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이 책의 배경은 나이지리아다. 독재 정부가 들어서는 바람에, 학교에서는 폭동이 일어나고, 기름 부족 사태가 발발한다. 가난에 다들 허덕이면서 살아가지만, 유복한 가정에서 자라는 '캄빌리' 와 '자자'는 그런 고통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 대신 그들의 가정에는 가부장적이고, 신앙에 대해 지나치게 독실하고, 강압적이며 폭력적인 아버지가 존재한다. 내가 보기에는 응당 벗어나야 할 것만 같은 그런 상황에서 그들은 계속 피해자인 채로 살아나간다.
"나는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만들고 싶었고, 아버지만큼 공부를 잘하고 싶었다. 아버지가 내 목덜미를 어루만지며 하느님의 뜻에 합당한 존재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야만 했다.(...)하지만 나는 2등을 했다. 실패로 더럽혀졌다.(P54)"
이처럼 캄빌리와 자자는 아버지가 세워놓은 목표치에 늘 도달해야만 하고, 주어진 자신들의 '일과표'에 맞는 삶을 살아야만 한다.
1등이 누구인지 알아낸 아버지 '유진'은 캄빌리에게 "저 애도 머리가 하나지 두 개가 아니잖니. 그런데 왜 쟤가 1등을 하도록 놔뒀지?(p63)" 라고 야단친다. 또한, "하나님은 완벽을 기대하셔. 나한테는 제일 좋은 학교에 보내 주는 아버지가 없었다.(64p)"
아버지는 자신이 가진 결핍을 떨쳐내지 못했다. 그리고 어릴 때 성직자들에게서 받았던 도움에 병적으로 집착한다. 스스로가 결핍 속에서 느껴야만 했던 아픔들을 극복하지 않으면, 그것들이 전부 자식에게로 또 대물림 된다. 유진이 만들어 낸 가정은 부유한지는 몰라도, 더 나아져야 한다는 강박 속에서 행복해지기는 어렵다.
나는 자식들을 폭행하면서, 우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했다. 자신이 가진 신앙으로 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듯 그의 자식들도 같은 믿음을 가져야만 하고, 자신이 열심히 공부해서 모든 걸 극복해낸 것처럼 자식들도 우수한 사람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그가 가진 강박을. 하지만, 그것이 폭력을 정당화 할 수는 없다. '절대' 어떤 이유에서든지 폭력은 정당화 될 수가 없는 것이다.
벗어날 생각 같은 건 하지 않던 자자와 캄빌리의 삶이 달라진 것은 '은수카'에서 '이페오마' 고모와 함께 지낸 시간들 덕분이었다. "문화적 자의식이 있는 음악가들(p190)"의 음악을 듣고, "때가 되면 아버지가 결정(p165)"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던 대학과 전공에 대해, 자신과는 달리 각자만의 고민을 하는 사촌들이 있는 곳 은수카. 한 번의 방문만으로 자자와 캄빌리의 삶이 극변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들에게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친 것만은 분명해 보였다.
이페오마 고모와 함께 대학교 캠퍼스 투어를 하고 나오면서 오빠 자자는 사자상 밑의 "인간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p167)"라는 글을 뚫어지게 바라본다. 자자는 '존엄성'이라는 글자를 보면서, 새삼스럽게 자신이 처한 상황을 깨닫게 된 것 아니었을까. 아버지가 그들을 대하는 방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은 아니었을까? 그들은 이처럼 자신들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는 사촌들을 지켜보면서, 자신들의 삶 속의 왜곡된 지점을, 그리고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또다른 선택들을 마주하게 된다.
고모가 자자를 오포보의 자자왕-저항자-와 비교한 대목도 흥미롭다. 이후 그는 아버지가 신앙을 강요하는 데에 반항하고, "사생활을 좀 갖고 싶(p236)"다면서, 방 열쇠를 보관하겠다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성지주일 전에 그 말을 들었던 자자와 그 이후에 자신의 알을 깨부수려는 자자를 통해서, '저항자'라는 말이 자자에게 어떤 깊은 울림을 주었는지, 그리고 고모와 사촌들이 그의 인생을 얼마나 송두리째 바꿔 놓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 "아버지가 너희가 여기 며칠 더 있었으면 한대." 그 때 오빠가 어찌나 활짝 웃던지 이때껏 있는 줄도 몰랐던 오빠의 보조개가 보였다.(185p)" 집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자자의 마음이 여실히 느껴져 마음 아팠던 대목이다. 모르고 살았다면 괜찮았을 수도 있지만, 자자가 '다른 선택'에 대해서 알게 된 이상, 그는 '저항자'가 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자자의 여동생인 '캄빌리'는 적극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늘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갈구하는 아이다. 할아버지 '파파은누쿠'와 사촌 '아마카'가 보이는 다정한 모습들을 보며, 어쩌면 자신이 애정을 갈구하고 있었다는 걸 깨닫는다.
"그들은 최소한의 단어만 사용하면서도 서로의 말을 이해했다. 두 사람을 보면서 내가 절대 가질 수 없을 뭔가를 향한 갈망을 느꼈다. (p205)" 집에 갇혀서 아버지가 준 일과표만 따르고 살았던 자자와 캄빌리는 정말 아무것도 몰랐다. 어린아이들로서 당연히 받아야 할 부모님의 애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을 통해서야만 알 수 있었던 것이다.
캄빌리는 폭력을 행사하는 아버지를 두고서도, 아버지를 따르려고 노력하고 그 부당함에 대해서 침묵하는 아이였다. 자신에게 비아냥거리는 사촌 '아마카'에게 소리치며 대꾸하자 아마카는 (내가 보기에) 기뻐하는 것 같았다. "너도 그렇게 큰 소리로 말할 수도 있구나, 캄빌리.(p211)" 이후 아마카의 캄빌리에 대한 태도는 완전히 변화한다. 더 이상 아무것도 모르는 캄빌리를 조롱하지도, 비아냥 거리지도 않는다. 나는 아마카가 캄빌리를 비난하던 것은 그저 자신의 사촌이 처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거기서 빠져나오기를 바랐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분명히 자기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드러내지 않고, 도망치려고만 하지 말고, 현실과 마주하고 그 알을 깨부숴주기를, 아마카는 바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