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부인 The Collection Ⅱ
벤자민 라콩브 글.그림, 김영미 옮김 / 보림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에 자신의 전부를 거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에게 사랑은 남녀간의 애정을 넘어선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과 사랑할 때는 진지해야 한다. 한 쪽이 생명을 걸고 자신의 모두를 던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같을 수 없다는데 생의 비애가 있다. 자신의 전부를 건 사랑은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을 태생적으로 배태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비부인은 그런 사랑의 결말이 어떤지를 처연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잠시 잠깐의 유흥같은 사랑과 전 존재를 건 사랑이 결코 혼합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나비부인은, 그랬기에 한 세기를 넘어 장르의 탈바꿈과 재탄생을 통해 지금까지 사랑받을 수 있었다. 

 

인생이란 무대는 본질적으로 비극에 가깝다. 그토록 바라고 기다리던 행복은 찰나처럼 스치듯 지나가고, 생의 어두움과 슬픔은 길고도 짙다. 그러나 순간처럼 짧은 행복이라도 행복의 잔향은 고통보다 강하다. 그런 순간을 포착해 생이 가진 어쩔 수 없는 슬픔을 아름답고도 처절하게 그려낸 나비부인을, 이번에 벤자민 라콩브라는 프랑스의 젊은 그림 작가를 통해 만나게 되었다. 서양인의 눈에 비친 일본과 일본인의 모습이 감각적이고도 몽환적으로 표현돼 있다. 

 

이 그림책은 크기와 구성에서부터 압도적이다. 책을 펼치면 10미터에 달하며 앞면과 뒷면의 그림이 다르다. 앞면이 나비부인의 정황을 드러냈다면 뒷면은 나비부인의 내면을 압축해 드러내고 있다. 서술방식 또한 독특하다. 나비부인의 남편인 핑거튼 중위의 회한 가득한 독백으로 시작해 독백으로 끝난다. 글과 그림이 한 군데로 모여져 있어, 희곡 대본과 화집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독특한 그림과 구성은 책을 펴자마자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인다. 제국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당시의 상황과 100여년 전의 일본이 금새 읽혀진다.

 

 

 

집안의 몰락으로 게이샤가 된 어린 소녀와 잠시의 유락으로 결혼을 선택한 미군 중위가 만났다. 그의 바람은 분명하다. 일본에서의 지루한 시간을 즐기고 싶은 마음 뿐이니까. 그러나 소녀는 다르다. 그녀에게 결혼은 새로운 삶의 시작이자 자신의 전부를 주는 것이었으니까. 중위는 다시 돌아오겠다는 책임지지 못할 약속을 하고 가고, 소녀는 중위의 아들을 낳아 기르며 3년을 기다린다. 마침내 중위가 돌아오지만 옆에는 미국인 부인이 있고 자신의 아들을 데려가 키우겠다는 말을 타인을 통해 전한다. 나비부인은 자신의 아버지와 같이 명예를 지키기 위해 자결한다.

 

비극은 무자비하고 서러운 삶을 동반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인간의 아름다움 또한 드러낸다. 삶이 비록 고통스러울지라도 그 고통을 감내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고결함을 생명을 걸고 나타내는 행위는 인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어린 나이에 소녀에서 게이샤가 되고, 부인에서 홀로 엄마가 된 나비부인의 심경이 그림 속에 있다. 슬프고도 애닲픈 그녀의 심정은 그래서 더 아름답게 드러난다. 각각의 그림과 글은 몰입을 요구했고, 몰입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를 그려내게 한다. 부인이라기엔 너무 어린 소녀의 슬픈 사랑 이야기를 덮는다. 나비가 펄럭이며 다가온다. 그곁에 이번엔 행복한 웃음을 한 부인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