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텔 창문 - 2019 제13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편혜영 외 지음 / 은행나무 / 2019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작품은 제13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인 <호텔 창문>과 수상 후보작들이 실려 있는 책이다. 수상작이기 때문에 <호텔 창문>을 위주로 편집되었고, 뒤표지에도 <호텔 창문>의 간략한 줄거리만이 소개되었을 뿐이다. <호텔 창문>만이 주인공인 것처럼 비칠 수 있지만, 이 작품집에 수록된 후보작들도 전부 훌륭했고, 눈여겨볼 만했다. 애초에 작가들 라인업이 빵빵해서 독자들을 사로잡았다. 다른 수상작품집과 좀 달랐던 점이 있다면, 심사평이나 수상소감이 수상작보다 앞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책을 읽지도 않았는데 해설을 들으려니까 당황스러웠다. 그래서 굳이 작품을 모두 읽은 후에 앞으로 돌아와서 심사평을 살폈다. 우선적으로 <호텔 창문>을 읽게 된 건, 며칠 전에 관람했던 영화 <호흡>과 소재-죄-가 같았기 때문이다. 다만 <호흡>에서는 죄가 있는 가해자가 그 죄를 안고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이야기했다면, <호텔 창문>은 띠지에 쓰여있듯이 '죄 없는 죄의식'에 대해 고찰하는 작품이다.
◆작가 편혜영, <호텔 창문>
며칠 전 관람했던 영화 <호흡>처럼 편혜영 작가의 작품도 죄의식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두 작품은 피치 못할 사정으로 그런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영화 <호흡>에서 '정주'가 유괴를 저지를 수밖에 없었던 건 아들의 수술비가 절실했기 때문이었다-는 점에서는 결이 같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영화 <호흡>의 '정주'와 달리 소설 <호텔 창문>의 '운오'가 한 행동은 죄라고 보기는 어렵다. 물에 빠져 죽을 뻔한 '운오'가 형의 도움으로 생존한다. 큰어머니는 그것만으로 '운오'에게 죄가 있다고 봤다. 평소 행실이 나쁘고, '운오'를 주기적으로 괴롭히기도 했던 형은 의로운 죽음을 맞은 것처럼 평가되었고, '운오'는 살아남아 큰어머니에게 끊임없이 시달리며, 자신이 누구 덕에 살았는지를 자꾸만 되새겨야 했다. 삶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지 못한 채 시달려야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운오가 형의 제사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왔을 때,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를 목격한다. 가끔 야릇한 상상을 하며 호텔 창문을 바라보기도 했던 곳이다. 그리고 형의 친구들 중 한 명에게서 그의 직장에서 발생했던 화재 사건에 대해 듣는다. 형의 친구는 자신이 저지른 짓이 아니었지만, 자신이 정말로 방화를 저지른 것 같기도 하다고 말했다. 공장장이 그를 계속해서 몰아세우니까 자신이 알고 있던 진실과 스스로를 의심하게 되었다. 그는 진실을 외면하고, 자신을 범죄자라고 규정해야만 마음이 편해지는 기이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 이야기들을 통해 편혜영 작가는 죄와 죄의식에 대해 묻는다. 누구의 죄라고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운오'는 그리고 형의 친구는 큰어머니와 공장 사장을 통해 강압적으로 죄를 떠안는다. 그리고 자신의 책임이 없음에도 깊은 죄의식을 안고 살아간다. 그렇게 누군가를 책망하면 안 좋은 일이 없어지기라도 할 것처럼, 큰어머니는 공장 사장은 그들을 몰아세웠다. 이 부분에서 의구심이 생겨났다. 정말 자신의 아들이 '운오' 살렸다면, 왜 큰어머니는 아들이 살려낸 생명을 온전히 지켜주지 않고, 자신의 슬픔만을 강요하는 것일까. 자연발화로 판명이 났음에도, 왜 공장 사장은 형의 친구를 몰아세워 책임을 전가했을까. 왜 엉뚱한 사람에게 죄가 성립되고 죄의식을 안고 고통받으며 살아가야 하는 걸까. 내가 내린 결론은 자신이 아들을 혹은 공장을 잘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이들은 누군가를 타겟으로 정해야만 했던 것 같다. 한 사람을 원망하면 마음은 편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내 잘못은 아닌 거니까. 그렇다면 죄는 생사람을 잡은 큰어머니와 공장주에게 있는 거라고 볼 수도 있겠다.
편혜영 작가의 <호텔 창문>은 얼떨결에 가해자라는 택을 달고, 인생을 살아가게 된 이들의 삶을 고찰하여 죄 없는 죄의식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갖게 만드는 책이었다.
◆작가 김금희, <기괴의 탄생>
'기괴의 탄생'은 소설 속 작가 '돈수'의 작품 이름으로 등장한다. '기괴의 탄생'이라는 작품에서 '돈수'는 침까지 흘려가며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빨고 있는 우량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기괴의 탄생>은 이처럼 불타는 듯한 열정을 쏟아붓지만, 결국엔 알싸한 맛만 남긴 채 사라져 버릴 사랑들에 대해서 묘사한 작품이다. 이런 사랑의 과정 속에서 더 많이 사랑하는 쪽이 약자가 되어 버리는 사랑의 무결함도 작품은 보여주고 있다.
'김금희' 작가의 <기괴의 탄생>은 역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위트 있는 문체가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저자의 작품들을 읽을 때마다 어떻게 똑같은 상황을 두고 이런 문장들을 떠올릴 수 있는 걸까, 부러운 마음이 솟아난다.
작품의 제목에 등장하는 '기괴'라는 단어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내가 생각하는 '기괴'는 소설 속 주축인 '윤령'의 직장 동료인 '리애'씨가 말하는" 참으면 미워하게 돼"라는 문장에서 영감을 받았다. 말하지 않고 참으면서 누군가의 상황을 열의를 가지고 탐구하다가 만들어 내고야 마는 그 거짓된 진실을 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리애'씨에게 직접적으로 묻지 않고, 혼자만의 상상 속에서 '리애' 씨가 어떤 과거를 가지고 있는지 추측하는 '윤령'의 모습을 보고 떠오른 생각이다. 억측에서 탄생한 거짓된 진실은 누군가에게 상처를 입히다 못해 죽음으로까지 내몰 수 있으므로, 충분히 '기괴'하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작가가 생각한 '기괴'라는 건, 예측해 보건대, 한 쪽이 너무 사랑한 나머지 상대 이외에는 아무것도 보지 못하고, 균형이 무너져 내려버리는 그 상황을 말하려던 게 아닌가 싶다. 마치 위에서 언급한 우량아가 손가락을 침을 흘려가며 빨던 그 장면처럼 말이다. 공평한 관계가 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유지되는 사랑은 지속되기가 어렵고, 마침내 그 한 쪽을 무너뜨려버린다. 이런 면에서 작가가 '기괴의 탄생'이라는 제목을 붙인 것 같다고 생각했다. '윤령'이 존경하던 선생 '진은파'의 사랑이 <기괴의 탄생>에서 중심된 화제인데, '은파'는 상대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사랑을 드러내는 데에만 급급했다. 이 관계는 아주 당연하게도 무너졌고, 애초의 순수함은 사라진 채 '기괴'로 추락하고야 말았기 때문이다.
◆작가 김사과, <예술가와 그의 보헤미안 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