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자고 싶은 토끼
칼 요한 포셴 엘린 글.그림, 이나미 옮김 / 박하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밤에 잠 안자고 말똥말똥한 눈으로 쳐다보는 아이만큼 엄마를 곤혹스럽게 하는 일이 있을까 싶다. 엄마의 사정은 봐주지 않은채 자신과 같이 밤을 보내자는 아이의 요구는 종일 아이를 건사한 엄마에겐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이제 그만 잤으면 좋겠는데 아이에게 그럴 마음이 전혀 없을 때 엄마는 무척이나 긴 밤을 맞이하게 된다. 아이가 자야 엄마도 쉴 수 있을 텐데 말이다. 그래서일까 자는 아이의 얼굴만큼 예쁘고 사랑스러운 건 없는 것 같다. 아이의 자는 얼굴을 보노라면 언제 힘들게 했나 싶게 낮에 제대로 못 놀아줬던 일도 떠오르고, 더 잘 돌보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 들면서 엄마는 자신을 반성하게 된다. 그러나 그도 잠깐, 다시 하루가 시작되고 또 밤이 되면 잠자지 않는 아이로 인해 전쟁 아닌 전쟁을 치르게 된다.

『잠자고 싶은 토끼』는 그런 엄마들의 고충을 아는 저자가 자비를 들여 제작한 책이다. 자비를 들여 만들었다고 하니 아이들의 잠재우기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잘 아는 사람이리라. 이 책은 동화책이라기보다는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으로 저자가 알려주는 대로만 하면 아이들이 쉽게 잠들 수 있다고 한다. 아이들의 수면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만큼 이 책에는 요구하는 것이 몇 가지 있다. 되도록이면 아이가 자신의 에너지를 다 썼을 때, 가장 편안한 목소리로,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읽어주라고 말이다. 이야기를 듣다가 아이가 잠들었다고 해도 금새 책을 덮지 말고 끝까지 읽어주라며 책을 보는 상태보다는 듣는 상태가 되도록 하라고 조언한다.
『잠자고 싶은 토끼』에는 잠 잘 시간이 지났는데도 자고 싶지 않은 로저라는 토끼가 등장한다. 엄마의 눈은 이미 반쯤 감겼는데 로저의 눈은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로저가 속히 잠들 수 있도록 엄마는 잠으로의 여행에 로저를 초대하고, 이런 이야기 속으로 엄마의 이야기를 듣는 아이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다. 책을 읽는 엄마는 이 책에서 알려주는 대로 때로는 천천히, 때로는 단어나 문장을 강조하며, 때로는 동작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면 된다. 이야기와 구성이 아이가 잠들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정교하게 잘 짜여져 있어 책을 제대로 읽기만 한다면 아이는 잠들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아이가 제 시간에 잠들지 않을 때 안그래도 힘든 몸에 수면 부족까지 더해진 엄마는 힘겨울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는 원찮아도 아이와 가족에게 돌아가게 되고, 엄마는 가족을 힘들게 했다는 생각에 자책하게 되어 가정에 그늘을 드리울 수 있게 된다. 사랑과는 별개로 육아 스트레스도 분명 존재하는 현실에서 지친 엄마들에게 이 책이 희소식을 주는 고마운 책이 됐으면 좋겠다. 그래서 예쁘게 잠든 아이를 행복하게 보는 엄마들이 늘어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