







'무라이 설계사무소'에서 차츰 성장해 나가는 '사카니시 도오루'를 지켜보는 것도 무척 즐겁다. 확실한 외유내강형의 '사카니시 도오루'는 누구라도 부러워할 법한 조직의 일원으로서 망망한 바다를 헤치며 어설프게 나아갔다. '무라이 슌스케'를 따라 건축에 대한 존경과 애정을 키워가는 '사카니시 도오루'는 설계도면을 수집하며 건축에 대한 관심을 키웠던 작가 '마쓰이에 마사시'의 현신처럼 보이기도, 오늘도 어디에선가 신입 막내의 탈을 벗기 위해 노력하는 앳된 사원들처럼 보이기도 했다.


일은 사무소 안에는 없고, 여러분의 손안에 있습니다.(401쪽)

언제까지나 '무라이 설계사무소'의 막내로 존재할 것 같았던 '사카니시 도오루'가 자기 사무소를 운영할 만큼 성장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이제 그는 눈으로 바쁘게 '무라이 슌스케'의 움직임을 좇던 20대에서 벗어나 "어떻게 끝내는가 하는 것은 중요하지.(417쪽)"라며, 자신의 끝과 그 이후로 고민하는 어른이 되었다. 한 사람의 처음과 끝자락을 들여다본다는 점에서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는 작가 '존 윌리엄스'의 『스토너』와 닮았다. 그러나 거기에 '건축'이라는 낭만과 현실이 끼어드는 순간 '마쓰이에 마사시'의 글은 좀 더 다양한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건축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해 투과된 각기 다른 인생과 풍경을 한번에 흡수한 기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체할 것 같은 답답함이 일지도 않았는데, 거기에 가루이자와에 위치한 여름별장의 부드러움이 한몫하지 않았을까 싶다. 결국은 이 책이 좋았다,고 한 줄로 적었으면 될 일을 이만큼 질질 끌게 되었다. 

집 안에서만 계속 살 수 있을 만큼 인간의 내면은 튼튼하지 못해. 마음을 좌우하는 걸 자기 내부에서가 아니라 바깥에서 찾고 싶다, 내맡기고 싶다고 생각할 때가 있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닐까? - P3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