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무기가 되는 자본론
시라이 사토시 지음, 오시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자본주의는 유일 최선의 경제체제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거듭될수록 자본주의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혁명을 일으켜 전혀 새로운 대안을 추구하는 일은 환상에 불과하므로,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현 시스템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싶은 열망에 휩싸여 있다. 이제까지 우리는 자본주의의 전체적인 흐름에 관해 관심을 갖기보다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부속품으로서 우리 자신을 인식해 왔다. 『삶의 무기가 되는 자본론』의 저자 '시라이 사토시'는 주객이 전도된 현 상황을 알아차리고, 자본에 봉사하는 도구로 전락한 인간들을 향해 뭔가 좀 이상하지 않냐고 호소한다. '디플레이션 마인드'를 지니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저자는 '자본론'이라는 무기를 손에 쥐여주고, 당신의 정당한 권리를 되찾아 오라고 독자들을 설득한다.


요즘 일본 젊은 층은 유토리 세대를 넘어 '사토리 세대'라고 불린다. '사토리'는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여기에는 불가능한 사치스러움을 꿈꾸지 않는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122쪽)


일본의 '사토리 세대'는 한국의 'N포세대'를 떠오르게 한다. 한국의 젊은 세대가 포기해야 할 목록의 숫자는 3 그리고 5였다가 종국에는 N이 되었다. 사태 초기에는 청년 세대도 자신들의 피해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에 관한 대응책을 세워줄 것을 적극적으로 요구했다. 하지만 경제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기만 했고, 청년 세대도 삶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구를 접고 체념해 버렸다. 주위를 둘러보면 나보다 상황이 좋지 않은 또래들만 보이기 때문에 삶의 '디플레이션'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좀 더 자본과 자본가를 위해 일하며 자신을 위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는 착각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자본주의는 폭력에 의해 노동자를 생산 수단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마르크스는 죽을 때까지 수탈로부터 시작된 자본주의 사회가 막을 내리고 언젠가 부르주아가 몰락하며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본주의에 비해 공산주의가 확실히 더 나은 대안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자본주의가 평범한 노동자들에게 유일 최선의 방식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저자 '시라이 사토시'는 책 속에서 줄곧 인간이 '자본'에게 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더는 참을 수가 없다는 자기 나름의 한계를 설정하고 그 이하로 필요 정도를 끌어내리려는 압력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맞서 싸워야 한다. 그리고 투쟁을 통해 필요 정도를 올려야 한다. 그것은 자신의 가치, 즉 등가교환되는 가치를 높이는 행위다.(267쪽)"라고 말했다.

마르크스와 '시라이 사토시'는 모두 인간으로서 우리의 가치와 권리를 잊지 않도록 가르친다. 나는 이것이 『자본론』과 『삶의 무기가 되는 자본론』이 주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교훈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전히 자본을 위한 노동에 치여 죽어가는 생명들을 떠올리면 우리 사회에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교훈이라고 생각한다.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