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난 위위야 ㅣ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12
거빙 지음, 김명희 옮김 / 보림 / 2014년 3월
평점 :
세상의 밝고 아름다운 면만을 동화에 담아야 한다고 여기는 건 아니면서도, 동화가 어두운 면을 비출 때
나도 모르게 조심스런 마음이 들곤
한다. 동화에 대한 편견이 있음을 느낄 때가 바로 그런 때다. 몇 년 전 '착해서 미치겠는 것만 동화인 줄
아니?' 라며 책 속의 인물을 통해 일갈한 작가 김려령의 말은, 동화를 마치 아름다운 이야기
모음집처럼 여기고 싶은 우리들의 어쭙잖은 환상이나 기대를 지적하는 것일 테다. 아이들이 속한 세계가 결코 무균실이 아님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이를 간과한다. 아이들도 생의 어려움에서 예외일 순 없는데 말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많은 것을 비춘다. 위위라는 유전자 변형의 쌍둥이
인간쥐를 등장시켜 실제 인간 세계와 다르지 않은 상황 속에 밀어넣고는, 위위와 다양한 인간쥐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보여준다. 미치광이
과학자에 의해 쌍동이 동생 펑펑의 비교 실험대상으로 쓰이다 실험실의 폭발로 동생과도 헤어져 지하 인간쥐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 위위는, 그 곳에서
많은 일들을 겪는다. 노회한 왕과 그 자리를 노리는
금강장사와의 싸움, 자신처럼 미치광이 과학자에 의해 실험용으로 쓰이다 도망나온 슈퍼쥐들의 힘겨운 삶, 잇속에 따라 자리를 옮기는 백성쥐들의
행태는 더도 덜도 아닌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다.
그러나 삶의 비속함 속에서도 친구 부스러미와 검식사인 스승 은젓가락을 통해 위위는 살아갈 힘을
얻는다. 부스러미를 통해 우정을 느꼈고, 은젓가락을 통해서는 엄하지만 깊은 사랑을 느낀다. 그러나 인간쥐들의 비열함과 왕의 치졸함으로 은젓가락이
애지중지했던 밀랍인형들이 부서지자 은젓가락은
그곳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위위에게도
떠나라 말한다. 위위는 새로운 여행을 통해 널빤지라는 초긍정적인 친구를 만나게 된다. 위위의 여행은 계속 되고 그런 가운데서도 위위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마음을 다해 다른 살아있는 생명들을 대한다. 위위의 선한 마음은 천적이랄 수 있는 담비의 마음마저도 움직이게 되고, 마침내 그토록
기다렸던 펑펑과도 만나게 된다.
큰 어려움이 반복되고 온갖 힘든 일들이 있었지만 위위는 그 속에서도 선한 마음을 놓지 않고 이웃들을
돌봐주었다. 자기 한 몸 추스리기도 힘든 어린 쥐가 삶의 추한 격랑에 휩쓸리지 않고 마음을 다해 이웃을 도와주자 주변도 변화되었다. 위위가 가는
곳에는 따스한 기운이 넘쳤고, 펑펑이 그토록 찾아다녔던 도화원의 모형을 위위는 자신의 행동을 통해 삶에서 구현해 냈다. 펑펑보다 못한 지능으로
마치 실패작처럼 취급됐지만, 다른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을 때 도화원이 바로 이곳에 있음을 위위는 알게
했다.
어릴 적 읽었던 이야기중 지나가는 나그네의 외투를 벗긴 것은 춥고 강한 바람이 아니라 따뜻한
햇빛이라는 걸 기억한다. 작가 거빙은 작고 보잘 것 없는 인간쥐 위위를 통해 주변을 바꿀 수 있는 힘이 뭔가 대단한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를 생각하고 위하는 따스한 마음만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전한다.
동생쥐를 위해 존재했던 부수적인
존재에서 도화원의 모형을 보여준 위위의 여행을 따라가면 저도 모르게 위로와 힘을 얻게 된다. 아름다운 얘기를 해서 아름다운 동화가 아니라
시궁창보다 더한 환경 속에서도 헤치고 나갈 수 있는 힘을 주는 동화가 진짜 아름다운 동화임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