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비애'라는 말을 아이들에게 써도 될런지 모르겠다. 아이들은 몰랐으면 싶은 말이지만 벌써 그
말의 의미를 알아버린 아이가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걸 그렇게까지 못하는 것이 가능한가 싶을 정도로 못하는, 그래서 자신의 모순을 통해 생의
비애를 알아버린 아이 말이다. 다른 사람에겐 웃고 말 얘기만 아이에게는 아프고도 심각한, 그런 얘기를 아이는
가졌다. 그 아이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 차공만이다.
공만이는 이름 그대로 축구만을 생각하는 아이다. 아기 때부터 공만이의 관심은 오로지 축구에만 있었다.
한데 문제는 공만이가 축구를 못한다는 데 있다. 사랑하는 만큼 축구 실력도 좋으면 좋으련만, 공만이가 잘하는 건 얘기
뿐이다. 축구 박사 공만이가 헛발왕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는 것만 봐도 공만이가 처한 상황이 얼마나 곤란한지 알 수 있다. 이번에도 공만이는
자책골을 집어 넣어 자기네 반이 지는데 한 몫을 했다. 절친 당찬이가 앞으로 축구 시합에 빠지란 얘기를 했을 정도니, 공만이의 축구 실력이
얼마나 형편없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고민 끝에 공만이가 솟대 오리를 찾아갔다. 마을의 수문장이니 자신의 문제 쯤은 가볍게 해결해주지
않을까 싶어서다. 그런데 솟대 오리는 공만이의 고민을 듣자마자 대뜸 양말부터 벗어보란다. 고린내 나는 양말을 가만히 보던 솟대 오리가 공만이의
소원을 들어주겠다며 나흘 후에다시 오란다. 나흘 후 솟대 오리는 공만이의 우상인 메시의 그림자로 한 올한 올 짠 양말을 주며 아무에게도 비밀을
말하지 말란다. 드디어 공만이의 전성시대가 왔다. 그렇게 어렵던 축구가 누워서 떡 먹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