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엘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테드 창의 작품 세계에 크게 매료된 것은 작년에 <숨>이라는 작품집을 읽은 후부터다. 그의 소설을 읽고서는 이전에 내가 알고 있던 SF 소설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한탄하게 되었다. 테드 창은 자신의 작품뿐 아니라, 독자로서 SF에 대해 느끼던 심리적 장벽을 허물어 뜨렸다. 작년에 출간된 <숨>이라는 작품집에서는 내가 맞닥뜨리게 될지도 모를 미래를 엿보는 느낌이었다. 인간으로서 내가 가지고 있는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들뜬 마음을 억누를 수가 없었다. 개인적인 상상력의 결핍으로 도달하지 못하면서도, 그토록 갈망하던 미래를 내다보는 일은 중독적인 종류의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 서점의 장바구니에 가득 쌓인 책들 중에서 제일 먼저 테드 창의 소설을 골라냈다. 하지만 <당신 인생의 이야기>는 지난번에 내게 잊지 못할 희열을 건네주었던 <숨>과는 다른 결을 지녔다. 절대 이 기분을 실망감이라고 표현할 수는 없다. 테드 창은 과학적 사고에 철학적인 의문을 곁들이면서 그 누구보다도 독자의 지적인 충만에 대한 열망을 채워줄 줄 아는 작가다. 그런 그의 작품을 읽고 비탄에 빠지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대신에 <당신 인생의 이야기>는 가능성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한계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신에게 가닿기를 희망한 인간들이 건설한 '바빌론의 탑'이 헛된 희망이었던 것처럼 내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끝내 넘지 못하는 선이 있으리란 예감에 휩싸이고야 만다.

 

인간이 본래 속한 세상을 비약적으로 뛰어넘어 다른 차원에 도달하는 데 번번이 실패하고야 마는 것은 '선입견'으로부터 기인한 바가 크다. '선입견'은 지금 가진 것 이상의 것을 꿈꾸는 일을 가로막는다. 작가 테드 창은 <이해>에서 '리언'을 통해 지능의 한계에 관해 의문을 품고, 현재의 세계에서 탈피하려는 욕구를 내보인다. 하지만 <바빌론의 탑>에서 앞으로 나아간 듯하다가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서사를 통해 인간의 위치를 여실히 깨닫게 만들기도 한다. '메타 인류'의 기술을 '해석'하는 위치에 고정되거나(<인류 과학의 진화>), 신의 의지대로 삶의 향로가 정해지면서도 신을 사랑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인간(<지옥은 신의 부재>)은 수동적이고, 무기력하다. 이는 인간의 한계를 설정하는 일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이번 작품들을 읽는 내내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직감에 휩싸였다. 끝내는 도달하고야 말 결론을 알아내지 못한 채 피상적인 원인에 극도로 집착하며 살아가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사로잡혔다. 나는 결국 선입견에 사로잡힌 채 스스로 믿고 있는 것이 전부라고 여기면서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는 것이다. 인간으로서 내가 보잘것없는 존재라는 사실이 뼈저리게 느껴지는 작품집이었다.

 

<지옥은 신의 부재>에서 인간의 자율적인 의지를 강조하는 '휴머니스트'나 <외모 지상주의에 관한 소고>에서 '칼리아그노시아'를 거부하고, 교육을 통해 성장하여 외모에 관해 자발적으로 올바른 시각을 지니려는 사람들의 등장은 한편으로 희망차다. 이들은 일종의 "테크놀로지에 의한 지름길"을 추구하지 않고, 개인적 의지에 따라 삶을 개척하려는 시도를 한다. 이미 정해진 항로가 존재하는지도 모르지만, 이를 인정하되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세상을 명징하게 인식하며 의지대로 나아가기 위해 분투하는 인간의 지속적인 노력은 그 나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자유 의지의 부재와 이미 정해진 목적지의 존재는 강한 열망을 지닌 인간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공상과학 소설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인간으로서의 하잘것없음에 대한 인식은 우선적으로 현실에 충실하자는 다짐에 의해 상쇄되고야 만다. 내가 여러 SF 소설을 읽으면서 마주한 다양한 가능성이 그저 공상에 불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좌절하지 않고 선입견에 사로잡힌 채 묵묵히 현재에만 몰두해 살아나가는 것은 인간이기에 지닐 수 있는 고유한 장점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