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 수조
최영건 지음 / 민음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초 수조>는 구매한 이후에 책장에 오래도록 방치해둔 책들 중 하나였다. 작년 가을 즈음 동네 책방에서 이 책을 마주하던 순간이 기억난다. 친구들을 만난 자리에서 어김없이 '취업'에 관한 이야기가 오고 갔고, 대학생 때의 순수한 즐거움은 배제된 채로 해결되지 못할 한숨만 오고 갔다. 그런 상태가 이어지던 시기였기에 <수초 수조>의 뒤표지에 새겨진 '불안과 강박의 심연'이라는 문구가 내 눈에 띌 수밖에 없었다. 우울은 어떤 식으로든 끝나지 못할 것만 같았고, 그럴 바에 차라리 그 안으로 더욱 파고들어 스스로가 사라지길 바랐다. 당시의 나는 물의 흐름에 따라 흐물거리던 수초와 닮아 있었으므로, 이 책을 읽지 않고서는 배길 수가 없었다. 그렇게 나 자신과 닮아 있다고 느꼈던 책을 어째서 지금까지 읽지 않았을까. 누구도 말릴 수 없던 나약함을 새삼 다시 마주하기가 두려웠는지도 모르겠다.
최영건 작가의 <수초 수조>는 수록된 모든 단편이 기이하고 막막한 분위기를 내뿜는다. 뭐랄까, 미래에 대한 암시를 찾길 바라며 잠들었던 꿈속에서 끝없는 안개밖에 보이지 않는 기분이었다. 다 읽고 나면 내가 정확히 어디에 서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를 않고, 문득 슬픈 노래를 들으며 울고 싶어진다.

"많은 이야기들이 너무나 빨리 사라져 버려서 때로 이제 쓸만한 이야기라고는 늙는 것밖에 남지 않은 듯 느껴졌다(p197)."


이 작품에는 노인과 젊은 청년 사이의 간극이 엿보인다. 젊은 작가에게서 노년기와 죽음에 관한 글을 쓰려는 집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삶에 대한 체념과 채울 수 없는 고독을 감각하며 멀고도 가까운 나의 노년기를 상상했다. 늙음을 떠올리면 죽음을 연상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초등학교 5학년 때 죽음이 임박한 것처럼 그것을 감지하곤 했다. 죽음에 대한 공포가 너무나도 커서 당시에 유행하던 '인체의 신비' 박물관을 거의 기다시피 하며 통과했다. 발가벗은 채로 누워있는 시체가 마치 나 자신인 것처럼 느껴진 탓이다. 노인이 되어서 짊어지게 될 '외로움'이라는 감정보다 기억하지도 못할 죽음의 순간이 어쩐지 더 실감 나도록 무섭다. 고독과 체념이라면 젊은 지금도 충분히 손에 쥐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축적된 경험으로 인내하고 버텨낼 수 있는 축에 속하지만, '죽음'은 한 가지의 이론으로 정립되지 못한 만큼 두려움이 증폭된다.

"이 세계(사후 세계)에는 마치 그런 것이 원래부터 없었던 것처럼 무지로써 불완전한 완전을 획득할 것이다. 이곳 아닌 세계에서의 불완전은 이곳에서의 완전이다(234p)."


우리는 '죽음'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향해 달려간다. 각각의 사람마다 속도와 방법에만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 실제로 죽음에 이르고 나면 과연 무엇이 남게 되는 걸까. 작가는 그것이 '이름'이라고 말했다. '죽음'이라는 목적 달성으로 완전해진 후에 우리의 육체는 썩어 문드러지지만, '이름'만큼은 하나의 흔적으로 살아남는다. 혈연으로 이어진 가족뿐 아니라, 나와 같은 이름을 소유한 생명의 도움으로 나는 오래도록 존속할 수 있을 것이다. 사후 세계로 입장하기 위해 들어야만 했던 이름은 또 다른 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지고, 죽음과 탄생을 반복하면서 비로소 완전해진다. 한때는 내가 미워했던 이름이 몇몇 세대를 걸쳐 이어지고,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지리라는 사실을 떠올리다 보면 이름에 대한 애착이 생겨난다. 지금의 이름을 가졌기 때문에 겪을 수 있었던 이야기들을 무명의 영혼으로 사후 세계에 끌려가고 나서야 그리워하게 될 것이다. 늙음과 죽음의 언저리에 서 있는 <수초 수조>를 읽으면서 어릴 적 그토록 무서워하던 죽음을 위로하기 위해 곳곳에 자리해야 할 나이가 되었음을 실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