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를 위한 멘탈 수업 - 압도적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의 7단계 성장 전략
윤대현.장은지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10월
평점 :
자기인식
-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는 능력에 방어벽을 세워선 안된다
- 구성원들에게 솔직하게 피드백을 구하고 받아들일 용기가 필요하다
- 나의 장점과 약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자기인식의 시작이다
- 행동변화를 원할 때는 상대 의견을 묻는 '열린 질문' 소통이 효과적이다
2. 내적수용
- 부정적 피드백을 성장 기회로 삼는다
- 문제점과 취약성을 인정하고 한발 물러서서 내 감정과 생각을 바라보는
'메타뷰' 훈련이 긍정적 수용에 도움이 된다
- 커리어 실패를 겪었을 때는 환경 변화보다 원인 파악이 먼저다
- 자신의 문제점과 욕구를 자세히 들여다 보는 '자기대면'이 필요하다
- 타인의 인정은 내가 일하는 목적이 아니라 내 노력의 대가가 되어야 한다
- 자포자기는 올바른 수용 태도가 아니다
3. 관점전환
- 문제 상황 발생 시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상황과 반응을 분리하라
- 관계에 있어 적정한 마음의 속도와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완벽주의는 타인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안 된다는 불안감에서 기인한다
- 완벽주의는 마이크로매니징, 의사결정 지연의 부정적 측면이 있다
4. 한계극복
-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리더가 역기능적 행동을 보이는 것을 '리더십 디레일먼트'라고 한다
- 디레일먼트에 빠졌을 때 주변 도움과 상사의 신임이 큰 심리적 자산이다
- 한계에 부딪혔을 때 '일단 시도하기'로 새로운 성공 경험을 쌓아라
- 불편하고 어려운 만남일수록 만남을 '구조화'하여 친밀감을 쌓아야 한다
- 새로운 조직에 적응할 때는 성과 보다 사람 마음을 얻어라
- 이질감이나 우월감보다 호혜성을 바탕으로 한 상호 이득에 주목하라
-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 놓을 수 있는 스폰서를 찾고, 직면적 소통보다 '메타포'나 유머를 활용하라
5. 회복탄력성
- 긍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마음의 근력을 '회복탄력성'이라고 한다
- 과도한 자기감찰을 지양하고, 즉각적으로 행복감을 주는 행동 목록을 작성하라
- 거절은 하나의 의견으로 받아들이고, 해결할 과제로 인식하라
- 잘못을 인정하면 권위가 낮아질 것 같다는 불안감을 버리라
- 사과에는 진정성이 중요하고, 문제 원인 파악과 시스템 개선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6. 지속가능성
- 성공 이후 번아웃과 함께 정체기가 찾아오는 현상을 '플래토 이펙트'라고 한다
- 단기적 달성 가능 목표가 아닌 자신만의 장기적 비전을 찾아야 한다
- 개인의 성공을 조직의 성공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 마음 에너지가 소진된 상태에서는 자기비판보다 자기연민이 필요
- 우선순위를 만들고 더 중요한 것에 집중하기 위해 거절하는 용기가 필요
- '결정 피로'가 찾아왔다면 결정을 잠시 미루는 것이 좋다
7. 자기경계
- 리더에게 '자기경계'는 필수 요소다
- 성공 이후 심리적 보상(쾌락 시스템)이 과도하면 문제 행동이 일어난다
- 꼰대는 자신의 과거 성공 방식을 강요하는 일방적 태도에서 비롯된다
-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면 고집스런 면모가 나타난다
저자 윤대현은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고, 장은지는 조직과 리더십 컨설턴트다. 총 7개 장, 17개 케이스 스터디로 구성된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가'에 주안점이 맞춰져 있다. 케이스들을 읽어 나가노라면 내 얘기인가 싶은 이야기들도 있어 사뭇 공감되는 면이 많다. 새로운 직장의 부서장으로 발령 받은 날, 퇴직을 앞둔 선배가 선물로 보내준 책인데 이제야 읽는다.
https://blog.naver.com/rainsky94/22396795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