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 셋이 모이면 집이 커진다 - 부담은 덜고, 취향은 채우고, 세계는 넓어지는 의외로 완벽한 공동생활 라이프
김은하 지음 / 서스테인 / 2024년 11월
평점 :
의식주.
입고 먹고 사는 것.
사람이 사는 데 꼭 필요한 것.
이 중 가장 골머리 아픈 것이 바로 주, 주거 공간이다.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수도권으로 몰려든다.
서울이 고향인 사람들은 알 수 없는 타향에서 온 사람의 설움이 있다.
나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케이스라 집 문제는 늘 큰 스트레스였다.
책을 쓴 김은하 저자처럼 나도 다양한 주거 환경을 경험했다.
침대와 책상을 빼고는 사람 하나 누울 자리 없는 고시원부터
원룸, 투룸, 그리고 지금의 쓰리룸까지.
운이 좋게도 서서히 집을 늘려오긴 했지만 매 순간순간이 시련의 연속이었고
지금도 자가는 아니기 때문에
언제고 지금의 생활은 막을 내릴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늘 안고 산다.
초반부 '손바닥만 한 햇볕의 사용료는 한 달에 5만 원이었다'
제목을 보는 순간 눈물이 핑 돌았다.
나는 저 문장이 어떤 의미인지 아주 잘 알기 때문이다.
고시원은 엄밀한 의미의 주거 공간은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이 불가능하다.
사방에서 들려오는 소음, 공용 화장실, 냉난방 온도, 식사 등등.
달리 선택지가 없어 고시원에서 지낸 시간들이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 작가는 룸메이트를 찾고
삶의 장소도 서서히 진화시켜 나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현재는 2명의 친구들, 반려견과 함께
약 34평 아파트에서 월세를 살고 있다.
이제는 결혼이 필수인 시대도 아니고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존재한다.
마음이 맞는다면 피가 섞이지 않더라도 가족을 이룰 수 있고
혼자가 아니기 때문에 더 다양한 주거 환경을 선택할 가능성도 늘어난다.
다양한 고비를 넘고 넘어
지금 이대로 완벽한 상태에 이르렀다는 작가가 너무 부러워졌다.
나도 넓은 집에 살고 보니
사람이 살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과 구분이 중요함을 느낀다.
당장은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여전히 취약한 주거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다.
그래도 다양하게 고민하고 노력하다 보면
분명 더 나은 내일이 올 거라고 말해주고 싶다.
판도라 상자에 마지막 남은 것이 희망이라면
이건 결코 좋은 의미는 아닐 수도 있겠다고 늘 생각하지만
희망이라도 없으면 또 어찌 사나 싶어서 굳이 이렇게 써본다.
그래도 나아질 거라는 그 믿음 없이 각박한 현실을 어떻게 버티겠는가?
모두의, 식, 주가 잘 보장되는 세상에서 조금 덜 고달프게 살게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