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샨과 치히로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11
쉐타오 지음, 전수정 옮김 / 보림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를 그리는 것은 인간을 그리는 것이며, 인간을 그리는 것은 삶의 기쁨 또는 슬픔을 그리는 것'이라고 일본의 아동문학 평론가 우에노 료는 말했다. 그는 이어 '어린이를 이야기하는 것은 인간을 이야기 하는 것이기에, 인간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른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만샨과 치히로'는 아이들 속에 살고 있는 어른 뿐 아니라 역사적 상황과 뗄래야 뗄 수 없는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그리고 있다. 역사적 상황에 의해 적이 될 수 밖에 없는 어른을 미워하고 한편으로는 이해하는 아이의 이야기. 그래서 '만샨과 치히로'는 재미있음에도 불구하고 왠지 모를 아련함을 불러왔다.

 

'만샨과 치히로'는 20세기 초중반 중국의 항일 전쟁 시기, 항일무장 군대였던 향련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는 동화다. 쉐타오는 역사적 상황과 자신의 상상력을 결합해 만샨이라는 말썽꾸러기 캐릭터를 창조한 후, 만샨의 성장기와 더불어 항일 투쟁을 접목한 멋진 역사 동화로 일구어냈다. '만샨과 치히로'엔 제멋대로이며 고집불통인 만샨 뿐 아니라 이야기의 양대 축을 이루는 대조적인 두 인물이 있다. 일본의 앞잡이로 변신한 외삼촌 하이추안과, 항일 투쟁에 앞장 선 향련의 단원 두안우 아저씨가 그들이다. 매국노라는 비난을 받고 동네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해도, 외삼촌 하이추안은 관수이 역의 일본역장 밑에서 통역을 포함한 잡일을 하며 돈을 번다. 만샨은 외삼촌이 매국노라 불린 뒤부터 말다운 말을 건내지 않는다.

 

한편 할일 없이 다니며 참견이나 하는 줄 알았던 두안우 아저씨가 향련의 비밀 단원이라는 걸 알게 된 후, 만샨은 그를 달리 생각하며 마음 속으로 따른다. 일본어가 배우기 싫어 학교도 다니지 않던 만샨은 동네 친구 리샤오다오와 시간 날 때마다 놀러다니고, 늦은 저녁엔 바람처럼 관수역을 누비고 다니며 자신만의 항일 운동을 펼친다. 하지만 아무도 만샨의 의거를 믿지 않아 늘 골이 나있다. 세상을 요지경이라 했던가. 만샨이 진저리날만큼 싫어했던 역장에게 나오코라는 딸이 있고, 어찌하다보니 그 아이와 친구가 되었다. 같은 일본인인데도 역장에게는 증오하는 마음이, 그 딸에겐 애틋한 마음이 생기자 만산은 상황이 사람을 움직인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빼앗긴 민족과 빼앗으려는 민족 사이의 갈등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끝날 수 없는 법이다. 관수이 역은 그런 투쟁지의 현주소로, 온갖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그 사고는 군견인 다이유사쿠의 삶마저 바꾸어 놓았다. 폭발 사고로 떠돌이견이 된 다이유사쿠는 만샨을 만나 치히로란 이름으로 불리며 만샨의 보살핌을 받는다. 그러나 사고의 후유증 탓인지 만샨 외에는 누구에게도 마음의 문을 열지 않는다. 향련의 공격과 이를 저지하려는 일본군 사이의 보이지 않는 전쟁은 이제 정점을 향해 가고, 만샨은 향련의 양사령관의 인정을 받아 마침내 그토록 원했던 병사가 되어 행군의 대열에 서게 된다.

 

'만샨과 치히로' 는 인간 속에 내재한 가능성과 선한 마음을 아이들의 모습 속에서 그려낸다. 아이들은 자신의 친구와 친척, 이웃을 앗아간 침략자 일본군을 증오하지만 그들 또한 역사의 구렁텅이 빠진 일개 힘없는 인간임을 이해한다. 만일 동화를 넓이와 깊이로 측량할 수 있다면 이 책은 넓고도 깊다. 한 쪽으로 기울 수 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다른 한 쪽을 볼 수 있는 시각과 여지, 그리고 은근한 쾌할함은 이 책이 가진 특별함이리라. 그래서 죽음마저도 죽임을 당하다로 이해하지 않을 수 있었다. 중국 아동문학의 저력을 유쾌하게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