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욕망의 법칙 인간 법칙 3부작
로버트 그린 지음, 안진환.이수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이 풀리길 바라는 것, 다시 말해 이 고객 저 고객의 마음을 살 수 있길 바라기만 하는 게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그건 눈 가린 채 오리에게 총을 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지식으로 조금만 무장해 보라. 그러면 목표가 커진다. (94쪽)

미국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를 굉장히 즐겨보던 적이 있었다. <하우스 오브 카드>는 정치계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권력 싸움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드라마다. 시리즈 내내 어찌나 교묘하고 첨예하게 대립이 이어지던지,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었다. 지난한 과정 끝에 그들은 결코 섭섭하지 않을 만큼의 권력을 누렸다. 하지만 가끔은 저렇게까지 해서 권력을 얻어야 하나 싶기도 했다. 『인간 욕망의 법칙』의 저자인 '로버트 그린'의 말처럼 권력 다툼을 "요즘 시대에 맞지 않는 사악하고 부도덕한 태도(7쪽)"로만 간주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정의와 감사하는 마음에 호소(82쪽)"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하지만 그런 순진한 태도가 나 혼자만 가지고 있는 이상에 불과한 때도 있다. 힘과 이익이 주를 이루는 약육강식의 논리밖에 통하지 않는 세계에서 외로운 고결함은 소용이 없다. 필요한 순간에 절박하게 원하는 것들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현실적인 감각을 단련해야만 하고, 그렇기 때문에 『인간 욕망의 법칙』을 읽는다. 이 책에 수록된 법칙들은 내면에 내재되어 있다가 중요한 순간에 분명히 빛을 발할 것이다.


『인간 욕망의 법칙』은 『권력의 법칙』(2009)의 에센셜 에디션이다. 저자 '로버트 그린'은 이 책 이외에도 '전쟁'과 '유혹'에 관한 지혜를 담은 책들을 출간하여 권력에 있어 독자들의 멘토로 자리 잡았다. 『인간 욕망의 법칙』의 토대가 된 『권력의 법칙』은 현대판 『군주론』으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으며, 저자는 덕분에 다시 살아난 '마키아벨리'로 평가받기도 한다. '로버트 그린'은 독자들이 인간관계와 그 내부의 욕망, 그리고 심리를 파악하고, 이에 관한 지식을 쌓아 현실을 돌파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만든다.


이 책은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8개의 권력 법칙이 수록되어 있다. 각 파트마다 우리는 권력이 어디로부터 생겨나고, 이를 획득하고 유지하며, 또 올바르게 행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놀라운 것은 48개의 법칙마다 이와 연관된 사례를 꼼꼼하게 수록해 놓았다는 점이다. 사례 속에서 교훈을 찾아내고, 여기에서 '권력'의 키포인트를 짚어낸다. 풍부한 사례와 저자의 해석은 우리가 핵심적인 포인트만 집어 내어 권력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여기에서 『인간 욕망의 법칙』은 질주를 멈추지 않는다. '뒤집어보기'를 통해 사례나 해석과 반대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는 것이다. '권력'의 법칙을 배우는 데 있어 일종의 오답노트를 만든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정답만 유추한 다음에 재빨리 돌아서지 않고, 오답까지 꼼꼼히 살펴보면서 권력을 완전히 우리의 것으로 만드는 연습을 할 수 있다.

​-

테슬라는 과학은 정치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으로, 부와 명예에는 신경을 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바로 그런 태도가 그의 과학적 업적을 망쳤다.(282쪽)


'권력'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반복적인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우리 자신과는 어떤 거리감이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일상적인 관계 속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떠올려 본다면, 또 권력 싸움이 우리 자신과 완전히 먼 세상의 일만은 아니다. 싸움의 크기는 달라도 모든 개개인의 삶 속에서 권력 다툼은 현재 진행형이다. 대단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우리 자신이 원하는 바를 상대에게 관철시키고, 또 몇 안 되는 것들마저 잃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권력의 법칙에 통달해야만 한다. 『인간 욕망의 법칙』을 읽는 순간 '권력'은 어떤 단어보다도 우리 자신과 가까워지고, 이와 반대되는 상황으로 뒤집어볼 수가 없어진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