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사내전 - 생활형 검사의 사람 공부, 세상 공부
김웅 지음 / 부키 / 2018년 1월
평점 :
오래 전 '고통의 순간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라는 질문을 담은 엔도 슈샤쿠의 『침묵』을 읽고,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사람은 가장 인자한 얼굴을 한 사람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어찌나 섬찟하던지 아직도 그 느낌이 잊혀지지 않는다. 험악한 얼굴을 한 사람은 경계라도 하지만, 어떤
의도를 가진 사람이 인자한 얼굴에 따뜻한 말로 위로를 건내며 더욱이 신뢰까지 쌓는다면 그 수중에서 빠져나오기는 힘들것 같다. 그런 사람을 장르
불문하고 사기꾼이라 하는데, 그런 사람에게 걸리면 어느 누구도 빠져나갈 도리가 없다며, 심지어 자신 같은 사람도 걸리면 빠져나가지 못하니 제발
당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사람이 있다. 그의 직업은 검사다.
검사라...우리 사회는 검사에 대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검사를 단지 직업군의 하나로 보았다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니까 그런 반응을 뒤집으면 그들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반증일터고, 직설적으로 말하면 그들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말이다. 무슨 일이 일어날 때마다 '뼈를 깍는 심정으로 새롭게 하겠다'는 말을 수뇌부가
하도 많이 써서, 더 이상 깎을 뼈도 남아있지 않다는 어느 검사분의 자조적인 글을 본 적이 있다. 이 책의 저자인 김웅도 일부 검사 때문에
싸잡아 욕먹는 상황을 억울해 한다.
한데 참 재미있는 현상은 그렇게 욕을
하면서도 사람들이 검사가 글을 쓰면 읽어준다는 거다. 그들만의 세상에 대한 궁금함은 아닐까 싶다. 그러면 나는 왜 읽었느냐, 소개 글 중
생활형 검사라는 말에 꽃혀서이다. 요즘 들어 새롭게 추가된 내 삶의 기준 중 하나가 재미인데, 『검사내전』은 재미와 의미를 동시에 충족시켜준
책이었다.
김웅은 자신을 가리켜 당청꼴찌, 팔랑귀,
맹탕, 또라이라 칭하며 선배 검사에게 또라이에서 집요한 또라이로 승격되어 불렸다는 것도, 피의자에게 의식없는 검사라 불렸다는 것도 적는다.
자신의 수사 스타일을 보고 같은 검사가 구걸수사의 달인이라 불러주었다는 것도 서슴지 않는데, 이 뿐 아니다. 자신이 알기는 칠월 귀뚜라미요,
안다니 똥파리라는 우스꽝스러운 말도 능청스럽게 한다. 게다가 자신은 어릴 때부터 온갖 병을 두루 섭렵했으며, 백만 문청 중 하나라 출판사가 책을
내자는 제의를 했을 때 회가 동했음도 솔직히 고백한다.
김웅은 자신이 조직에 맞지 않는 타입이라 직장 생활이
늘 순탄한 것은 아니었지만, 검사를 하면서 별 탈이 없었던 것은, 검찰이라는 조직 문화가 일반인들의 생각과는 달리 유연하고 열려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대한민국이라는 커다란 여객선의 작은 나사못이 되어 자신이 맡은 임무를 다하겠다'는 선배 검사의 이야기를 가슴에 품고, 그 또한 자신의
위치를 생활형 검사로 자리매김한 것 같다. 생활형 검사는 형사부 소속의 검사들에게 주로 해당되는 말인듯 하다.
"검사는 남의 말을 들어주는 직업인데, 또
남의 말을 절대로 안 듣는 직업이기도 하다. 검사라는 직업이 참 맹랑한 게, 어서 말을 하라고 하고서 정작 말을 하면 거짓말한다고 윽박지르곤
한다. 자기가 듣고 싶은 말만 들으려고 하는 것이다. 늘 술래 역할만 하다 보니 생긴 일이다. 나는 수사 능력이 떨어지는 대신 남의 말을 잘
듣는 능력을 가졌다. 의심스럽겠지만 '경청하는 법'이라는 주제의 강의도 했다." (138쪽)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경청이 중요하니
어쩌니 해도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은 또 다른 문제라는 것이다. 검사실에서 하는 말들은 대부분 거짓말이기 때문이다. 조사받는 피의자의 말도
거짓말이고, 돈을 바라고 고소한 것은 아니라는 고소인의 말도 거짓말이다. 조사하면 다 밝혀진다고 위협하는 검사의 말도 거짓말이다. 조사해서 다
밝혀질 거라면 굳이 사실을 실토하라고 수고롭게 설득할 리 없다. 그래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무렵 나는 사람 말을 믿지 않게 되었다."
(139~140쪽)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남의 말을 잘
믿고 잘 속는 나로 복귀했다. 잘 믿고 잘 속는 것은 그리 부끄러운 일이 아니었지만, 비웃었던 남의 말이 진실이었다는 게 밝혀지면 많이
부끄러웠다. 그래서 나는 말도 많은 편이지만 어떤 사람의 말도 잘 들어주고 맞장구도 잘 쳐준다." (140쪽)
잘 읽히는 책이다. 편하게 읽히기도 하고,
주의 깊게 읽으면 더 좋은 곳도 꽤 많다. 읽다보니 검사직의 애환도 조금 알겠다. 조직이라는 것도 결국은 사람이 만드는 건데 김웅 같은 사람이
그 자리에 있다면 억울하게 피해를 당한 사람들은 위로를 받겠다 싶다. 물론 안 마주치는 게 가장 좋겠지만 말이다.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고 하지않는가. 그런데 그 자리는 지푸라기가 아니라 어느 한 사람의 사회적 생존권을 쥐고 있는 자리 아닌가.
나는 사람이 답이라는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이 재앙인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사람이 답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 답이다. 이렇게 사람이 넘쳐나는데 늘 사람을 찾는 걸 보면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가 보다. 서두에 말했듯 인상 좋고 모든 것을 다해줄 것처럼 말 풍년인 사람을 나는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흔히
말하는 좋은 자리에 있음에도 자신의 별볼일 없음을 편히 말하는 사람이 좋다. 그렇게 말한다고 그를 우습게 보는 사람이 있겠는가. 물론 자신을
소탈하게 말했다고 그게 다가 아니라는 것도 모르진 않는다.
"나는 그녀의 어리석음에 왈칵 짜증이
났지만 그 모든 것을 압도하는 그녀의 진심에 그만 부끄러워졌다. 자신에게 죄를 덮어씌운 사람임에도 그녀는 여전히 남편을 사랑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그녀에게 "아이고 죽네, 죽어"라고 말했던 경박함이 부끄러워진다. 어릴 때 동네 아이들로부터 따돌림 당한 기억 때문인지, 주변 사람들의
행동거지를 무작정 흉내내보려 하다 보니 점점 경박해졌다. 사실 나는 다른 사람들이 혹시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이나 반응을 보이더라도 내 얕은
수준에서 쉽게 판단하기보다 좀 더 기다려보고 존중하는, 성숙하고 배려심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그런데 남의 말을 잘 믿어주는 것과 달리 그
꿈은 결국 이루지 못했다." (165쪽)
김웅만 그렇겠는가.
누구도 좋은 사람이 되고 싶지 않겠는가. 이제 나도 마무리를 해야겠다. 김웅이
그다운 말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으니, 나는 기가 막히게 내 마음을 표현한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의 저자며 이
책의 추천사를 쓴 김민섭의 글로 대신하련다.
"아, 역시 잘하는
놈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