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재 오늘의 젊은 작가 23
황현진 지음 / 민음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는 내가 얼마나 행복해지길 바랐기에 그런 이름을 지어 줬을까, (36쪽)


운이 좀 따라준다 싶은 날에 주변 사람들이 종종 작가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을 언급했다. 하지만 그들의 착각과는 전혀 다르게 여기에서 '운수가 좋다'라는 말은 역설적으로 사용되었다. 작가 '황현진'의 '호재' 또한 마찬가지다. 그녀는 아버지와 관련된 우울한 과거를 가졌고, 부모님에게 버려져 고모와 함께 살면서 가장 먼저 '두려움'을 배웠다. 호리호리한 몸으로도 보호자이기를 자청하던 고모부와 동생을 대신해 '호재'를 돌보아 준 고모 '두이'가 있었지만, '호재'는 좀처럼 어둠을 떼어내지 못한 채로 살아왔다. 이름과는 영 딴판인 삶을 살아가는 아이에게 어떻게 '호재'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그 이름을 지어주던 순간만큼은 아버지 '두오'가 행복했을까, 묻고 싶은 것들이 많지만 아버지는 '호재'를 밀어내고 이불 속으로 자꾸만 파고든다.

그녀의 이름을 들으면 온 세상의 기쁨 속에서 태어났을 것만 같다.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세상에 태어났다는 사실은 아주 당연하게 행복한 일처럼 간주된다. 가족이라는 집단이 우리 모두에게 유일한 울타리인 것처럼 강요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지금까지의 보편타당성에 대해 '호재'는 묻는다: "당연히 행복하겠습니까." '호재'는 바짝 뒤따라오는 텅 빈 어둠을 의식하면서 나고 자랐다. 아버지가 불현듯 나타났다가 사라져 버리는 혼란스러운 과거들은 이미 알고 있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좀처럼 익숙해지기 힘든 종류의 것이었다. 아버지 '두오'에게 '호재'는 일종의 '알리바이'였다. 아버지는 멀리 사라졌다가 '아버지'로서 '호재' 눈앞으로 되돌아왔다. '두오'는 중요한 순간들에 항상 그 자리에 없었고, 그가 사람을 죽였다는 확신은 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는 '호재'라는 긴긴 변명을 언제까지나 할 수는 없고, 결국엔 무위로 인해 처벌을 받게 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리고 '두오'에 관해 적다 보니 그는 지금 여기 대부분의 사람들과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수습하기 어려운 일이 닥치면 우리는 줄곧 아무것도 몰랐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대답을 한 후 침묵으로 일관하지 않았나. 작가 '황현진'은 "계속 생각하는 것만으로,/ 질문을 놓지 않았다는 것만으로 만족했던 때가 있었다.(206쪽)"고 말했다. 작가의 말은 무죄를 입증하고 우리 자신의 도덕성을 보장받기 위해 바삐 움직이던 손을 멈추게 만든다. 자꾸만 생각을 멈추고, 질문을 잊어버렸다는 죄책감이 따라온다. 우리 자신을 지키는 일이 선제되어야 한다는 가르침에는 회의가 드는 때가 많다.



이유를 알고 싶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우연히 불행한 건지, 당연히 불행한 건지. (69쪽)


아버지라는 그림자에 잠식된 과거는 '호재'를 무력하게 만들었다. 과거를 하나씩 되짚어가며 자신의 불행이 '우연'과 '계획' 중 어느 쪽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알아내려 하지만, 답을 알 수 있을 리 만무하다. 죽지도 않고 끈덕지게 따라붙는 과거와 함께 나아가는 '호재'는 "계획과 노력이 필요한 미래를 그린 적(60쪽)"이 없다. 소설 안에는 노력이나 계획의 끝에 '호재', 그러니까 좋은 일이 없을 거라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 자신의 인생이 왜 이렇게 되고야 말았는지를 곰곰이 따져볼 때도 있겠지만, 오히려 큰 소리를 치며 '알리바이'를 줄줄 읊는 사람들이 '호재'의 생각을 가로막는다. 모든 잘못은 '호재'로부터 비롯된 것만 같다. 한때는 아버지 '두오'의 행복에 대한 기대가 담긴 이름을 부여받은 '호재'에게 말이다.

자신을 지키기에도 모자라 보이는 몸으로 '호재'의 보호자 역할을 자처하던 고모부는 노력과 계획의 끝에서 죽음을 맞았다. 그런 그에게 고모 '두이'는 "거봐, 내가 그랬지. 열심히 살지 말자고.(13쪽)"라며 중얼거린다. 내게 영영 오지 않을 '호재'는 거의 확정된 현실이지만, 그래도 오늘을 살고 또 살고 싶어지는 때가 있는 건 어째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